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8개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10.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응답2025.05.151. RLC 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 응답 RLC회로의 과도응답 및 정상상태 응답을 측정하였다. 또한 특정 주파수에서의 R,L,C에서의 전압의 크기와 위상을 확인하고 이론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LC회로의 공진을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L=10mH, C=10.2nF에서 오차 5%이내를 만족하였으나 임계감쇠의 저항값과 정현파에서 인덕터의 크기, 위상 축전기의 위상, LC 회로의 공진주파수에서 5%보다 큰 오차율을 보였다. 저감쇠, 임계감쇠, 과감쇠 상황에서의 실험 결과와 이론값을 비교하였으며, 정현파 입력에서의 R, L, C의 크기...2025.05.15
-
전자전기컴퓨터설계1 결과보고서 4주차2025.05.041. PSpice 프로그램 사용법 PSpice는 ORCAD라고도 불리며 노트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자설계 자동화 소프트웨어 도구입니다. 전자회로도나 인쇄회로기판 등을 설계하기 위해 전자회로 설계 공학자나 전자공학 기술자들에 의해 사용됩니다. 캡처, 피스파이스, 피시비 에디터 등 세 가지 주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됩니다. 2. 단순 전압/전류 분석 실제 회로 구성 결과 측정된 v1의 전압은 2.71V, v2의 전압은 2.02V, I의 전류는 0.0576mA였습니다. PSpice에서는 v1의 값이 2.667V, v2의 값이 2.000...2025.05.04
-
[기초전자실험 with pspice] 16 미분회로와 적분회로(미적분회로) 예비보고서 <작성자 학점 A+>2025.04.281. 미분회로 입력파형을 미분하여 출력하는 회로를 미분회로라 한다. 미분회로는 자동 제어의 조절기나 아날로그 컴퓨터의 연산기에 사용된다. RC 미분회로와 RL 미분회로를 실험하여 구형파와 정현파의 미분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2. 적분회로 입력파형을 적분하여 출력하는 회로를 적분회로라 한다. RC 적분회로와 RL 적분회로를 실험하여 구형파와 정현파의 적분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3. RC 미분회로 RC 미분회로에서 커패시터 C를 흐르는 전류 i의 식을 통해 출력전압 V0가 입력전압 V1의 미분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4. RL 미...2025.04.28
-
서울시립대_물리학및실험2_RC회로측정실험_예비레포트&결과레포트_A+2025.04.271. RC 회로 이 실험에서는 저항과 축전기로 구성된 RC 회로에서 축전기에 인가되는 전압의 시간적 변화를 오실로스코프로 관측하고 회로의 시간상수를 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축전기의 충전과 방전 과정, 시간상수 계산 방법, 실험 장치 및 절차, 실험 데이터 및 결과 분석, 오차 분석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2. 축전기 충전 및 방전 축전기가 초기에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위치를 닫으면 전하가 이동하며 회로에 전류가 흐르고 축전기가 충전되기 시작합니다.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축전기 양단의 전위차가 증가하다가 최대 전하량에 ...2025.04.27
-
[전자회로실험] 다이오드 정류 회로 결과보고서2025.04.261. 반파 정류 회로 실험 1에서는 반파 정류 회로를 구성하고 입력과 출력 파형을 관찰했다. 입력 파형은 정현파이지만 다이오드를 거치면서 (+)값만 남아 있는 파형이 출력되었다. 이는 다이오드의 정류 작용에 의한 현상이다. 또한 출력 파형이 입력 파형에 비해 최대값이 작은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다이오드를 지나며 약 0.7V만큼 감소했기 때문이다. 회로에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면 다이오드를 통과한 전압이 커패시터 내부에 충전되고, 최대값에서 다이오드에 전류가 통하지 않을 때에는 커패시터의 전압이 방전된다. 이를 통해 다이오드와 ...2025.04.26
-
전기회로실험 A+ 10주차 결과보고서(신호 발생기의 동작원리)2025.05.071. 신호발생기의 동작원리 신호발생기는 다양한 주파수대의 매우 정확하고 안정성 있는 교류 전압을 출력한다. AF 신호발생기는 가청주파수영역을 수용하며, 상용 AF 신호발생기는 100kHz까지의 주파수영역을 갖도록 설계한다. 대부분의 신호발생기의 출력파형은 정현파이지만 일부 신호발생기에서는 구형파도 발생시킨다. 신호발생기의 일반적인 기능은 전원스위치, 출력조정, 범위조정, 주파수조정이다. 함수발생기는 각기 다른 모양의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파형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함수발생기는 정현파, 삼각파, 구형파를 발생한다. 함수발생기의 기...2025.05.07
-
RC 회로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211. RC 회로 RC 회로는 저항과 축전기로 구성된 회로로, 축전기에 인가되는 전압의 시간적 변화를 오실로스코프로 관측하고 회로의 시간상수를 구할 수 있다. 축전기의 충전과 방전 과정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다. 2. 시간상수 RC 회로의 시간상수는 저항과 축전기의 값을 곱한 것으로, 실험을 통해 측정된 시간상수와 이론값을 비교하여 상대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로는 오실로스코프 조절, 전선 저항, 회로 구성 등이 있다. 3. 입력 신호 파형 RC 회로에 구형파, 삼각파, 정현파 등 다양한 입력 신호 파...2025.01.21
-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92025.05.151. 저역통과필터(LPF) 실험을 통해 설계한 LPF의 출력 전압과 저항 전압의 파형을 측정하고 입력과 출력 전압의 XY mode를 관찰하였다. 입력 정현파의 주파수를 100kHz까지 변화시키면서 LPF의 출력전압의 최대값을 측정하고 주파수에 따른 출력전압의 크기 그래프를 그렸다. 주파수가 작은 영역대에서는 비교적 정확한 결과가 측정되었지만 50kHz 이상의 범위에서 30%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실험에 사용한 캐패시터의 실제 용량과 표기값의 차이, 측정 장비의 정밀성 문제, 계산 과정에서의 오차 등이 있었다....2025.05.15
-
다단 증폭기 실험 보고서2025.01.021. 2단 증폭기 실험회로 1에서 R1, R2, R3, R4, R5, R6을 고정하고 회로를 구성한 후, 공통 소스 증폭기 2 출력의 DC 값이 6V가 되도록 하는 값을 결정했습니다. 이 경우 M1의 각 단자들의 전압(VDS, VGS, VBS) 및 전류(ID, IG, IS)를 구하고, MOSFET이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는지 확인했습니다. 포화 영역에서 회로가 동작하는 경우 M1의 트랜스 컨덕턴스 값, 출력 저항 Rout을 구하여 소신호 등가회로를 그리고, 실험회로 1의 이론적인 전압 이득을 계산했습니다. 입력에 10kHz의 0.01...2025.01.02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실험3 순차 논리 회로 기초 예비보고서2025.01.171. 플립플롭 플립플롭은 전원이 공급되면 1 또는 0의 출력이 유지되는 디지털 회로이다. 출력이 두가지 상태 중 하나로 안정되기 때문에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플립플롭은 메모리로도 많이 활용된다. 플립플롭은 대표적인 순서 논리회로이다. 순서 논리회로는 출력을 입력쪽에 연결한 궤환(feedback) 회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출력이 논리 동작에 영향을 미친다. 플립플롭에는 RS 플립플롭, D 플립플롭, JK 플립플롭, T 플립플롭 등이 있다. 2. D 플립플롭 D 플립플롭은 1개의 입력과...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