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9개
-
주요 내분비기관의 구조와 기능2025.05.111. 뇌하수체 뇌하수체는 시상하부의 신경과 유리호르몬(releasing hormone)과 억제호르몬(inhibitory hormone)의 기전에 의해 조절되며, 전엽에서는 성장호르몬, 갑상샘 자극 호르몬, 부신겉질 자극 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황체형성 호르몬, 프로락틴 등을 분비하고, 후엽에서는 항이뇨호르몬과 옥시토신을 분비한다. 2. 갑상샘 갑상샘은 인체에서 가장 큰 내분비샘으로, 여포세포에서 갑상샘호르몬을 분비하고 소포곁세포에서 칼시토닌을 분비한다. 갑상샘호르몬은 신진대사율을 증가시키고 체온, 세포대사, 성장, 심장기능 등에 ...2025.05.11
-
약물처방 사례보고서2025.01.211. 페니라민정 (Peniramin Tap, Chlorpheniramine Maleate) 페니라민정은 항히스타민제로 분류되며, 알레르기 증상 및 코감기 증상 완화에 사용됩니다. 위장관, 혈관, 호흡기계의 H1-수용체에 히스타민과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소아와 성인의 용량이 다르며, 65세 이상 고령자에서는 항콜린 부작용이 나타나기 쉬워 사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쇼크, 과민반응, 정신신경계 이상, 소화기계 이상 등이 있습니다. 2. 소론도정 (Solondo Tap, Prednisolone) 소론...2025.01.21
-
쿠싱증후군 사례보고서2025.01.031. 쿠싱증후군 쿠싱 증후군은 우리 몸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당류코르티코이드라는 호르몬에 노출될 때 생기는 질환입니다. 부신에서 필요 이상으로 많은 당류코르티코이드를 만들어내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외부에서 많은 양의 당류코르티코이드가 체내에 유입될 경우에 발생합니다. 쿠싱 증후군이 있으면 얼굴 모양이 달덩이처럼 둥글게 되며, 목뒤와 어깨에 피하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고, 골다공증이나 근력이 허약해지는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쿠싱 증후군은 혈액 검사와 24시간 소변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당류코르티코이드 과...2025.01.03
-
인체생물학 내분비계통2025.05.061. 내분비계 내분비계는 신체의 다른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이라는 화학물질을 생산하여 항상성을 유지한다. 내분비샘은 분비물을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전달하는 특징이 있다. 내분비계와 신경계는 모두 화학적 신호를 통해 항상성에 영향을 주지만, 신호 전달 방식에 차이가 있다. 2. 호르몬 호르몬은 세포, 기관, 개체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화학신호이다. 호르몬에는 펩티드호르몬과 스테로이드호르몬이 있으며, 각각 다른 방식으로 작용한다. 호르몬은 멀리 떨어진 기관 사이에서 작용하는 화학신호이다. 3.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시상하부는 신경...2025.05.06
-
내분비계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2025.05.141. 내분비계 내분비계는 신경계와 함께 항상성이란 것을 조절하여 인간의 몸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내분비선에는 뇌하수체, 시상하부, 송과체, 갑상선, 부갑상선, 흉선, 부신, 췌장, 난소와 정소 등이 있으며, 이들은 특별한 도관 없이 분비물을 직접 혈액이나 림프액으로 분비한다. 내분비선에서 발생하는 호르몬과 신경계는 정보를 전달하고 반응을 일으키는 작용을 한다. 내분비계는 생식, 발달, 소화, 행동 양식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환경호르몬은 이러한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25.05.14
-
[성인간호학A+ 자료] 쿠싱증후군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문헌고찰, 간호사정, 간호과정O)2025.04.281. 쿠싱증후군 쿠싱증후군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특히 과량의 당류코르티코이드에 장기간 노출되어 발생하는 임상 상태이다. 쿠싱증후군의 원인은 여러 가지이며, 치료목적의 외인성 코르티코스테로이드(예: prednisone) 투여가 가장 흔하다. 내인성 쿠싱증후군의 약 85%는 ACTH-분비성 뇌하수체 종양(쿠싱병) 때문이다. 쿠싱증후군의 임상증상은 신체 전반에 나타나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과잉과 관련된다. 대개 당류 코르티코이드 과다증상이 뚜렷하지만, 염류 코르티코이드와 안드로겐 과다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쿠싱증후군의 진단은 코르티솔의...2025.04.28
-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2025.01.241. 페닐케톤뇨증 페닐케톤뇨증은 단백질 속에 함유되어 있는 페닐알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결핍되어 체내에 페닐알라닌이 축적되어 경련 및 발달장애를 일으키는 상염색체성 유전 대사 질환입니다. 출생 직후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심한 정신지체를 보이게 됩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치료 목표는 체액 내의 페닐알라닌과 그 대사 물질을 감소시켜 뇌손상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저페닐알라닌 특수분유를 섭취하고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피하는 식이요법이 중요합니다. 2. 갑상선기능저하증 선천적인 원인으로 갑상선...2025.01.24
-
내분비계 질환 및 간호2025.05.081. 호르몬의 기능 호르몬은 체내 항상성 유지,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 성장/발육/생식 조절, 에너지 생산/이용/저장 등의 기능을 한다. 시상하부는 자율신경계와 내분비계를 조절하고, 뇌하수체는 전엽과 후엽에서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러한 호르몬들은 표적기관에서 증가 시와 저하 시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2. 뇌하수체 기능장애 뇌하수체 기능장애는 분비 과다 또는 분비 부족으로 나타나며, 원인은 내분비샘의 기능 부전이나 표적기관의 기능 부전 등이다. 진단을 위해 혈중 호르몬 농도 측정, 외인성 자극에 대한 반응 평가, 다른 내분...2025.05.08
-
내분비계통 질환2025.01.121. 뇌하수체 장애 뇌하수체 후엽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요붕증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요붕증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항이뇨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증상으로는 심한 갈증과 다뇨 등이 나타납니다. 원인으로는 뇌 손상, 뇌하수체 종양, 뇌염 등이 있으며, 치료는 합성 항이뇨호르몬 투여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2. 갑상선 장애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갑상선 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인해 발생하며, 증상으로는 체중 감소, 심계항진, 불안 등이 나타납니다. ...2025.01.12
-
[수업자료] 인체의 구조와 기능(내분비 계통)2025.01.111. 내분비 계통의 구조 내분비 계통은 신체 내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비교적 작은 분비샘들로 구성되며, 호르몬이라는 특수한 기능을 가진 물질을 분비관 없이 직접 혈류에 분비하여 인간의 생명 현상을 원활히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내분비 계통의 주요 구성 기관으로는 뇌하수체, 솔방울샘, 갑상샘, 부갑상샘, 이자, 부신, 생식샘 등이 있다. 2. 내분비 계통의 기능 내분비 계통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뇌하수체는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여 전반적인 조절 역할을 한다. 솔방울샘은 멜라토닌을 분비하여 생식샘 자극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한다....202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