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92개
-
항고혈압제 종류 9가지 및 임상 관리2025.11.181. 이뇨제(Diuretics) 항고혈압제의 1차 선택약으로 Thiazide, Loop, Potassium-sparing 이뇨제가 있습니다. Thiazide 이뇨제는 원위 콩팥요세관에서 나트륨과 수분 재흡수를 감소시키며 고혈압의 40%를 단독으로 조절합니다. Loop 이뇨제는 Thiazide보다 강력한 이뇨 효과를 가지며, Potassium-sparing 이뇨제는 칼륨 보유로 다른 항고혈압제와 병용됩니다. 주요 부작용은 저칼륨혈증, 고혈당, 고요소혈증이며 정기적인 전해질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2. 교감신경 차단제(Adrenergi...2025.11.18
-
정형외과 병동에서 주로 쓰는 약물정리2025.05.021. 진통제 정형외과 병동에서 주로 사용되는 진통제에는 시너젯, 신바로, 낙소졸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중증도-중증의 급, 만성 통증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무력증, 기립성 저혈압, 서맥, 호흡기 증상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2. 소염진통제 정형외과 병동에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인 낙소졸이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등의 증상 치료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토혈, 위장출혈, 발진, 가려움 등이 있습니다. 3. 위장관계 약물 마그밀은 변비증,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등의 증상 개선에 사용되며, ...2025.05.02
-
성인간호학: 고혈압과 척추관협착증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2025.11.111. 고혈압 고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로, 우리나라 10대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이다. 정상 혈압은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 80mmHg 미만이며,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압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된다. 병태생리는 심박출량과 전신 혈관저항의 증가로 발생하며, 유전적 요인, 교감신경계 활성화, 혈관내막 변화, 신장계 체액량 조절, 내분비계 호르몬 등이 관여한다. 본태성 고혈압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80~95%를 차지하고, 이차...2025.11.11
-
2022 약리 총정리 REPORT2025.04.301. 부교감신경 작용제 부교감신경 작용제인 bethanechol(Urecholine)과 마이토닌정은 소변 정체(방광을 완전히 비우지 못함)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들은 콜린 수용체를 직접 자극하여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킵니다. 하지만 부교감신경 작용으로 인해 타액 분비 증가, 발한, 복부 경련, 저혈압 등의 유해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로 또는 장 폐색이 의심되는 환자나 천식 환자에게는 사용하면 안됩니다. 2. 항콜린성 약물 항콜린성 약물인 atropine(Atro-pen, Atropain, Atropisol)은 항콜린에스테라아...2025.04.30
-
A+ 성인간호학 고혈압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4개, 간호과정 3개)2025.01.281. 고혈압의 정의와 특성 고혈압은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높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을 말하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30%가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고혈압은 동맥, 정맥, 모세혈관 등 혈관의 구조와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신경계, 신장계, 심혈관계, 내분비계 등 다양한 요인이 관여한다. 고혈압의 원인은 본태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구분되며, 증상은 주로 무증상이지만 합병증이 발생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을 ...2025.01.28
-
바이오 의약품의 작용기작에 대하여2025.01.181. 패혈증 치료제 단디바이오는 패혈증 치료제를 연구하고 있다. 패혈증은 세균, 바이러스 등이 몸 속에 침투하여 피를 타고 돌며 만든 독성물질로 온몸이 중독 되어 사망에 이르는 병이다. 그람 음성균에서 분비, 사멸된 후 유출되는 내독소인 LPS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 과도한 염증반응에 의해 장기 손상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다. 기존 항생제는 항생제 내성 발생이나 싸이토카인 폭풍, 장기부전 유발과 같은 부작용과 내독소를 중화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단디바이오는 내독소에 특이적으로...2025.01.18
-
심장내과 간호사가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주요 주사제2025.01.021. 강심제 강심제에는 디지탈리스(Digitalis)와 도부타민(Dobutamine)이 있습니다. 디지탈리스는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늘리고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도부타민은 심장 질환이나 수술로 인해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 환자의 단기 치료에 사용됩니다. 2. 혈관확장제 혈관확장제에는 이소소르비드(Isosorbide)가 있습니다. 이소소르비드는 심부전, 협심증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3. 칼슘채널차단제 칼슘채널차단제에는 딜티아젬(Diltiazem)과 니카르디핀(Nicardipine)이 있습니...2025.01.02
-
[간호학과] 임상약리학 처방전 및 사용약물 PPT (처방전-심장내과 / 상용약-피부계통)2025.05.101.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인 아서프릴정(페린도프릴)은 말초저항감소, 알도스테론분비억제 등의 작용으로 혈압을 낮추고 심혈관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다. 이뇨제나 칼슘길항제와 병용하면 더 우수한 심혈관질환 예방효과를 보인다. 2. 베타차단제 베타차단제인 딜라트렌정(카르베딜롤)은 심장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키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강심배당체와 병용하면 심박수 감소와 방실전도 지연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3. 칼슘통로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인 아모디핀정(암로디핀칼실산염)은 혈관평활근과 심근으...2025.05.10
-
응급약물 총정리. ER에서 사용하는 응급약물 정리한 자료2025.05.121. E-BOX E-BOX는 응급상황에 사용되는 카트로, 모든 병원에 비치되어 있으며 응급 약물들이 들어있고 일회용 자물쇠/빨간색 테이프로 잠군상태를 유지한다. 2. 응급약물의 종류 응급약물에는 Epinephrine, Atropine, Sodium bicarbonate, Magnesium, Lidocaine, Verapamil, Adenosine, Dopamine, Dobutamine, Norepinephrine, Isoproterenol, Digoxin, Sodium Nitroprusside, Nitroglycerin, Propr...2025.05.12
-
Antihistamines 항히스타민제2025.01.131. 히스타민 히스타민은 비만세포, 호염구, 임파구, 신경세포, gatric enterochromaffin-like cells 등의 많은 조직에서 발견되는 생체아민으로 국소적으로 분비되어 인근 세포들의 기능적 활성을 증사기키거나 억제하는 autocoid다. 히스타민은 폐, 혈관민무늬근, 혈관내피세포, 말초신경에서 H1 receptor에 작용한다. 폐에서 기관지 수축을 일으켜 천식증상을 나타내며, 혈관민무늬근에서 모세혈관후 세정맥 확장, 말단세동맥 확장, 정맥수축을 일으켜 피부발적을 나타낸다. 혈관내피세포의 수축과 분리를 일으켜 부종...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