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0개
-
감염관리실_원내 기구 및 물품 소독 멸균방법_병원2025.01.121. 비위험 기구 및 일반 물품 비위험 기구 및 일반 물품의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설명합니다. 소독 주기와 방법은 부서와 사용 빈도에 따라 다르며, 락스 100PPM 침적, 수돗물 헹굼, 건조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2. 호흡기 기구 호흡기 기구의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설명합니다. 산소발생기, 네뷸라이저, 호흡기 부속기구 등을 높은 수준의 소독 또는 멸균 방법으로 관리합니다. 3. 초음파 및 내시경 초음파 및 내시경 기구의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설명합니다. 엔자임 와입스로 닦고 Cidex OPA, Perasafe 등의 소독제에 침...2025.01.12
-
자외선 조사를 통한 미용 기구의 소독과 멸균2025.05.081. 자외선 조사 자외선 조사는 파장이 짧아 세균, 곰팡이 등 미생물을 살균하는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자외선 조사를 통해 용기, 각종 기구, 식품, 물, 공기 등의 대상물에 부착된 곰팡이와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다. 자외선 조사는 무균실, 수술실, 제약사, 육아실, 미용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 높은 살균 효과와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해 인기가 높다. 2. 미용 서비스와 소독/멸균의 중요성 미용 서비스는 인체에 직접 작용하는 업종으로, 위생과 안전이 중요한 이슈이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이 유행하면서 미용 기구의...2025.05.08
-
A+ 중앙공급실 업무분석 및 소독과 멸균물품 관리2025.05.141. 중앙공급실 중앙공급실(central supply and sterile room)이란 환자의 안전과 치료 및 감염 예방을 위해 병원에서 사용하는 물품을 멸균처리하며 멸균 또는 비멸균 물품과 장비를 통제하고 처리, 공급하는 부서이다. 중앙공급실에서 근무하는 직업군은 병원중앙공급실관리자와 중앙공급간호사가 있으며, 이들은 약 13개의 임무와 64개의 작업을 수행한다. 중앙공급실의 목적은 멸균 물품 공급에 필요한 체제 확립 및 유지하며 중앙공급실 직원의 교육과 자질향상을 통해 안정성이 보장된 멸균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2. 중앙공급...2025.05.14
-
수술실 임상실습 소감문 성인간호학실습2025.04.291. 수술실 안전 수술실은 방의 설계부터 시작해서 그 안에서 사용되는 물품, 의료진의 복장까지 수술과 관련된 모든 것은 감염을 통제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되어있다. 수술실의 안전은 환자의 생명과도 직결되는 일이기 때문에 의료진은 무균술을 철저히 지키며 수술에 임한다. 2. 수술실 환경 수술실은 드나드는 사람 수가 늘어날수록 감염 및 오염의 가능성이 커지고 공기 오염도 증가되기 때문에 수술실은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수술실 내의 온도는 항상 20~22도로 유지해야 하며, 양압장치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유지한다. 3....2025.04.29
-
감염관리실_수술실 감염순회체크리스트 및 항목 선정의 근거자료_병원2025.01.121. 손위생 의료관련감염_표준예방지침서에 따르면 손위생은 적절하게 잘 이루어지고 있어야 한다. 손위생 전에 인공손톱, 반지, 시계, 장신구를 제거하고, 소독력이 있는 적절한 항균비누나 알코올 함유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2~5분 정도 외과적 손씻기를 해야 한다. 알코올이 포함된 외과적 손소독 제품을 이용할 때는 제조사의 소독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사용하며, 손이 건조한 상태에서 손소독제를 적용해야 한다. 2. 손소독제 관리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에 따르면 의료기관 내에 적절한 시설과 설비를 구비하고, 환자 접점 구역에 손소독제를 비치...2025.01.12
-
중앙공급실 업무분석 및 소독과 멸균 물품관리2025.05.141. 중앙공급실의 역할 중앙공급실은 병원에서 환자의 안전과 치료, 감염예방을 위해 필요한 의료기구, 소모품, 린넨 등의 물품을 적절하게 멸균처리하고 관리하여 각 부서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2. 중앙공급실의 업무 중앙공급실의 주요 업무는 수거 및 불출, 세척 및 멸균, 병실/수술장 세트 포장, 린넨 접기 및 검수, 재봉 및 수선, 파손/분실 물품 관리 등이다. 3. 중앙공급실의 구조 중앙공급실은 접수실, 분류세척실, 포장조립실, 멸균실, 멸균물품 보관실, 세탁물 수집실, 재봉실, 검수 및 포장...2025.05.14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세척, 멸균, 소독2025.05.111. 세척 세척은 적절한 소독이나 멸균을 위한 필수요건으로 의료기관에서는 세척에 대한 규정을 수립하고 규정에 따라 실시하며 이를 모니터링 한다. 세척 시 일반적 주의사항, 기계세척 시 주의사항 등이 포함된다. 2. 소독 소독 시 제품의 사용설명서 확인, 소독 대상 물품의 접촉, 소독제 관리, 자동세척소독기 관리 등의 주의사항이 포함된다. 3. 멸균 멸균 방법의 선택, 기구 멸균 및 소독방법, 멸균물품의 포장, 적재, 확인, 멸균기 관리, 멸균 실패 시 관리, 멸균물품의 보관 등이 포함된다. 4. 소독과 멸균 시 주의사항 사용한 기구...2025.05.11
-
수술실 파이널퀴즈 공부2025.05.081. 복강경 담낭절제술 복강경 담낭절제술 시 주의사항으로는 비만, 장기유착, 복부탈장, 저혈량성 쇼크, 복막염에 의한 장천송 등이 있다. 복강경 시 mild 트렌델렌버그 체위를 취하며, 복강경 카메라 케이블은 senisleeve로 씌운다. CO2를 3~4L 주입하여 복압을 12~14mmhg로 유지한다. 복강경 포트는 12mm 트로카로 구멍을 뚫는다. 2. 복강경 기구 사용 복강경 기구 중 응고 및 지혈에는 monopolar, bipolar를 사용하며, 조직결찰 시에는 Endo clip을 사용한다. 출혈 잡을 때는 Unipolar, ...2025.05.08
-
내과적, 외과적 무균술 레포트2025.01.281. 내과적 무균술 내과적 무균술은 감염회로를 차단하여 병원체의 수와 전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감염성 질병 환자뿐만 아니라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한다. 특정 미생물을 특정영역 내로 한정시키고, 미생물의 수와 성장 및 전파를 제한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내과적 무균술은 손 위생, 환자에게 일회용 기구를 사용하는 것과 사용된 기구의 오염제거와 재처리, 혈액이나 체액과 접촉 시 장갑, 가운, 마스크, 모자의 착용, 일상적인 환경 청소 등이 포함된다. 2. 외과적 무균술 외과적 무균술이란 아포를 포함한 병원체뿐만 아니라 다른 어떠한...2025.01.28
-
간호학과 근육주사 선행지식 기본간호학2025.04.261. 근육주사 부위 근육주사 부위로는 둔부의 배면부위(dorsogluteal site)와 둔부의 복면부위(ventrogluteal)가 있다. 둔부의 배면부위는 중둔근과 일부 대둔근을 포함하며, 후상장골극과 대전자를 연결한 선의 상외측 부위가 주사부위이다. 둔부의 복면부위는 중둔근과 소둔근을 포함하며, 손바닥을 대전자 위에 놓고 둘째 손가락을 전상장골극에 놓고 셋째 손가락을 장골능을 따라 벌려 놓은 삼각부위가 주사부위이다. 2. 내과적 무균술 내과적 무균술은 감염회로를 차단하여 병원체의 수와 전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주요 내용...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