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80개
-
3주 2차시에서 한국어 자음의 특징과 발음 교육에 대해 학습했습니다2025.01.031. 일본인 학습자의 평음/경음/격음 구별과 관련된 오류 일본인 학습자들은 일본어 발음과 한국어 발음의 조음 차이로 인하여 평음, 경음, 격음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어두에서 평음을 격음화하거나 어중에서 평음을 경음으로 발음하는 오류가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음 위치와 성대의 진동 유무, 혀의 이동으로 조음되는 방식을 자세히 설명해주고, 발음 훈련을 통해 평음, 경음, 격음의 차이를 분명히 구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 일본인 학습자의 평음/경음/격음 구별과 관련된 오류 일본어와 한국어의 자음 체계에는 ...2025.01.03
-
외국인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한국어의 어려운 발음 사례2025.01.041. 한국어 자음 체계 발음의 어려움 한국어의 자음 체계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와 다르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는다. 영어에는 한국어에 없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있고, 일본어는 한국어보다 자음의 수가 적으며 발음 규칙이 다르다. 중국어에는 한국어에 없는 치음과 권설음이 있고 자음의 유기성도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고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한국어 모음 체계 발음의 어려움 한국어의 모음 체계도 외국어와 다르기 때문에 발음이 어렵다. 영어에는 한국어에 없는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이 있고, 일본어는 ...2025.01.04
-
한국어 발음 교육과 말소리 생성 과정2025.11.111. 말소리 생성 과정 3단계 말소리 생성은 발동, 발성, 조음의 3단계로 구분된다. 발동 과정에서는 폐에서 기류를 조달하며, 한국어의 모든 소리는 부아 날숨소리이다. 발성 과정에서는 성대가 기류를 조절하여 유성음과 무성음을 구분한다. 조음 과정에서는 성도를 통과한 기류가 변형되어 자음과 모음이 생성된다. 이 세 과정은 순차적이면서도 거의 동시에 발생하며, 정상적인 발화를 위해서는 호흡, 발성, 조음기관의 협응이 필수적이다. 2. 조음 기관의 구조와 기능 조음기관은 입술, 턱, 혀, 인두, 연구개 등의 동적 구조물과 경구개, 치아 ...2025.11.11
-
한국어와 다른 언어(중국어, 일본어, 영어 가운데 택1)의 자음 체계를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자음의 교육 방안에 대해 기술해보자2025.01.171. 한국어의 자음체계 한국어의 자음은 19개로 조음위치와 조음 방식 2가지 기준에 따라 구분된다. 조음위치에 따라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으로 나뉘며, 조음 방식에 따라 폐쇄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으로 구분된다. 또한 한국어는 평음, 경음, 격음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2. 영어의 자음체계 영어의 자음은 알파벳 26글자에서 모음 5개를 제외한 21개로 이루어져 있다. 영어의 자음은 조음점, 조음방법,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구분된다. 유성음과 무성음, 양순음, 순치음, 치음, 치경음, 경구개치경음, 구개음...2025.01.17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발음 오류와 교육 방안2025.11.121. 평음/경음/격음의 음운 체계 한국어의 폐쇄음은 평음, 경음, 격음의 3가지 대립을 이루는 특이한 체계로, 기식성과 긴장성의 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평음과 격음은 모두 기식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식성의 강약으로 격음과 평음이 변별된다. 이는 다른 외국어의 자음 체계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대립 체계이다.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중국어에 평음에 대응되는 자음이 없어 한국어의 평음을 경음이나 격음으로 잘못 발음하는 오류를 보인다. 2.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오류 유형 중국어권 학습자의 주요 오류는 다음과 같다: 1) 바다→[빠다] ...2025.11.12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발음교육론_한국어와 다른 언어(중국어, 일본 어, 영어 가운데 택1)의 자음 체계를 비교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자음의 교육 방안에 대해 기술해 보자.2025.01.211. 한국어 자음 체계 한국어 자음은 기본적으로 19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평음, 경음, 격음으로 구분되며, 이들 자음의 발음은 음성학적으로 차이가 있어 발음 교육에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2. 영어 자음 체계 영어 자음은 총 24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분류된다. 한국어 자음 체계와 여러 가지 면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치음, 권설음, 그리고 한국어에는 없는 특정 음소들이 영어 자음 체계의 특징이다. 3. 한국어와 영어 자음 체계의 비교 한국어와 영어 자음 체...2025.01.21
-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중국어권 학습자의 평음/경음/격음 구별 오류와 교육 방안2025.05.101.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발음 오류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평음, 경음, 격음 발음에 많은 오류를 보인다. 특히 평음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데, 이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자음 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중국어는 무기음과 유기음의 이중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한국어는 평음, 경음, 격음의 삼중 체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중국어의 유기음은 한국어의 평음과 격음 중간 정도의 기식성을 가지고 있어,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평음과 격음의 기식성 차이를 잘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2. 중국어권 학습자의 평음 발음 오류 예시 중국어권...2025.05.10
-
현대 국어에 나타나는 경음화 현상2025.05.151. 경음화 경음화란 자음과 자음이 이웃할 때 평음이 경음으로 발음되는 음운현상을 말한다. 현대 국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경음화 현상은 폐쇄음 뒤의 경음화, 용언 어간 받침 비음 뒤 경음화, 겹받침 'ㄼ, ㄾ' 뒤의 경음화, 관형사형 'ㄹ' 뒤의 경음화, 사이시옷에 의한 경음화, 한자어와 관련된 경음화, 어두 경음화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 중 일부는 규칙적으로 설명이 가능하지만 사이시옷과 한자어 관련 경음화는 수의적이고 불규칙적인 성격을 지닌다. 2. 폐쇄음 뒤의 경음화 받침인 폐쇄음 /ㄱ, ㄷ, ㅂ/ 뒤에 연결되는 폐쇄...2025.05.15
-
외국인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한국어의 어려운 발음 사례2025.01.031. 자음 체계에서 한국어 발음의 어려움 한국어의 자음 체계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와 다르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이 평음, 경음, 격음의 구별에 어려움을 겪는다. 영어에는 한국어에 없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있고, 일본어는 자음이 적으며 발음이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 중국어에는 한국어에 없는 권설음과 치음이 있으며 무성음이 많다. 2. 모음 체계에서 한국어 발음의 어려움 한국어의 모음 체계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와 다르다. 영어에는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이 있고 [ㅡ]와 같은 중설 고모음이 없다. 일본어는 모음 수가 적어 [ㅜ...2025.01.03
-
스페인어 모음과 자음에 대한 정리2025.04.281. 스페인어 모음 스페인어 모음은 a, e, i, o, u로 구성되며, 강모음(a, e, o)과 약모음(i, u)으로 구분됩니다. 강모음은 casa(집), mesa(탁자), pino(소나무), oso(곰), cama(침대), cafe(커피), todo(모든) 등에 사용되고, 약모음은 luna(달), tinta(잉크), mucho(많은) 등에 사용됩니다. 또한 이중모음과 삼중모음도 존재합니다. 2. 스페인어 자음 스페인어 자음에는 b, c, ch, d, f, g, h, j, l, ll, m, n, ñ, p, q, r, rr, s,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