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4개
-
감염 예방관리 간호2025.01.111. 손 위생 손 위생이 필요한 다섯 가지 시점은 환자 접촉 전, 청결/무균 처치 전, 체액 노출 위험 후, 환자 접촉 후, 환자 주위 접촉 후입니다. 외관적 무균술의 기본 원리에는 멸균 물품이 비멸균에 닿으면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 멸균 포장을 열 때 먼 쪽으로 펴는 것, 젖은 부위는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 등이 포함됩니다. 2. 표준주의 지침 표준주의 지침에 따르면,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에 오염된 물건을 만졌을 때는 장갑 착용 여부와 상관없이 손을 씻어야 합니다. 환자 처치 후 다른 환자를 처치할 경우 반드시 ...2025.01.11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유치도뇨(Foley catheterization)2025.05.091. 유치도뇨(Foley catheterization) 유치도뇨는 소변 배출 통로가 폐쇄된 경우 소변을 배출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소변 배출을 위해, 시간당 소변 배설량을 측정하기 위해, 실금 대상자의 피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 주입이나 지속적인 방광 세척을 위해, 수술 대상자의 방광 손상을 예방하고 수술 부위의 오염을 막기 위해, 무의식이나 척추 손상 환자의 요정체를 예방하기 위해 실시한다. 유치도뇨 시 준비물품, 방법, 주의사항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2. 유치도뇨 준비물품 유치도뇨 시 필요한 준비물품으로는 유치도뇨...2025.05.09
-
[수술간호실습 case study] 수술실, 갑상선절제술, 신장절제술 - 수술 전중후 과정, 마취과 & 간호사 역할 구분2025.01.291. 갑상선절제술 갑상선절제술은 갑상선 종양 또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의 치료를 위해 갑상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수술 전 환자 평가, 마취 관리, 수술 중 갑상선 및 주변 구조물 박리와 절제, 수술 후 관리 등 다양한 간호 활동이 필요합니다. 2. 신장절제술 신장절제술은 신장암 등 신장 질환 치료를 위해 신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수술 전 환자 평가, 마취 관리, 수술 중 신장 및 주변 구조물 박리와 절제, 수술 후 배액관 관리, 수액 및 전해질 균형 유지 등의 간호 활동이 필요합니다. 3...2025.01.29
-
성인간호학실습 laparoscopic cholecystectomy(복강경 담낭절제술) 케이스 스터디2025.05.151. 급성 담낭염 담낭염(cholecystitis)은 담낭벽의 염증을 말한다. 담낭염은 발병의 기간에 따라 급성 담낭염과 만성 담낭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급성 담낭염의 일반적인 원인은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이다. 급성 담낭염 시 오른위사분역(RUQ)에서 통증을 느끼며 때로는 오른쪽 견갑골에서 통증을 경험하기도 한다. 진단을 위해 담관초음파 촬영술, 복부 방사선 촬영, 방사선 핵종 영상법 등이 사용된다. 급성 담낭염이 의심되는 경우 항생제 투여와 함께 담낭절제술이 결정된다. 2. 복강경 담낭절제술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담낭을 제거하...2025.05.15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무균술2025.05.111. 무균술 무균술은 감염관리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을 최소화함으로써 침습적 시술 동안 환자를 보호하는 기술이다. 내과적 무균술(Clean technique)과 외과적 무균술(Sterile technique)로 구분되며, 각각 병원체 감소/전파 방지와 미생물 오염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손위생, 가운/마스크/장갑 착용 등의 방법으로 수행되며, 상황에 따라 표준무균술 또는 외과적 무균술을 적용한다. 2. 손위생 손위생은 감염예방의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손에 있는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여 환자로부터 다른 환자나 환경, 직원에게 전파되는...2025.05.11
-
제왕절개술, 분만시 준비물품 요약(수술실)2025.05.051. 제왕절개술 준비물품 제왕절개술 시 사용되는 주요 준비물품에는 c/s set, army navy retractor, hemostat, needle holder, kelly, sponge forcep, vulsellum, pin, Allis, 삼각 감자, Kocher, delivery forcep, Deaver, Rechardson, suction tip, 무영등 손잡이, Bovie tip, 알콜 종지, 베타딘 종지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수술 중 조직 절개, 봉합, 출혈 관리, 태반 제거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2025.05.05
-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관리2025.01.221. 요로감염 예방 지침 요로감염 예방을 위한 지침으로는 유치도뇨관 삽입과 사용기간 최소화, 유치도뇨관 삽입 시 무균술 적용, 가이드라인에 따른 유치도뇨관 관리, 매일 유치도뇨관 유지의 필요성 평가 등이 포함됩니다. 2. 소변 검체 채취 방법 소변 검체 채취 시 무균술을 적용하며, 준비물품, 소독 방법, 검체 채취 및 보관 등의 절차가 포함됩니다. 3. 소변백 비우는 절차 소변백을 비울 때는 유치도뇨관을 잠그고, 손위생 후 청결장갑을 착용하며, 배액구를 소독하고 포트에 끼우는 등의 절차가 필요합니다. 4.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2025.01.22
-
성인+시뮬+접촉주의 병원성 감염균의 종류2025.04.261.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는 직/간접 접촉 및 오염된 의료기구, 환경을 통해 전파되며, 포도알균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균이지만 침습적인 시술이나 수술 등을 통해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화농성 염증, 식중독, 패혈증, 피부연조직 감염 등이 있으며,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전파경로 차단, 항생제 사용 주의, 손위생과 의료기구 소독/멸균 등이 필요하다. 2. VRSA(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2025.04.26
-
최다 조회수&구매율 돌파!! (같은 진단내) 두개내 출혈 ICH 케이스 (성인간호학 A+) 간호진단 간호과정 3개2025.05.011. 뇌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대상자의 의식 수준, 활력징후, 동맥혈가스분석 결과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모니터링하여 뇌압 상승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간호중재를 수행하였다. 약물 투여, 체위 관리, 산소 공급 등의 중재를 통해 대상자의 상태를 안정화시키고자 하였다. 2.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대상자의 활력징후, 동맥혈가스분석 결과, 객담 양상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사정하여 기도 청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였다. 산소 공급, 약물 투여, 흉부 물리요법, 흡인 등의 간호중재를 통해 기도 청결을 증진...2025.05.01
-
수술실 사전과제2025.01.141. 수술실 기본 구조와 기능 수술실은 의료 장비와 기기를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며, 환자의 안전을 위한 각종 시스템과 장치들을 갖추고 있다. 수술실은 다른 곳보다 각 공간의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하며, 환기, 온도, 습도 등의 관리가 중요하다. 2. 모자, 마스크, 수술가운, 장갑 착용법 수술실 제한구역 및 준 제한 구역에서는 모자, 마스크, 수술가운,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착용 방법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멸균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3. 외과적 손씻기 수술에 참여하는 간호사와 의사가 수술에 들어가...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