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7개
-
수강생의 가정이나 직장에서 사용하는 생활하수의 이송과정 및 처리공법2025.04.261. 생활하수의 이송과정과 처리공법 서울시는 한강과 홍제천, 중랑천, 탄천, 안양천을 중심으로 강남과 강북지역으로 나누고 이를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어서 총 네 개의 처리구역으로 구분해 하수를 관리한다. 서울시 전체에 하수관로를 보급하고 하루에 발생하는 하수량을 전부 처리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의 용량을 확보함에 따라 1998년도 이후 하수도 보급률은 100%를 유지하고 있다. 하수처리 시스템은 평상시에 발생하는 모든 하수는 관로를 통해서 물재생센터로 이송해서 처리한다. 차집관로에서 시작하여 침사지, 최초 침전지, 생물 반응조, 최초 ...2025.04.26
-
학생들 거주지역(또는 소속 지역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수장 및 하(폐)수처리장2025.01.251. 정수 시설 정수장 이름은 예산정수장이며,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예당관광로 725에 위치하고 있다. 방문 일시는 9월 22일(금) 오전 10시이다. 정수장 처리계통도와 각 단위 공정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활성탄 처리, 취수펌프, 착수정, 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급속여과지, 배수지 등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하수 또는 공장폐수 처리시설 하(폐)수처리장 이름은 공주시하수종말처리장이며, 충남 공주시 백제문화로 2015-42에 위치하고 있다. 방문 일시는 9월 22일(금) 오후 2시이다. 유량조정조, 표준활성슬러지...2025.01.25
-
방송통신대학교 용수및하폐수처리 중간과제물2025.01.261. 정수 시설 영등포 아리수정수센터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정수장으로, 고도정수처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막여과, 오존 접촉, 활성탄 흡착 등의 공정을 거쳐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생산하고 있다. 취수원은 한강이며, 취수장에서 원수를 끌어들여 착수정, 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여과지 등의 단위 공정을 거쳐 정수한다. 2. 하수 또는 공장폐수 처리시설 서남물재생센터는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한 하수처리장으로, 침사지, 유입펌프, 최초침전지, 생물반응조, 최종침전지, 총인처리시설, 소독시설 등의 단위 공정을 거쳐 하수를 처리한...2025.01.26
-
친환경 오수 시스템 방식의 개념과 특징2025.11.181. 친환경 오수 처리 시스템의 정의 및 구성요소 친환경 오수 처리 시스템은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오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자연적 생태학적 원리와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오수를 정화하며, 재생 가능한 에너지와 자원을 활용합니다. 주요 구성요소는 습지 처리, 활성 오수처리, 태양 에너지 활용, 재활용 및 회수, 지능형 제어 시스템, 탈취 및 냄새관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무방류 순환수세식 시스템 무방류 순환수세식 화장실은 변기에서 물을 고도처리한 후 재이용하고 슬러지는 분해 후 처리장치에서...2025.11.18
-
환경공학 기말고사 정리2025.11.171. 환경법 체계 환경정책기본법, 자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대기환경보전법, 토양환경보전법 등 17개 주요 환경법으로 구성. 환경정책기본법은 환경오염 예방과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을 목적으로 하며, 국가·지자체·사업자·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 오염인자의 책임원칙에 따라 환경훼손 시 복원 책임을 부과하고 환경기준 설정 및 평가를 통해 환경보전계획을 수립. 2. 미생물과 폐수처리 폐수처리에서 박테리아, 곰팡이, 조류, 원생동물, 슬러지벌레 등 다양한 미생물이 역할. 박테리아는 광합성하는 가장 간단한 식물으로 분해자 역할, 곰팡이는 ...2025.11.17
-
상하수도 등 물 관리 시설의 탄소중립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2025.01.201. 상하수도 시스템의 탄소 배출 현황 현재 상하수도 시스템의 탄소 배출 현황은 에너지 사용, 화학물질 사용, 그리고 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으로 나눌 수 있다. 상하수도 시설은 대규모로 에너지를 소비하는 시스템이며, 이로 인해 연간 약 45억 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고 있다. 또한,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 역시 중요한 배출 요인이며, 처리 공정 자체에서도 탄소 배출이 발생한다. 2.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적 방안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안으로 재생 에너지 사용, 고효율 장비 도입, 스마트 물 관리 시스템을 ...2025.01.20
-
폭기조 전력요구량 계산2025.11.181. 폭기(Aeration) 시설 활성슬러지 시스템에서 생물반응조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폭기시설은 필수 구성요소입니다. 폭기조의 면적이 24,000 m³이고 첨두 산소요구량(OURp)이 75 mg O/l/h일 때, 기계식 폭기장치의 설치를 위해서는 표준조건에서 산소전달률(Rstd) 2.45 kg O/kwh를 기준으로 필요한 동력을 계산해야 합니다. 설치 지역의 고도, 생물반응조의 온도, 알파값과 베타값 등의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실제 산소전달 효율을 보정해야 합니다. 2. 산소전달률(Oxygen Transfer Rate) 기계식 ...202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