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55개
-
혈구의 관찰과 혈액형의 판정 실험2025.11.171. 혈구의 종류와 특징 혈액은 혈구와 혈장으로 구성되며,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분류된다. 적혈구는 혈액세포 중 수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핵을 포함하지 않고 산소 운반을 위한 헤모글로빈을 포함한다. 백혈구는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세포로 방어기능을 수행하며, 기능에 따라 호중구, 호산구, 호염구, 호염기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백혈구 수는 몸의 면역상태와 감염 여부에 따라 변한다. 2. 혈액형의 분류 및 판정 원리 혈액형은 ABO식과 RH식 등으로 분류된다. A형은 적혈구 표면에 A항원과 혈청에 항B 항체...2025.11.17
-
면역혈액학 7과 정리 레포트2025.01.041. 항체 선별 및 동정 항체 선별 테스트(screening test)는 수혈 전에 환자의 혈액에 비예기 항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환자의 혈청/혈장과 screening cells(Group O 적혈구)를 반응시켜 항체 유무를 확인합니다. 양성 반응이 나오면 비예기 항체가 있다고 판단하며, 이때 자가항체인지 동종항체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항체 동정 테스트는 비예기 항체가 어떤 항원에 특이성을 가지고 있는지 찾아내는 것입니다. Panel cells(다양한 항원을 가진 Group O 적혈구)를 이용하여 반응 패턴을 분석하여 항체...2025.01.04
-
항체 생산 실험: GFP 항원을 이용한 면역반응 유도2025.11.171. 항체 생산 (Antibody Production) 특정 동물에 항원을 주입하여 항체 형성 반응을 유도하는 과정입니다. 본 실험에서는 마우스(Mus musculus)에 GFP 항원을 복강 주사로 3회 투여하여 2차 면역반응을 유발했습니다. 1차 접종에는 Complete Freund's Adjuvant (CFA)를, 2차, 3차 접종에는 Incomplete Freund's Adjuvant (IFA)를 사용했습니다. 최종적으로 심장 채혈을 통해 혈액을 채취하고 원심분리로 혈청을 얻어 항체를 수집했습니다. 2. 면역반응 메커니즘 (I...2025.11.17
-
[A++]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사 측정2025.04.301. 세포사 본 실험에서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세포사를 유도하고 농도에 따른 세포사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세포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00 μM, 1000 μM의 농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세포사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는 세포 내에 유입되면 세포막 손상, NAD+ 생산 저해, 펜토스 인산 경로 차단 등을 통해 세포사를 유발한다. 본 실험에서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농도별로 세포...2025.04.30
-
임상화학 및 실험 레포트_ 지질(실험방법, 결과, 이론, 레퍼런스 등)2025.05.141.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전기장 아래에서 용액 속의 전하가 반대 전하의 전극을 향하여 이동하는 화학 현상으로, 전하량, 크기, 분자량, 전기장, 완충액, 지지체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전기영동을 통해 혈청 단백질을 분리하여 알부민, 알파1-글로불린, 알파2-글로불린, 베타-글로불린, 감마-글로불린 등의 다양한 단백질을 관찰할 수 있다. 2. 혈청 단백질 혈청 단백질에는 알부민, 알파1-글로불린, 알파2-글로불린, 베타-글로불린, 감마-글로불린이 있다.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의 주요 성분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다른 단백질들...2025.05.14
-
NO assay2025.05.101. NO assay 이번 실험은 NO assay를 수행하여 항염효과를 알고자 하는 extract A와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LPS를 처리하고 염증정도를 비교했다. RAW 264.7에서 염증반응으로 생성된 NO₂는 griess reagent와 반응하여 분홍색의 azo product가 생성되는데 최대흡광파장인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면 간접적으로 NO 생성량을 측정하고 염증 정도를 알 수 있다. Standard solution을 제조하여 standard curve를 그린 결과 y=0.0349x+0.0834 (R² = 0.9995)...2025.05.10
-
[면역학실습] NO assay와 ELISA를 이용한 resveratrol의 항염증 효과 확인 (하)2025.04.271. Macrophage 면역계 세포 Macrophage 면역계 세포들은 세포내 기생체에 대해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식세포의 항미생물 작용은 세포내 lysosome에 들어 있는 여러 가지 가수 분해 효소의 증가와 NADH oxidase의 활성에 의한 활성산소종의 생성, NO의 생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과량의 활성산소종 및 NO는 조직을 손상시키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활성 물질의 생성은 조절될 필요가 있다. 2. LPS (Lipopolysaccharide) LPS는 Gram staining (-...2025.04.27
-
생명과학실험1 Immunoprecipitation (IP)2025.01.171. Immunoprecipitation (면역침강법, IP) 면역침강법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원하는 단백질을 분리하고자 하는 실험이다. 단백질은 특정한 항체에만 결합하는 항체 특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검출하고자 하는 target protein도 특정한 종류의 항체와만 결합하게 된다. 항원-항체 복합체가 바닥에 가라앉도록 하기 위해서 먼저 항체와 Bead를 붙이고, bead와 결합한 항체가 다시 단백질과 결합하여 단백질-항체-Bead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 복합체가 원심분리를 통해 침강하게 되면서 원하는 단백질을 분리...2025.01.17
-
혈액형 판정 실험 활동 보고서2025.11.161. 혈액형 판정 실험 손가락을 소독한 후 채혈침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유리판의 A, B 부분에 떨어뜨린다. 항A 혈청(파란색)과 항B 혈청(노란색)을 각각 해당 부분에 떨어뜨린 후 이쑤시개로 섞어 응집 여부를 관찰하는 실험 과정을 통해 자신의 혈액형을 판정한다. 응집 반응이 나타나면 해당 항원이 있는 혈액형이고, 반응이 없으면 O형으로 판정된다. 2. 항원-항체 반응 항체는 결합 부위와 입체구조가 맞는 항원하고만 결합할 수 있으며, 특정 항원과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켜 항원을 무력화시킨다. 혈액의 응집 반응은 한쪽 혈액의 적혈구 막...2025.11.16
-
면역세포 염색 및 관찰2025.01.171. 면역세포 이 실험에서는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쥐의 골수, 흉선, 비장, 혈액과 사람의 혈액 속에 존재하는 면역 세포를 관찰하였습니다. 면역 세포를 관찰하기 위해 면역기관인 골수, 비장, 흉선을 이용하였습니다. 면역기관은 병원체나 종양 세포 등을 인식하고 이를 죽여 질병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주요 면역기관으로는 흉선, 비장, 골수, 림프절 등이 있습니다. 2. 흉선 흉선은 가슴뼈 뒤에 위치한 림프 면역 기관으로, 신생아부터 생성되어 사춘기 때 가장 크다가 성인이 되면 점점 작아져 대부분 지방으로 대체됩니다.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