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06개
-
완전 자세한 갑상선 수술 절차, 사용도구 및 간호사 역할 (실제 수술 지침과 순서), 실습하면서 간호사쌤한테 졸라서 얻어낸 자료2025.05.011. Total Thyroidectomy 수술 방법 Total Thyroidectomy는 갑상선의 전부를 제거하는 수술로, 병변의 완전한 제거를 목적으로 합니다. 갑상선을 침범한 병변에 따라 절제 범위가 달라지며, 갑상선 조직을 전부 제거하는 갑상선 전절제술과 종양이 침범한 엽만 제거하는 일엽절제술로 나뉩니다. 수술의 범위는 환자 병변의 진행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2. 수술 시 사용 기구 Total Thyroidectomy 수술에 사용되는 주요 기구로는 Head & Neck set, Deaver M, Small Mayo diss...2025.05.01
-
정형외과에서 많이 쓰는 보조기종류2025.04.291. TLSO 보조기 TLSO 보조기는 허리골절, VP 수술 후 등 / 허리 / 엉치뼈의 관절운동 등 흉 / 요 / 천추의 모든 운동을 제한 또는 고정하는데 사용됩니다. 흉 / 요추 손상 또는 흉 / 요추 수술 후 흉추와 요추의 운동을 최대한 제한하며 몸에 완전히 밀착되어 척추를 곧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입니다. 평균 적용기간은 8주~12주입니다. 2. MCL 보조기 MCL 보조기는 TKR, A/S 시 내측 / 외측 슬관절 파열, 인대손상 시 관절측에 대한 회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합니다. 슬관절 굴곡 신전을 허용하지만 외전 / 내...2025.04.29
-
수술실 사전과제2025.01.141. 수술실 기본 구조와 기능 수술실은 의료 장비와 기기를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며, 환자의 안전을 위한 각종 시스템과 장치들을 갖추고 있다. 수술실은 다른 곳보다 각 공간의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하며, 환기, 온도, 습도 등의 관리가 중요하다. 2. 모자, 마스크, 수술가운, 장갑 착용법 수술실 제한구역 및 준 제한 구역에서는 모자, 마스크, 수술가운,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착용 방법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멸균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3. 외과적 손씻기 수술에 참여하는 간호사와 의사가 수술에 들어가...2025.01.14
-
뇌졸중 환자의 언어, 인지치료와 뇌수술 전후 간호2025.01.051. 언어치료 및 간호 뇌졸중 환자의 언어 치료 방법에는 자극 중심 치료법, 듣기 중심 치료, 말하기 중심 치료, 단어 인출 치료법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행동적 치료법, 약물, 수술적 치료법 등을 적용하여 말 명료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어증, 마비말장애, 말실행증 등의 언어 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환경적 자극을 줄이고, 간단한 질문을 사용하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고,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활용하는 등의 방법이 필요하다. 2. 인지치료 및 간호 뇌졸중 환...2025.01.05
-
수지 절단 사례 연구2025.01.051. 수지 절단 수지 절단은 피부, 골, 건, 그 어느 조직도 붙어 있지 않고 신체에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말한다. 주로 기계톱, 프레스기계, 날카로운 도구 등에 의한 산재사고로 발생하며, 혈관 폐쇄, 관절 강직,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응급처치로는 절단 부위를 생리식염수로 씻고 멸균 거즈로 싸서 얼음에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은 혈관 및 신경 봉합, 골 고정 등의 순서로 진행되며, 수술 후 관리로는 혈류 감시, 항응고제 투여, 금연, 안정 등이 필요하다. 1. 수지 절단 수지 절단은 의료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2025.01.05
-
간호학과 성인간호학 A+ 수술실 요관스텐트설치술 CASE2025.01.141. 요관 스텐트 삽입술 요관 스텐트 삽입술은 요관의 개방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뇨의학과의 중재적인 방법입니다. 주로 요관의 폐쇄, 요관의 누공(fistula), 협착, 결석 치료에 의한 요관 손상을 회복시키기 위해 시행됩니다. D-J 스텐트는 양성 또는 악성 요관 폐색, 결석 치료의 보조요법으로 기구 삽입이나 체외충격파쇄석술 후 결석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요관 수술 후에 요관 개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요관의 샛길(fistula)에 대한 소변길 전화 등을 위해 필요합니다. 2. 요관 결석 치료 요관 결석은 많은 사람에게...2025.01.14
-
성인간호학 충수돌기염 사례연구보고서(OR)(간호과정2개)2025.05.161. Appendicitis(충수염) 충수염은 맹장에 붙어 있는 충수라는 작은 기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충수염의 정확한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어떤 원인으로 인해 충수돌기의 개구부가 폐쇄되면서 시작된다. 충수염의 주요 증상은 복통, 소화기 증상, 발열 등이며, 진단을 위해 McBurney's point 압통, Rovsign's sign 양성, 백혈구 증가 등의 검사가 이용된다. 급성 충수염의 치료는 수술이 원칙이며, 최근에는 복강경 수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2. Laparoscopy(복강경시술) ...2025.05.16
-
수술실, 마취실 실습 필수 이론2025.01.141. 전신마취 전신마취는 혈관이나 기도로 약물을 투입하여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일시적으로 온몸의 감각과 의식을 저하 또는 소실시키는 것으로, 수술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위해 근이완제를 함께 사용한다. 환자의 연령과 체격, 수술 내용 등에 따라 마취과 전문의가 적절한 종류와 양의 마취약을 선택해 투여 및 조절한다. 자발적인 호흡이 억제되는 수술동안 기도삽관을 통해 안전하게 기도를 확보해 보조 호흡과 인공 호흡을 시행하며, 수술 및 검사 시간 동안 환자의 의식을 완전히 없애 통증과 기억을 제거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전신마취에는 흡입마...2025.01.14
-
간호학과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 스터디2025.01.121. 인지능력저하와 관련된 기억 장애 대상자는 치매 진단을 받고 3-4년이 경과했으며, K-MMSE 검사 결과 16점으로 의사소통은 양호하지만 기억력 장애와 지남력 장애가 관찰됩니다. 대상자는 '오늘이 며칠이에요?', '오늘이 무슨 요일이에요?' 등의 질문을 지속적으로 하며, 이틀 전 손녀가 면회 왔던 일을 기억하지 못하고, 실습생이 왔냐는 질문에 '난 몰라~'라고 답변하는 등 기억력과 지남력 장애가 관찰됩니다. 2. 고관절수술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대상자는 89세 노인으로 골다공증, 빈혈 등의 진단을 받았으며, 2021년과 202...2025.01.12
-
[성인간호학] 신경외과 중환자실 - 문제중심 간호사례 연구 (간호진단 2개)2025.05.031.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대상자는 수술 후 subdural drain catheter가 삽입되어 있어 supine position, head flat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부동 상태이다. 이에 따라 피부 발적 및 욕창 발생 위험이 있다. 간호사는 2시간마다 피부 상태를 사정하고 체위를 변경하며, 영양 섭취를 돕고 압력 감소 도구를 사용하는 등 예방적 간호를 제공하여 피부 통합성을 유지하고자 한다. 2.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대상자는 subdural drain catheter와 foley catheter가 삽입된 상태...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