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4개
-
분석화학실험 A+ ( 예비 레포트 ) 부피 측정용 기구 사용법 및 검정2025.05.141. 마이크로피펫 마이크로피펫은 보통 1~1000 µL 정도 부피의 용액을 옮기는 경우에 사용하며, 마이크로피펫 최대 용량만을 옮기는 고정 부피 형태(fixed volume)와 최대 용량 내에서 원하는 부피를 옮길 수 있는 가변 부피 형태(adjustable volume)가 있다. 고정 부피형태가 가변 부피 형태에 비해 정밀도와 정확도가 좋으며, 가변 부피 형태의 경우 최대 용량을 채워 사용하는 것이 일부만 채워 사용하는 경우보다 정밀도와 정확도가 우수하다. 2. 피펫 팁 피펫 팁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1회용을 사용하며, 이 팁은 ...2025.05.14
-
일반화학실험 레포트 양이온정성분석2025.04.251. 정성 분석 정성 분석은 시료에 들어있는 화학종, 즉 분석물(analyte)이 무엇인지와 같은 비수치적인 정보를 결정하는 것으로, 분석물의 농도 혹은 양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정성 분석은 정량 분석만큼 신뢰할 수는 없지만 종종 훨씬 더 쉽고 빠르고 저렴하게 수행할 수 있다. 2. 정량 분석 정량 분석은 시료에 존재하는 특정 화학종, 혹은 여러 가지 화학종들의 절대적인 양 혹은 상대적인 양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시료 속에 존재하는 성분들이 무엇인지 특정을 하게 되면 각 성분들의 절대적인 양 혹은 상대적인 양을 결정하는 정량...2025.04.25
-
산 염기 적정 실험 결과 보고서2025.11.181. 산 염기 적정법 산과 염기의 표준 용액 제조법을 이용하여 농도를 모르는 염기시료를 산으로 적정하는 실험이다. Na2CO3 표준용액으로 HCl의 농도를 표정한 후, 표정된 HCl로 미지시료 NaOH를 적정하여 농도를 결정한다. n1M1V1=n2M2V2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하며, 당량수는 화학반응식에서 분자 1mol당 내놓을 수 있는 H+ 또는 OH-의 몰수로 결정된다. 2. 몰농도 용액 1리터에 녹아있는 용질의 몰수로 나타내는 농도 단위로 mol/ℓ 또는 M으로 표시한다. 계산 공식은 몰농도(mol/ℓ) = (용질의 몰수(mol...2025.11.18
-
산-염기 적정 실험 예비보고서2025.11.121. 산-염기 적정 산-염기 적정은 알려진 농도의 산 또는 염기 용액을 사용하여 미지의 농도를 가진 염기 또는 산의 양을 결정하는 정량 분석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화학 실험에서 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며, 지시약의 색 변화를 통해 당량점을 판단합니다. 2. 지시약 지시약은 산-염기 적정에서 당량점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입니다. 페놀프탈레인, 메틸오렌지 등이 대표적이며, 특정 pH 범위에서 색이 변하여 적정의 종료점을 명확하게 표시합니다. 3. 당량점 당량점은 산-염기 적정에서 산과 염기가 ...2025.11.12
-
분석화학실험 산 염기 직접 전위차법 예비레포트 A+2025.01.291. 전위차법 전위차법은 용액 중의 이온 농도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목적이온에 반응하여 전기장을 띄는 전극과 목적 이온 농도에 무관하게 일정한 전위를 보여주는 전극을 용액에 침적시켜 전기 화학적 셀을 형성하고, 해당 기전력을 측정하여 이온 농도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2. Henderson Hassel-balch equation 헨더슨-하셀바흐 식은 약산과 알칼리 금속염의 농도로부터 pH를 구하기 위한 근사식입니다. 화학 평형 식에 양변의 대수를 취해 pKa = -logKa로 하여 유도된 식입니다. 3. Nern...2025.01.29
-
모세관을 이용한 유체 점도 측정 실험2025.11.181. 점도(Viscosity) 점도는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의 척도로, 유체의 내부 마찰을 설명한다. 분자 수준에서 점도는 유체의 다른 분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분자 사이의 마찰로 간주될 수 있다. 점도가 낮은 유체는 분자 구성이 움직일 때 마찰을 거의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흐르고, 점도가 높은 유체는 분자 구성이 많은 내부 마찰을 생성하기 때문에 움직임에 저항한다. 점도는 유체 흐름을 만드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결정한다. 2. 모세관 현상(Capillary Phenomenon) 모세관 현상이란 액체 속에 안 ...2025.11.18
-
원심력 실험 결과보고서2025.11.161. 구심력과 원심력 원운동을 하는 물체에서 원의 중심을 향하는 힘인 구심력과 이에 대응하는 원심력의 개념을 다룬다. 등속력 v로 반지름 r인 원형 궤도를 도는 물체의 가속도 크기는 v²/r이며,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원심력이 커진다. 직선 경사로와 곡선 경사로 위의 쇠구슬 실험을 통해 원심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를 이해하고, 회전속도와 반지름의 관계식 tan θ = v²/(rg)를 확인한다. 2. 각속도 측정 물체가 회전하는 비율로 각 위치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각속도를 포토게이트와 디지털 타이머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실험에서 초...2025.11.16
-
실험 13. 생활 속의 산 염기 분석2025.01.181. 산-염기 중화 반응 산과 염기는 서로 대립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고, 산과 염기가 함께 혼합되면 물과 염이 생성되는 중화반응이 일어난다.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은 매우 빠르고 화학량론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중화 반응을 이용해서 수용액 속에 녹아 있는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2. 산-염기 적정 이번 실험에서는 산-염기 적정 방법을 이용하여 식초와 제산제에 들어있는 산과 염기의 농도를 측정할 것이다. 산-염기 적정은 중화 반응을 이용하여 수용액 속에 녹아 있는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정확하게 알아내는 방법이다...2025.01.18
-
Orifice Meter & Venturi Meter 유량 측정 실험2025.11.131. 베르누이 방정식 및 에너지 수지 정상상태 흐름에서 유체의 에너지 보존을 나타내는 베르누이 방정식은 압력수두, 위치수두, 속도수두의 합이 일정함을 의미한다. 에너지 수지 방정식은 유입과 유출 지점에서 단위 질량당 에너지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며, 마찰이 없는 비압축성 유체의 경우 압력 변화와 속도 변화의 관계를 정의한다. 실제 공정에서는 마찰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고려하여 배출계수를 도입해 이론값과 실험값의 차이를 보정한다. 2. 차압식 유량계의 원리 및 특성 차압식 유량계는 관 내부에 압력 강하를 발생시키는 기구를 설치하여 전후 ...2025.11.13
-
비중 및 밀도 측정 실험2025.11.181. 밀도와 비중의 정의 밀도(density)는 단위 부피당의 질량으로 ρ=m/V로 표현되며, 고체>액체>>기체 순서로 크기가 결정된다. 비중(specific gravity)은 기준 물질의 밀도에 대한 어떤 물질의 밀도 비로 SG=ρ/ρref이며 단위가 없다. 고체와 액체의 기준 물질은 4.0°C의 물을 사용하며 이때 밀도는 1.000g/cm³이다. 밀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하며, 특히 기체는 온도 상승 시 부피가 커져 밀도가 작아진다. 2.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와 부력법 물체가 유체 속에 잠기면 중력과 반대 방향의 부력을 받으며...202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