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02개
-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실습 체크리스트 / 지침서 체크리스트2025.04.281. 신생아실 구조 서울아산병원 신생아실은 총 58병상으로 1,2,3 신생아 중환자실로 운영되며, 신생아과, 소아 심장과, 소아외과의 24시간 전문의 당직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집중치료 시스템, 자동청력검사기, 산소포화도 모니터 등의 최첨단 의료장비를 갖추고 있다. 2. 침상 관리 신생아실 침상은 온도 22~26℃, 습도 30~60%로 유지되며, 신생아의 열손실 예방을 위해 외부 창으로부터 최소 60cm 이상 떨어져 배치한다. 침상에는 주름없이 린넨을 깔고 아기포를 세 번 접어 머리쪽에 두어 베개로 사용한다. 유아가온장치를...2025.04.28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전동전과전실환자관리2025.05.081. 전동/전과/전실 환자관리 환자를 다른 병동으로 보내는 경우 이동할 병실 확인 후 환자 보호자에게 이동을 설명하고, 이동 받는 병동에서 필요한 의료장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연락하며, 간호기록을 정리하고 환자를 인계한다. 이동 시 준비물품으로 투여되던 모든 약, 약카드, 이름표, 검체, 의료소모품 등을 확인하며, 중환자실로 이동할 때는 중환자실 입실동의서를 받는다. 다른 병동에서 환자를 받는 경우 병실 준비가 완료되면 보낼 병동에 연락하고, 환자가 도착하면 환자상태를 관찰하고 병실로 안내한다. 병동 내에서 옮기는 경우 OCS 병동...2025.05.08
-
감염관리실_감염관리 주간 행사 결과 보고서_병원2025.01.181. 감염 예방 교육 이번 감염관리 주간행사는 의료진과 환자에게 감염 예방 지식을 알리고, 병원 내 감염 예방 문화를 정착시켜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총 500명의 직원, 환자, 보호자 및 내원객이 참여하였으며, 손 위생, 개인 보호 장비 착용, 감염 경로 차단 등의 주제로 교육 세션과 정보 부스가 운영되었습니다. 참여자의 99.4%가 행사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교육 세션 간 시간 조정과 실습 기회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2. 감염 예방 문화 조성 이번 감염관리 주간행사는 병원의 감염...2025.01.18
-
보건의약관계법규 - 간호사 국가고시, 중간기말 대비 정리본2025.01.101. 의료법 의료법에 따르면 급종합병원 지정과 전문병원 지정은 보건복지부장관이 담당합니다. 환자의 권리 등을 게시하고, 의료인과 의료기사에게 명찰 착용을 지시하는 것도 의료기관의 장의 의무입니다.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의 면허는 보건복지부장관이 관리하며, 국가시험과 예비시험은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관리합니다. 면허증 발급은 보건복지부장관이 담당하며, 수험 정지나 합격 무효 처리에 대한 제한도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합니다. 의료기관에서 나오는 세탁물 처리, 진단서 작성, 출생/사망 증명서 발급 등의 업무도 의료법...2025.01.10
-
CPR 상황 시 실제 임상에서의 대처 방법(역할별 해야 할일) 보고서2025.01.131. CPR 순서 1. 환자 의식 확인(맥박, 호흡, 혈압, 동공반사) a. 최초 발견자가 호흡과 맥박을 15초 이내로 확인 =>무호흡 혹은 10초 이내 무맥박 =>환자의 가슴을 보며 호흡을 확인 b. 환자의 양어깨를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물으며 의식 상태를 확인함 =>주의점: 환자의 몸을 흔들지 않음(목이나 허리에 부상이 있다면 2차적 부상 가능성) 2. DNR 여부 확인 3. call bell을 눌러 도움을 요청하거나 큰 소리로 CPR 상황임을 알림 2. CPR 처치 방법 a. 최초 발견자 <가슴압박-기도유지-인공호흡> 시행...2025.01.13
-
아동간호 임상실습일지2025.01.121. 소아과 병동 및 병실 구조와 배치, 물품, 기구 파악 실습 첫날 병동에서 시작하였다. 같은 조원들끼리 돌아가면서 예진, 접종실, 병동, 영유아발달실을 돌아다녔다. 8시부터 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하였고, 오전에 3명의 환아가 퇴원하였다. 퇴원 간호를 보고 새로운 물품이 들어와서 정리하는 것을 보았다. 의사 회진을 따라다니며 환자 파악과 간호사의 역할을 관찰하였다. 마지막에 EMR을 확인하여 사례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2. 환아의 활력징후 측정 및 신체계측 외래에서 근무하였다. 체온, 체중, 키 등을 측정하였고, 예진실에서 체...2025.01.12
-
인공호흡기의 사용목적 및 방법2025.01.221. 인공호흡기의 사용목적 인공호흡기의 주요 사용 목적은 폐포 환기 유지 및 개선, 동맥혈 산소화 유지 및 개선, 호흡 운동 및 심장의 부담 감소, 호흡에 드는 노력 감소, 호흡 근육의 긴장도 증가 및 폐순환 증가, 적절한 가습 유지 등입니다. 2. 인공호흡기의 적용 적응증 인공호흡기는 급성호흡부전(ARDS), 수술 후 호흡성 산증, 폐확장부전 또는 고위험환자의 호흡근 기능부전, 폐쇄성 뇌 손상 환자의 뇌내압 감소 등의 경우에 사용됩니다. 생리적 기준에 따른 적응증으로는 FiO2 >0.6, PaCO2 > 50mmHg이면서 <7.25...2025.01.22
-
CPR 교육자료2025.05.081.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또는 호흡정지가 발생한 환자에게 뇌 손상을 방지하고 심장기능과 호흡을 유지하기 위해 즉시 실시하는 소생술입니다. 기본 소생술(BLS)에는 반응 확인, 119 신고, 가슴압박, 인공호흡 등의 순서로 진행되며, 전문 소생술(ACLS)에는 약물 투여, 전문기도유지술 등이 포함됩니다.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한 대응과 체계적인 소생술 수행이 중요합니다. 2. 기본 소생술(BLS) 기본 소생술의 주요 내용은 반응 확인, 119 신고, 가슴압박, 기도유지, 인공호흡 등...2025.05.08
-
백병원 호흡기내과(10B)병동 실습 자료2025.01.121. Internal Medicine (MED) 내과 내과는 주로 내부 장기 질환을 다루는 의학 분야입니다. 이 병동에서는 호흡기 질환 환자들을 주로 치료하고 있습니다. 내과 의사들은 폐렴, 만성폐쇄성폐질환, 폐암 등 다양한 호흡기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합니다. 2. Urology (URO) 비뇨기과 비뇨기과는 신장, 방광, 전립선 등 비뇨기계 질환을 다루는 의학 분야입니다. 이 병동에서는 비뇨기계 합병증이 있는 호흡기 질환 환자들도 함께 치료하고 있습니다. 3. GYN GYN은 산부인과를 의미하며, 여성의 생식기 및 관련 질환을 다...2025.01.12
-
Infusion Pump와 syringe pump기 사용법2025.01.181. Infusion Pump Infusion Pump은 수액 또는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약하거나, 정확한 속도와 용량으로 투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요 구성 요소로는 공기 감지부, 서브도어 로커, 연동부, 도어 잠금 레버, 폐색 감지부, 서브 도어, 도어 로커 등이 있습니다. Infusion Pump 사용 방법에는 전원 켜기, IV SET 장착, 유량 및 총 투여량 설정, 주입 시작, BOLUS 사용, PAUSE 사용, 잔여 시간 확인, TITRATION 사용, KEY LOCK, MICRO MODE 등이 포함됩니다. 2. Syri...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