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0개
-
20240929일 열왕기하 15장 1절-22절, 예후 왕조의 멸망, 하나님의 약속과 심판 - 매일성경 큐티 새벽예배설교문2025.01.231. 하나님의 약속 성취 본문에서 하나님께서 예후에게 약 100년 전에 약속하신 대로 예후의 4대 왕위가 이루어진 것을 통해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볼 수 있다. 하나님의 말씀은 반드시 성취되며, 우리가 의지할 수 있는 유일한 신뢰할 만한 약속이다. 2. 죄의 결과와 하나님의 심판 예후 왕조의 왕들은 겉으로는 하나님을 섬기는 척했지만, 실제로는 우상숭배를 버리지 않고 백성들을 범죄하게 만들었다. 이에 하나님의 심판이 임했고, 예후의 집안이 멸망하게 되었다. 이는 죄에는 반드시 결과가 따른다는 교훈을 준다. 3. 혼란의 시대와 하나님의 ...2025.01.23
-
성경 해석에 있어 통시적 접근과 공시적 접근의 특징과 장단점2025.05.141. 공시적 접근법 공시적 접근법은 어떤 말이나 주제가 특정한 시기에 어떤 양상을 가졌는지를 고찰하는 방법이다. 즉 성경을 한정된 시기를 배경으로 두고 성경 본문이 전달하는 신학적 메시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때 특정 본문 자체의 문화적, 역사적, 신학적 배경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2. 통시적 접근법 통시적 접근법은 어떤 말이나 주제에 대해서 시간의 흐름을 고려한 역사적 고찰 방법이다. 즉 성경 본문에서 신학적 중심 사상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중점을 둔다. 3. 공시적 접근법의 장단점 공시적 접근법의 장점은 첫째...2025.05.14
-
바로크 시대상과 작가 내면의 고뇌를 담아2025.01.261. 카라바조의 작품과 바로크 시대 카라바조(Caravaggio)의 작품은 바로크 시대가 막 태동할 무렵 그려졌다. 그의 작품은 이전 화가들의 매너리즘적인 화풍과 달리 어두운 배경과 강조된 인물 표현으로 극적인 효과를 연출했다. 이러한 그의 독특한 화풍은 당시 미술계에서 이단적으로 취급되었지만, 점차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로 평가받게 되었다. 2. 카라바조의 삶과 작품에 반영된 내면의 고뇌 카라바조의 삶은 가난한 가정 환경, 불우한 유년기, 살인 사건으로 인한 도망자 신세 등 굴곡진 삶의 궤적을 보였다. ...2025.01.26
-
바로크 미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와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2025.05.111. 바로크 미술 바로크 미술은 17세기 유럽에서 발전한 미술 양식으로, 대부분의 작품 속 남성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여성은 화려한 옷을 입고 사치스러운 표현 또는 가냘픈 신체로 남성의 장식품처럼 표현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바로크 미술이 당시 가부장적인 사회 분위기에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2.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Artemisia Gentileschi, 1593-1654)는 17세기 바로크 시대에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화가이다. 남성 중심이었던 바로크 미술에서 젠틸레스키의 ...2025.05.11
-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 영화 비평문2025.01.121. 영화 소개 및 전체적인 줄거리 영화 '엑소더스 : 신들과 왕들'은 성경의 구약 성서의 출애굽기를 바탕으로 한 영화로, 모세와 히브리인들의 이집트 제국 탈출을 다룬 영화이다. 영화의 배경은 이집트로 인간인 파라오가 마치 신과 같은 존재로 군림하던 시대이다. 모세와 람세스는 서로를 의형제처럼 여기며 의지하지만, 모세가 새로운 지도자가 될 것을 암시하는 신탁이 내려와 그들 사이에 불신이 생긴다. 모세는 자신의 충심을 보이며 자신은 결코 지도자가 될 마음이 없다는 것을 보이며 신뢰를 다시 쌓고자 한다. 그러나 그가 실은 노예의 민족인...2025.01.12
-
토마스 선교사 이야기 독일어2025.05.161. 토마스 선교사 토마스 선교사는 1863년 12월 중국 상하이에 도착하여 선교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그의 아내 캐롤라인이 유산 합병증으로 4개월 만에 사망하자 그는 큰 슬픔에 빠졌습니다. 이후 그는 상하이에서 중국 지아싱으로 선교 활동 장소를 옮겼습니다. 1865년 9월 그는 한국을 처음 방문했고, 1866년 8월 두 번째 방문 때 한국 병사들에 의해 살해되어 순교했습니다. 그가 던져버린 성경책들은 한국 기독교 전파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1. 토마스 선교사 토마스 선교사는 19세기 초반 한국에 기독교를 전파한 선구적인 인물입니다...2025.05.16
-
사진작가 Peter Funch의 작품 '바벨 이야기'2025.01.031. 사진작가 Peter Funch Peter Funch는 1974년 덴마크 출생으로 현재 뉴욕에서 활동하는 사진작가입니다. 그는 복잡하고 바쁜 도시 속 사람들의 모습을 관찰하고 포착하는 것에 관심이 있습니다. 그는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공통점을 발견하고자 했으며, 이를 작품 '바벨 이야기'로 표현했습니다. 이 작품은 다양한 모습의 행인들을 한 프레임에 담아내어 그들의 공통점을 효과적으로 보여줍니다. 2. 작품 '바벨 이야기' Peter Funch의 '바벨 이야기' 작품은 2주 동안 뉴욕 거리에서 촬영한 행인...2025.01.03
-
독생자 같은 영광과 고린도전서 7장 바울의 의견과 레위기 2장의 소제물과 as 단어 연구 - glory as of the only Begotten2025.01.221. 독생자 같은 영광 요한복음 1장 14절에서 '독생자 같은 영광'이라고 한 이유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연합되어 있어 그 영광이 하나님 같기도 하고 사람 같기도 한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이는 고린도전서 7장과 레위기 2장에서 찾을 수 있는 '육체 되심의 원칙'과 관련이 있다. 2. 사도 바울의 말과 지시와 의견과 생각 고린도전서 7장에서 바울은 때로는 주님의 명령을 전하고, 때로는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만, 이 모두가 신약의 '육체 되심의 원칙'에 근거한다. 즉 바울이 말한 것은 주님과 하나 된 상태에서 나온 것이다. 3....2025.01.22
-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 르네상스 예술의 정수2025.01.241. <최후의 심판>의 구도와 인체 표현의 특징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은 시스티나 성당의 제단 벽 전체를 채우는 대작으로, 구도의 웅장함과 인체 표현의 극적인 묘사가 돋보입니다. 작품은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천사와 성인, 그리고 심판을 받는 영혼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구성을 이루고 있습니다. 미켈란젤로는 비틀린 인체의 역동성과 강렬한 근육 묘사를 통해 인체의 입체적이고 조각 같은 표현을 극대화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최후의 심판>이 단순한 종교화가 아니라, 미켈란젤로의 예술적 깊이와 장인 정신을 집약한 작품이라는 점을 ...2025.01.24
-
고도를 기다리며 - 유신론적 고찰(A+과수석 에세이)2025.05.021.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에 대한 유신론적 해석을 제시합니다. 무신론적 관점과 달리 유신론적 관점에서 이 작품을 분석하면 새롭고 흥미로운 해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작품 속 상징물들, 특히 '나무'와 '트렁크'를 통해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의미를 살펴보고, '고도'의 정체에 대해 성경적으로 해석해봅니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이 인간의 삶과 신과의 관계에 대해 던지는 시사점을 도출합니다. 1.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사무엘 베케트의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는 현대 연극사에서...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