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5개
-
영작문1 과제물2025.01.121. 주어-동사 수일치 주어와 동사의 수를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단수 주어에는 단수 동사를, 복수 주어에는 복수 동사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All she wanted to do are run a marathon'에서 'are'를 'is'로 고쳐야 한다. 2. 수와 관련한 명사의 형태 명사의 단수/복수 형태를 정확히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People thought that Tom had no manners at all'에서 'manners'를 'manner'로 고쳐야 한다. 3. 상황에 맞는 동사의 형태 문장의 ...2025.01.12
-
2학년 일본어 2 교과 학생 평가 규정 및 수행평가 계획안2025.05.061. 일본어 동사 활용 일본어 동사의 접속형을 이해하고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함. 동사의 과거시제와 접속형을 익혀 다양한 문장 표현을 구사할 수 있게 됨. 2. 일본어 어휘 학습 일본어 어휘를 익혀 어휘력을 향상시키고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게 함. 3. 일본어 문체 학습 보통체와 정중체를 익혀 상대방에게 맞는 자연스러운 표현을 구사할 수 있게 함. 4. 일본어 조동사 학습 가능, 수동, 비유, 전문, 추측 등의 조동사 표현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름. 5. 일본 문화 이해 일본어와 일본문화를 ...2025.05.06
-
한국어 동사와 형용사의 범주 구분 논의2025.11.171. 형용사의 의미적 특성 한국어 형용사는 경험주의 심리적, 신체적 감각 상태나 대상에 대한 일시적 혹은 항구적 상태를 나타낸다. 동사의 객관적 서술과 달리 형용사는 화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된다. 형용사는 단일 사태를 표현하는 반면 동사는 두 개 이상의 사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예쁘다'는 단순한 상태 표상이지만 '예뻐지다'는 상태 변화를 전제한다. 따라서 형용사를 '상태 동사'로 규정하는 것은 부정확하다. 2. 형용사의 형태적 특성 형용사는 동사와 달리 청유문, 명령문, 약속문, 감탄문을 나타내는 어미와 결합할 수 없다. 현...2025.11.17
-
스페인어의 시간과 요일의 표현 정리2025.05.021. 시간 표현 스페인어에서 시간을 표현할 때는 'ser동사+여성 정관사+기수'의 형태로 쓰인다. 한 시의 경우 es와 la를 사용하고, 두 시 이상의 경우 ser동사와 여성 정관사를 복수 형태로 쓴다. 시간과 분을 표현할 때는 시간과 분 사이에 y를 사용하며, 30분부터 59분까지는 y를 생략하기도 한다. 또한 '몇 시에'라는 표현을 사용할 때는 전치사 a를 시간 앞에 붙여 쓴다. 2. 일과 요일에 관한 표현 스페인어에서 '오늘은 며칠입니까?'라는 표현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요일의 명칭이 ser동사의 보어로 쓰이면 관사를 생략하고...2025.05.02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화용·관련어 정보를2025.05.151. '-느라고'의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 및 활동 교수방법 '-느라고'는 앞 절의 사태가 뒤에 이어지는 절의 사태에 의도 및 목적, 원인 혹은 이유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이다. 즉, 이는 선행절에서의 시간 및 노력이 후행절의 행위 혹은 상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낸다. '-느라'와 '-고'를 결합하여 형성된 연결어미로서, 동작동사 가운데 시간을 필요로 하는 동사와만 붙여서 쓰인다. '-느라고'는 후행절에 명령형이나 청유형이 오는 경우 사용되지 않는다. 더불어 시상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와는 결합하지 않는다는 특징...2025.05.15
-
단형피동과 장형피동의 의미 차이2025.11.131. 단형피동 단형피동은 피동접사(이/히/리/기)에 의한 파생적 피동법으로, 능동사의 어간에 피동접미사가 붙어 실현된다. 대체로 자발적이거나 우연히 발생한 사태를 표시하는 데 많이 사용되며, 모든 동사에 적용되지 않는다. 단형피동은 '저절로'와 같은 부사와 자연스럽게 사용되며, 날씨 변화나 자연현상 같은 인간 행위자가 관여하지 않은 자발적 사건을 표현할 때 적합하다. 2. 장형피동 장형피동은 '~아/어지다'와 같은 보조용언에 의한 통사적 피동법으로, 단형피동에 비해 형태적으로 길다. 단형피동과 달리 큰 제약 없이 거의 모든 동사에 ...2025.11.13
-
한국어교원 레포트 _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2025.01.111. '-느라고'의 의미· 형태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 및 활동 교수방법 '-느라고'는 앞 절의 사태가 뒤에 이어지는 절의 사태에 의도 및 목적, 원인 혹은 이유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이다. 즉, 이는 선행절에서의 시간 및 노력이 후행절의 행위 혹은 상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나타낸다. '-느라'와 '-고'를 결합하여 형성된 연결어미로서, 동작동사 가운데 시간을 필요로 하는 동사와만 붙여서 쓰인다. '-느라고'는 후행절에 명령형이나 청유형이 오는 경우 사용되지 않는다. 더불어 시상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와는 결합하지 않는다는 특징...2025.01.11
-
중국어 판단 동사 是의 발생과 발전2025.05.081. 계사의 발생과 발전 상고한어에서는 계사의 도움 없이도 판단구를 구성할 수 있었다. 是는 지시대명사에서 계사로 발전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주어와 술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대한어 시기에 是가 계사로 정착되었고, 이후 다양한 활용법이 생겨났다. 是는 긍정과 부정을 나타내는 등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2. 상고한어의 판단구 구성 상고한어에서는 계사 없이도 판단구를 구성할 수 있었다. 주어 뒤에 어기조사 也를 붙이거나 者를 붙이는 등의 방식으로 판단구를 만들었다. 이때 是는 지시대명사로 사용되었지 계사는 아...2025.05.08
-
관형사, 부사와 관형어, 부사어의 차이2025.11.171. 관형사 관형사는 명사, 수사, 대명사 앞에서 이들을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품사입니다. '새 신발', '저 컵' 등의 예시처럼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하며, 조사나 어미와 결합이 불가능합니다. 지시 관형사, 성상 관형사, 수관형사, 한자어 관형사 등 4가지로 분류됩니다. 관형사는 형태 변화가 없는 불변사로 문장에서 직접적인 주어나 서술어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 부사 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등을 꾸며주는 품사로, 관형사와 달리 명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장 구성 요소를 수식합니다. '정말 좋다', '몹시 뜨겁다' 등...2025.11.17
-
격조사와 보조사의 차이를 설명하시오2025.01.131. 조사 조사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뒤에 붙어 다른 말에 대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주고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이다. 조사는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로 나뉜다. 2. 격조사 격조사는 체언(명사, 수사, 대명사)에 결합하여 용언(동사, 형용사)에 대한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는 조사로, 주격 조사, 목적격 조사, 보격 조사, 부사격 조사 등이 있다. 격조사는 문장 안에서 명사구가 어떤 성분(주어, 목적어, 관형어 등)으로 쓰이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3. 보조사 보조사는 명사구 뒤에 붙어 특정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로, 문법...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