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3개
-
건설 기본교육 중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대한 서술2025.01.181. 연약지반의 정의 및 특징 연약지반이란 N치가 0~4 이하의 지층지반을 말한다. 연약지반은 미세립의 액상토립자로 이루어진 포화지반으로, 함수비가 크고 입자의 구성상태가 느슨하여 강도가 약하며 압축되기 쉬운 지반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기초지반으로써 충분한 지지력을 갖지 않은 지반이다. 2. 연약지반의 판정기준 연약지반의 판정기준은 연약층 심도가 2m 이상, 잔류 침하량이 5cm 이상, 표준관입시험치가 점성토 N<4, 사질토 N<8~10 이하, 일축압축강도 시험값이 qc<0.6kg/㎠ 이하, 콘관입지지력이 qc<5kg/㎠ 이하, 자...2025.01.18
-
흙의 최대최소건조단위중량 시험 결과보고서2025.11.131. 건조단위중량과 상대밀도 흙의 역학적 특성은 입자의 촘촘한 정도인 상대밀도에 따라 결정된다. 최대건조단위중량은 흙이 가장 조밀한 상태일 때의 단위중량이며, 최소건조단위중량은 가장 느슨한 상태일 때의 단위중량이다. 상대밀도는 이 두 값을 이용하여 계산되며, 0~100%로 표현된다. 본 실험에서 최대건조단위중량은 1.89gf/cm³, 최소건조단위중량은 1.673gf/cm³로 측정되었고, 상대밀도는 50%로 계산되어 중간 정도의 조밀함을 나타낸다. 2. 흙의 구조와 간극비 조립토는 단립구조, 벌집구조, 접착구조로 분류되며, 세립토는 ...2025.11.13
-
흙의 비중 측정 실험 결과보고서2025.11.131. 흙의 비중(Specific Gravity of Soil) 흙 입자의 비중은 흙 입자의 중량을 같은 체적의 물의 무게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피크노미터를 이용하여 노건조시료의 무게와 피크노미터에 담긴 물의 무게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계산된다. 실험 결과 평균 비중값은 2.4734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일반적인 흙 입자의 비중 2.6보다 약간 낮은 값이다. 비중은 흙의 간극비, 포화도 등 기본 물성을 구하는 데 필수적인 지표이며, 흙의 구성광물과 견고한 정도를 파악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2. 흙의 분류 및 기본 물성 토양은 입자 ...2025.11.13
-
집수매거 용량검토2025.05.031. 집수매거 용량계산 집수매거 용량계산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관경, 유입속도, 집수유공관 등의 설계조건을 바탕으로 취수량, 집수매거 필요연장, 집수매거 유속 등을 계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수계수에 따른 흙의 종류별 일반적인 투수계수 정보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집수매거 설계 집수매거 설계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관경, 연장, 유입속도 등의 설계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장래 퇴적물에 의한 유량 감소를 고려하여 실제 설치 가능한 연장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 취수량 계산 결과도 제시하고 있습니다...2025.05.03
-
[환경공학실험] 토양 특성 및 입경 분포 분석2025.01.131. 체 분석 체 분석은 0.075 mm 체에 잔류한 흙 입자를 적용하여 시험용 체에 의한 입도 시험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도를 계산할 수 있다. 2. 비중계 분석 비중계 분석은 0.075 mm 체를 통과한 흙 입자에 대해 적용하도록 한다. 흙 입자 현탁액의 밀도 측정에 의한 입도 시험으로써 2 mm 체 통과분을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입도를 계산할 수 있다. 3. 토양 입도 분류 토양의 입도를 입경(mm)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USDA 분류와 국가기술표준원 분류가 있으며, 입경이 큰 순서대로 자갈, ...2025.01.13
-
건설현장 주변 침하 및 구조물 관리실무2025.11.151. 부등침하 부등침하는 구조물의 기초에서 침하가 균일하지 않고 장소에 따라 다른 침하량을 나타내는 현상이다. 주로 지하수위의 변동, 연약한 지반, 압밀침하에 의해 발생하며 진동과 충격으로도 일어날 수 있다. 피사의 사탑이 대표적 사례로, 착공 1년도 채 안되어 침하가 발생했으나 강선설치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납 설치 등으로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기초 침하가 발생하면 구조물에 인장력으로 인한 균열이 생기며, 이를 방치하면 구조물 붕괴로 이어진다. 2. 흙의 성질과 지반 관리 흙은 역학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2025.11.15
-
[지반공학 및 실험] 압밀시험2025.01.131. 압밀시험 압밀시험은 흙의 측면을 구속하고(구속력) 축 방향 배수를 허용하면서 하중을 재하할 때 압밀량과 압밀속도에 관련된 계수들을 구하는 시험이다. 압밀시험을 통해 공극비-압력곡선, 시간-변형량 곡선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축지수, 재압축지수, 압밀계수 등의 압밀 관련 정수를 구할 수 있다. 압밀시험은 Terzaghi의 1차원 압밀이론에 근거하고 있으며, 시험 방법과 주의사항, 결과 분석 및 활용 방안 등이 제시되어 있다. 2. 다짐과 압밀의 비교 다짐과 압밀은 모두 흙의 체적감소를 가져오지만, 다짐은 최적함수비에서 ...2025.01.13
-
도심지 굴착에 따른 지반함몰과 침투 문제2025.01.201. 지반함몰 지반함몰은 주로 굴착으로 인한 지반의 이완, 지하수위 변화, 지반 내부의 빈 공간 형성 등으로 발생한다. 굴착 작업은 지반을 구성하는 흙이나 암석을 제거함으로써 지반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지하수위의 변화는 지반의 압력 균형을 깨뜨려 침하를 유발한다. 서울시 지하철 9호선 공사 중 발생한 지반함몰 사고는 지하수 관리의 부실로 인해 지반의 안정성이 저해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2. 지반 침투 지반 침투 현상은 Darcy 법칙에 의해 설명된다. Darcy 법칙은 흙의 투수계수(k), 단위 면적당 물의 유속(q)과 비...2025.01.20
-
한국의 전통 도자기 빚기 교수학습지도안2025.11.151. 도자기의 정의 및 분류 도자기는 도기, 자기, 사기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점토에 장석과 석영 가루를 섞어 성형, 건조, 소성한 제품입니다. 소지의 상태와 소성 온도에 따라 토기, 도기, 석기, 자기로 분류되며, 기능적으로는 생활 용기, 위생 용기, 건축재료 등으로 나뉩니다. 고온의 가마를 사용하므로 요업공예라고도 불리며, 근대 이후 금속을 대체하는 신소재로 개발되고 미술의 표현 매체로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2. 도자기 생산 과정 및 성형 기법 도자의 소지는 점토와 여러 원료를 혼합하여 만들며, 성형 기법에는 피칭, 코일링...2025.11.15
-
직접전단시험 (토질시험)2025.05.081. 직접전단시험 직접전단시험은 흙 공시체에 여러 가지 크기의 수직응력을 주어 가면서 전단응력을 가해서 어느 정해진 면에서 전단파괴를 발생시켜, 그때의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에 관한 Coulomb의 법칙에 의해서 흙의 내부마찰각(φ)과 점착력(c)을 구하고, 필요에 따라 전단 중에 생기는 체적과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흙의 변형에 관한 정수를 구한다. 이 시험은 배수조건을 철저히 조절하지 못하고, 전단 시 간극수압을 측정할 수 없으며, 파괴가 일어나기 전의 응력상태를 모르는 점 등 결함이 있으나, 시험방법과 조작이 간단하고 시료가 많이...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