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89개
-
고조선의 역사와 세 시대 구분2025.11.131. 단군조선 단군조선은 단군이 건국한 우리민족 최초의 국가입니다. 단군은 신인(神人)이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와 국인에 의해 임금으로 추대된 인물입니다. 건국 연대는 당요 무진년인 서기 전 2333년이며, 초기 도읍은 평양이었다가 나중에 백악으로 옮겨졌습니다. 단군은 상나라 무정 8년인 서기 전 1317년에 아사달산(현재의 구월산)에 들어가 신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삼국유사, 동국통감, 세종실록지리지 등에 잘 기록되어 있습니다. 2. 기자조선 기자조선은 단군조선 이후 기자가 일으킨 나라입니다. 기자는 은나라의...2025.11.13
-
역사에 대한 서적2025.01.131. 삼국시대 역사서 삼국시대에 편찬된 역사서로는 신라시대 거칠부가 편찬한 국사, 고구려 시대의 역사서인 유기와 신집, 백제도 근초고왕시기에 편찬한 서기 등이 있다. 이들 역사서는 각 나라의 전성기에 편찬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2. 고려시대 역사서 고려시대에는 왕조실록을 편찬하였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고려 후기에 이제현도 많은 역사서를 편찬하였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고려 인종시기에 김부식 등이 삼국사기를 편찬하였고, 고려 후기 충렬왕 시기에 일연이 삼국유사를,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각훈이 해동고승전을 편찬하였다. 3. 조선...2025.01.13
-
고조선의 역사: 문헌사료를 통한 단군신화와 기자조선 분석2025.11.111. 고조선의 중심지 논쟁 고조선의 중심지에 대해 세 가지 주장이 제시된다. 요령성설은 비파형 동검과 순장 무덤 분포를 근거로 요령성 일대를 중심지로 본다. 평양설은 삼국유사 기록과 낙랑군 유물을 바탕으로 평양을 중심지로 주장한다. 중심지 이동설은 현재 한국 학계의 주류 견해로, 기원전 8~4세기에는 요령성, 기원전 3세기 이후 대동강 유역으로 중심지가 이동했다고 본다. 연나라 장군 진개의 공격으로 영토가 축소되었고, 최종적으로 평양 지역에 위치했다는 고고학적 증거와 문헌 기록이 이를 뒷받침한다. 2. 고조선의 성장과 발전 고조선은...2025.11.11
-
한치윤이 지은 해동역사2025.01.091. 단군조선 한치윤이 지은 해동역사에서는 단군조선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습니다. 단군이 1천 48세까지 살았고 죽은 후에는 황해도의 구월산으로 들어가서 신이 되었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환웅이 태백산의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와 사람으로 변하여 웅녀와 합하여 아들을 낳았다고 하였습니다. 해동역사의 단군조선 관련 기록은 삼국유사의 기록과 많이 다릅니다. 한치윤은 단군에 대한 우리나라 사서의 기록이 허황하고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비판하였습니다. 2. 부여 한치윤은 중국의 역사서들을 인용하여 부여에 대해서도 기록하였습니다. 부여국은...2025.01.09
-
조선시대 역사 탐구2025.01.051. 고려 말기의 혼란 고려는 원나라 간섭기가 끝나는 상황에서 실질적으로 왕조가 종료되었다고도 할 수가 있습니다. 공민왕에 이어 왕위에 오른 우왕과 창왕은 혈통이 의심스러운 왕들이며, 고려사 편찬에서도 정식왕으로 대우를 받지 못했습니다.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도 허수아비 왕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고려말의 혼란기에는 왜구와 홍건적들이 고려를 위협하는 상황이었으며, 이들을 막아낸 인물이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입니다. 2. 과전법의 시행 조선이 건국되면서 처음 시행한 토지제도는 과전법입니다. 과전법은 1391년에 제정되었으며, 이성...2025.01.05
-
조선역대사략: 1895년 편찬 한국 고대사 교과서2025.11.181. 단군조선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로 단군이 세운 나라입니다. 단군은 고조선의 시조이자 우리민족의 시조입니다. 이름은 왕검(王儉)이며, 신인이 태백산 단목 아래에 내려와 나라 사람들이 임금으로 세웠습니다. 나라를 조선이라 하고 처음 평양에 도읍하였다가 뒤에 구월산에 도읍하였습니다. 2. 기자조선 기자는 중국 은나라의 태사이자 주 임금의 제부였습니다. 주 무왕이 상을 이기자 기자는 동쪽 조선으로 들어왔으며, 무왕이 그를 조선에 봉하였습니다. 기자가 동쪽으로 올 때 중국 사람 5천 명이 따라왔으며, 시서·예악·의무·음양·복서·백공·기예...2025.11.18
-
우리나라의 주요 역사서2025.01.131.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한반도의 삼국 시대인 고구려, 백제, 신라의 역사를 기록한 한국의 역사서입니다. 이 책은 당시의 사료와 기록을 기반으로 편찬되었으며, 그 신빙성과 역사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삼국사기는 삼국 시대의 정치, 사회, 문화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2. 삼국유사 삼국유사는 고려시대에 쓰여진 삼국 시대의 역사와 전설을 담은 책입니다. 이 책은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의 삼국 시대 역사와 함께 전설과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어, 삼국 시대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2025.01.13
-
고조선과 단군에 대한 필원잡기의 기록2025.11.121. 서거정의 단군관 서거정은 필원잡기에서 단군이 1천 48세까지 살았으며 죽은 후 아사달산(현재의 황해도 구월산)에 들어가 신이 되었다고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서거정은 단군의 1천 48세 수명이 당시 인간의 상수(백년), 중수(60~70년), 하수(40~50년)와 맞지 않으며, 중국 문헌에 기록이 없다는 점에서 이 기록의 신빙성을 의심했습니다. 단씨가 나라를 이은 햇수가 1천 48년인 것은 의심이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2. 기자조선과 마한의 계승 서거정은 필원잡기에서 기자가 주 무왕 기묘년에 조선에 봉해졌으며, 기씨가 평양에 도읍...2025.11.12
-
조선의 기독교 역사 분석을 통해 바라본 조선의 근대화2025.04.261. 기독교의 조선 유입과 성장 기독교 선교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 조선은 정치, 문화, 군사,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여 국가를 운영하고 있었다. 19세기 말 서양의 강대국들이 조선을 찾아오면서 근대화에 대한 위협을 받게 되었고, 이 시기에 기독교 선교가 시작되었다. 기독교는 교육, 의료, 언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조선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2. 기독교에 대한 개화 지식인과 일반 백성의 인식 개화 지식인들은 기독교와 개화를 함께 추구했는데, 이는 서양의 근대화 모델을 받아들이기 위해서였다. 일반 백성들에게 기독교는 신분제도에서 벗...2025.04.26
-
한국사의 이해: 이순신 장군과 위화도 회군2025.11.121. 이순신 장군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해전에서 활약한 명장. 옥포해전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고, 한산도 대첩에서 학익진 전술로 대승을 이루었다. 원균의 패배 후 명량해전에서 12척의 배로 100여 척의 일본군을 격퇴했으며, 노량해전에서 전사했다. 역경과 고난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의지와 뛰어난 전술로 국가를 수호한 인물로 평가된다. 2. 위화도 회군 1388년 고려 말 이성계가 요동정벌 명령을 받고 진군했으나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반란을 일으킨 사건. 이는 고려 멸망과 조선 건국의 계기가 되었다. 이성계는 명나라와의 전쟁이 불가능...202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