
총 104개
-
간호사의 교대근무로 인한 수면장애와 일주기리듬 불규칙2025.05.051. 수면 기전 수면은 시상하부, 뇌간, 송과선 등의 여러 시스템이 상호 연결된 복잡한 망에 의해 발생한다. 망상활성계를 자극하면 각성상태가 유지되고, 연수의 망상억제계를 자극하면 수면이 유발된다. 후시상하부의 자극은 히스타민을 분비하여 각성을 유지하고, 전시상하부의 자극은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을 분비하여 수면을 유발한다. 2. 수면 단계와 주기 수면은 비렘수면과 렘수면으로 나뉜다. 비렘수면은 깊은 수면으로 뇌혈류량과 포도당 대사율이 감소하며 근육이 이완된다. 렘수면은 빠른안구운동이 나타나는 수면으로 뇌의 대사율이 증가하고 심박동수와 ...2025.05.05
-
약리학 호흡기계 정리 (질병 정의, 기전, 증상/약물 기전, 특징)2025.05.071.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은 항원에 노출되어 발생한 비강점막의 염증이다. 비강 점막에는 체내로 칩입하는 외부 항원들을 인식하는 비만세포와 호염기구가 많이 존재한다.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되어 기도 내로 들어가게 되면 형질세포가 IgE항체를 방출하여 비만세포와 결합이 되고 항원이 IgE 항체와 결합되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을 방출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눈물, 콧물, 인후통, 코막힘, 재채기 등이 있으며 합병증으로는 쉰소리, 미각 후각 상실, 부비동염 등이 있다. 치료로는 항히스타민제, 비강 내 코르티코스테로이드,...2025.05.07
-
의약품으로 이용되는 효소 억제제 및 질병 진단에 이용되는 효소 사례 보고서2025.01.171.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효소 억제제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효소 억제제에는 프레즈코빅스정(HIV 단백분해효소 억제제), 아자니트릴과 피리딜 에스테르(코로나19 메인 프로테아제 억제제),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지단백 지질가수분해효소 억제제, HMG-CoA 환원 효소 억제제, 탄산탈수소효소 억제제, 야누스인산화효소 억제제, 5-알파 환원 효소 억제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5 억제제, 소분자 키나제 억제제 등이 있다. 이들 효소 억제제는 다양한 질병 치료에 사용된다. 2. 질병 진단에서 사용되는 효소 ...2025.01.17
-
[정신간호학] 생물학적 이해[뇌의 신경해부학, 대뇌(대뇌피질, 기저핵, 변연계, 시상), 중추신경계(신경전달물질, 도파민), 약물(클로르 프로마진, 할로페리돌, D2 차단제 부작용), 아세틸콜린 수용체] [개념, 정리]2025.05.111. 뇌의 신경해부학 뇌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분됩니다. 대뇌는 2개의 대뇌반구로 나누어지며, 대뇌피질은 회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저핵은 받은 정보를 근육, 감각 등 여러 군데로 나눠주는 역할을 하며, 변연계는 기억과 감정을 엮어서 장기간 기억을 남기는 역할을 합니다. 시상은 수많은 스트레스를 견디며 교감신경반응을 일으키고 내분비계를 활성화시킵니다. 2.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에는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이 존재하며, 이들은 각각 다른 역할을 합니다. 가바와 망상체는 올라가는 자극을 조절하여 대뇌에 전달합니다. 신경전달물질의 ...2025.05.11
-
[A+보장]아동간호학 실습 두드러기(urticaria pigmentosa) 컨퍼런스, 간호과정, 간호진단, 케이스스터디 13페이지 자료입니다.2025.05.081. 두드러기 두드러기는 벌레에 물렸을 때 부풀어 오르는 것과 같은 팽진과 그 주위를 둘러싸는 발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피부가 몹시 가려우며, 경계가 명확한 병변이 홍색 또는 흰색으로 부어오릅니다. 이러한 팽진은 혈관 반응으로 인해 피부의 진피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부종에 의해 생깁니다. 각각의 병변은 24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습니다. 2. 색소성 두드러기 색소성 두드러기는 비만세포의 국소적, 전신적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비만세포 염증 질환으로 기계적, 화학적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여러 크기의 색소성 피부 병변을 특...2025.05.08
-
아나필락시스 (anaphylaxis) 문헌고찰2025.01.031. 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시스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중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으로, 피부 발진, 호흡기/순환기/소화기 증상이 빠르게 진행하여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초기 처치를 적절히 하면 대부분 회복할 수 있지만,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아나필락시스의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법을 분석하여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한 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2. 아나필락시스 원인 아나필락시스는 특정 물질에 과민 반응하는 사람이 그 물질에 접촉하면 발생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항생제, 해열진통제, 백신, 음식(...2025.01.03
-
신경전달물질의 역할과 도파민의 영향2025.01.021. 신경전달물질의 종류 및 역할 신경전달물질은 시냅스 전에서 분비되어 시냅스 후에서 활동전위를 일으켜 신호가 전달되게 하는 물질로, 아미노산, 아민, 펩타이드의 세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각 계열에 속하는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은 감마 아미노낙산(GABA), 글루탐산(Glu), 글리신(Gly), 아세틸콜린(ACh), 도파민(DA), 에피네프린(Epinephrine), 히스타민(Histamine), 노르에피네프린(NE), 세로토닌(serotonin;5-HT), 콜레시스토키닌(CCK), 디노르핀(Dynorphin), 엔케팔린(Enk)...2025.01.02
-
본초품휘정요 10권, 시이실, 갈근, 갈분 한문 및 한글번역2025.01.191. 시이실 시이실은 신농본초경에 출전되어 있으며 풍처럼 돌아다니는 찬 통증, 풍습사의 돌아다니는 비증, 사지의 당기고 경련 통증, 나쁜 살과 죽은 살갗, 오래 복용하면 기를 더하고 귀와 눈을 총명하게 하며 뜻을 강하게 하며 몸을 가볍게 한다. 또한 무릎통증, 계곡의 독을 주치한다. 시이실의 이명은 호이, 지규, 상사, 창이, 영이, 권이, 상이, 작이, 시, 양부래, 백호채, 이당초, 도인두이며 잎은 청백색으로 고수와 유사하고 백색 꽃이 피며 가는 줄기에 무리지어 생긴다. 시이실은 주로 두풍, 습비를 주치하며 간환자 열을 제거하고...2025.01.19
-
prep 약물2025.01.191. 모사잘정(모사프리드시트르산염이수화물) 모사잘정은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인한 속쓰림, 구역 구토 같은 소화기증상을 치료하는 소화제입니다. 식전/식후 투약하며, 선택적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과 위장관운동 촉진 기전으로 작용합니다. 갈락토오스 불내성,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등의 유전문제가 있는 환자는 금기이며, 부작용으로 설사, 묽은변 등이 있습니다. 2. 맥페란정(메토클로프라미드) 맥페란정은 구역, 구토 증상의 치료에 사용되는 진토제입니다. 식전 경구투여하며, 도파민(카테콜아민) 수용체 차단과 세로토닌(모노아민계) 수용체 차단 기전으로...2025.01.19
-
염증과 면역반응2025.05.011. 염증반응 염증반응에는 혈관반응과 세포반응이 있다. 혈관반응에서는 조직 손상 시 초기에 혈관이 수축하다가 곧 히스타민 등의 물질이 유리되어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량이 증가한다.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로 삼출액이 형성되어 부종이 발생한다. 세포반응에서는 화학쏠림성에 의해 백혈구가 염증부위로 이동하여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2. 면역계의 역할 면역계의 주요 역할은 자기와 비자기를 식별하고, 항원에 대한 특이적 항체를 생산하며, 자기와 다른 세포나 바이러스 감염세포, 종양세포를 공격하고, 면역학적 기억을 보존하는 것이다. 3. 면역물질 면...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