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1개
-
실험 6 .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와 클램퍼 회로의 특성 실험2025.05.111.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 다이오드 리미터(limitter)는 다이오드 파형 정형회로로서 클리핑(clipping)회로 또는 슬라이서(slicer)라고 부른다. 입력 신호의 한부분이 잘려나간 것과 같은 출력을 가지게 된다. 클리핑회로는 적어도 다이오드 한 개와 저항 한 개로 구성되고 직류 전원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출력 파형은 직류전원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여러 가지 소자들을 위치를 변화시겼을 때 서로 다른 레벨로 클리핑 시길 수 있다. 따라서 클리핑회로는 직렬 클리핑회로와 병렬 클리핑회로 또 한 바이어스 된 클리핑회로로 구분 할 수...2025.05.11
-
정전압 회로와 리미터2025.01.021. 전압 레귤레이터 전압 레귤레이터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했던 정류회로의 리플이 매우 크며 입력 전압이나 부하 저항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이 크게 요동친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입니다. 또한 다양한 전압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 내에서, 정해진 전압을 일정하게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이기도 합니다. 전압 레귤레이터는 라인 레귤레이션 특성과 부하 레귤레이션 특성을 만족해야 합니다. PN 접합 다이오드와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의 동작 원리와 입력 전압 및 부하 전류 변화에 따른 출력...2025.01.02
-
전자회로(개정4판) - 생능출판, 김동식 지음 / 6장 연습문제 풀이2025.01.021. 포화점과 차단점에서의 컬렉터 전류와 에미터 전압 계산 포화점에서의 컬렉터 전류와 에미터 전압, 차단점에서의 컬렉터 전류와 에미터 전압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전류와 베이스-에미터 전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컬렉터 전류와 에미터 전압을 구할 수 있다. 2. 증폭기의 최대 효율 증폭기의 최대 효율은 17%이다. 이는 증폭기의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3. 직류 및 교류 부하선 분석 직류 부하선과 교류 부하선을 분석하여 증폭기의 동작점과 출력 전압의 스윙 값을 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증폭기의 성능을 평가할 수...2025.01.02
-
기초실험2 결과보고서2025.01.291. 저항소자 및 써미스터 소자의 특성 실험을 통해 저항소자와 써미스터 소자의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저항소자는 10 kΩ의 저항값을 갖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실제 측정값도 이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써미스터 소자의 경우 10 kΩ에서 많이 벗어난 저항값이 측정되었는데, 이는 써미스터의 온도 의존성 때문이다. 온도계로 측정한 주변 온도를 참고하면 써미스터의 저항값 변화를 이해할 수 있다. 2. 저항소자와 써미스터 소자의 전압-전류 특성 저항소자와 써미스터 소자는 동일한 10 kΩ의 저항값을 갖지만, 열을 가했을 때 전압-전류 특성이 다...2025.01.29
-
반도체 결과보고서2025.05.101. 반도체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 이번 실험은 다이오드의 순방향 및 역방향 전압에 대한 전류의 특성 곡선을 이해하고 저항의 전류-전압 특성을 확인하며 반도체 다이오드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실험이었습니다. 범용 다이오드와 제너 다이오드에 걸어주는 전압에 대해 나타나는 전류를 관찰하며 다이오드의 문턱전압과 항복전압을 알아내고 두 다이오드의 차이점을 파악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제너 다이오드와 범용 다이오드는 정방향 바이어스에서 동일한 특성을 보이지만 역방향 바이어스에서는 제너 다이오드의 항복전압이 범용 다이오드보다 낮게 나타났습...2025.05.10
-
화학공학실험 반도체 및 도체의 전류-전압 특성 결과보고서2025.05.101. 반도체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 이번 실험은 다이오드의 순방향 및 역방향 전압에 대한 전류의 특성 곡선을 이해하고 저항의 전류-전압 특성을 확인하며 반도체 다이오드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실험이었다. 범용 다이오드와 제너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을 가해주었을 때 각각 1.1V, 1.3V에서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다이오드의 문턱전압을 알아낼 수 있었다. 또한 제너 다이오드의 역방향 바이어스에서 항복전압이 -0.8V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옴의 법칙과 저항의 전류-전압 특성 두 번째 실험은 저항...2025.05.10
-
신재생에너지 발전 실험, 실습 PPT2025.04.261. 반도체 반도체는 도체와 절연체의 중간 성질을 가진 물질로, 저항률에 따라 도체, 반도체, 부도체로 구분할 수 있다. 반도체는 진성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로 나뉘며, 전자현상을 이용하는 2단자 소자인 다이오드가 대표적이다. 2. 다이오드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접합된 구조로, 순방향과 역방향 전압에 따라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달라진다. 이를 이용하여 정류 회로, 제너 다이오드, 포토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 등 다양한 응용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3.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는 전류나 전압의 흐름을 조절하여 증폭, ...2025.04.26
-
전자회로(개정4판) - 생능출판, 김동식 지음 / 13장 연습문제 풀이2025.01.021. 위상 선행-지연회로 위상 선행-지연회로에서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크기의 비는 공진주파수에서 1/√2가 된다. 따라서 출력전압의 실효치는 입력전압의 실효치의 1/√2배가 된다. 위상 선행-지연회로의 공진주파수 ω0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ω0 ≅ 1/√(RC) 2. 빈브리지 발진기 빈브리지 발진기는 비반전 증폭기의 전압분배회로에 저항 R과 병렬로 연결된 2개의 제너다이오드 회로가 추가된 구조이다. 제너다이오드가 도통되면 폐루프 이득이 3이 되어 발진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빈브리지 발진기의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ω...2025.01.02
-
Diode의 회로적 특성 실험_예비레포트2025.01.121. Diode의 회로적 특성 다이오드는 p-type과 n-type 반도체를 접합시켜 접합부에 diffusion 작용을 통해 Built-in potential이 형성되는 PN 접합 현상을 이용한 소자입니다. 다이오드는 정방향 전압 이상이 인가되면 급격한 전류 증가를 일으키는 특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정류, 검파, 온도 센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또한 Zener 다이오드는 역방향으로 전압을 걸면 일반 다이오드보다 낮은 특정 전압에서 역방향 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Diode의 회로적 모델링 다이오드는 다...2025.01.12
-
기초전자실험 4장_반파 및 전파 정류_결과레포트2025.04.301. 반파 정류 반파 정류 회로의 출력 직류 전압을 계산하고 측정하였다. 반파 정류 회로에서 다이오드 양단에 걸리는 최대 전압은 인가된 정현파 신호의 피크 값과 동일하다. 반파 정류 신호의 직류 값은 피크 값 Vm의 31.8%이다. 실험 결과 이론값과 측정값이 약 13% 차이가 났다. 2. 전파 정류 전파 정류 회로의 출력 직류 전압을 계산하고 측정하였다. 전파 정류 신호의 직류 값은 피크 값 Vm의 63.6%이다. 브리지 방식 전파 정류 회로와 중앙-탭 변압기 구조의 전파 정류 회로를 구성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이론값과 측정...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