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8개
-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2025.01.141.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심장은 혈액을 온몸에 보내는 펌프 역할을 하고 있다. 심근이 수축했다, 확장했다 하는 힘으로 펌프작용이 행해진다. 이 펌프작용을 쉬지 않고 계속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원은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혈액이며, 이 혈액을 심근에 보내고 있는 혈관이 관상동맥이다. 동맥경화 때문에 관상동맥이 막히면 그 부분의 심근은 혈액이 흐르지 않게 되어 심근 세포의 괴사를 초래하여 비가역적인 손상을 초래하는 것이 심근경색이다. 2. 심근경색의 증상 심근경색의 주요 증상은 동통, 호흡곤란, 쇼크, 발한, 오심/구토, 허약감, 핍...2025.01.14
-
심장과 혈관계 기능 및 구조2025.01.06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양쪽 폐 사이 종격동에 위치하며,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성인 주먹 정도 크기로, 한 번 박동 시 약 60mL의 혈액을 박출하여 약 5L/분의 혈액을 공급합니다. 심장은 심막(pericardium)이라 불리는 보호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우심방, 좌심방, 우심실, 좌심실 등 4개의 방실과 4개의 판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방실 판막(삼첨판, 승모판)과 반월판막(폐동맥판막, 대동맥판막)이 혈액이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합니다. 관상동맥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며, 관상정맥은 심장근육 순환 후 정맥혈을...2025.01.06
-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HFpEF케이스, A+받은 케이스, 확장기심부전케이스2025.01.031. 확장기 심부전 확장기 심부전은 주로 고령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고혈압, 심방세동 등의 심혈관계 질환을 비롯해 당뇨병, 신부전 등의 비심혈관계 질환이 흔히 동반되는 질환입니다. 주로 증상 완화를 목표에 두고 원인 질환을 빠르게 파악하여 우선적으로 감별하고 이에 대해서 개별검사와 치료, 재활이 시행되어야 합니다. 2. 심부전의 정의 심부전이란 심실의 충만 또는 박출의 구조적, 기능적 장애로 발생하는 복합적인 임상증후군입니다. 심실 충만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확장기 심부전, 심실의 박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를 수축기 심부전...2025.01.03
-
CABG 관상동맥우회술2025.01.121. 심장의 위치 성인의 심장무게는 남자는 약 300~350g이며 여자는 약 250~300g으로 체중의 0.5%를 차지한다. 대략 원추형으로 넓이 9cm, 길이 12cm이다. 심장은 종격동(mediastinum)에서 제 2늑골과 제 6늑골 사이에 위치한다. 심장은 왼쪽으로 치우쳐 있고 1/3은 우측에 2/3은 좌측에 존재하며, 위쪽이 넓고 아래쪽에 심첨이 위치한다. 2. 혈액순환 폐순환을 통해 산화되지 않은 혈액이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흘러가며 점차적으로 작은 동맥과 세동맥들을 통해 폐의 모세혈관으로 흘러간다. 산화된 혈액은 세정맥...2025.01.12
-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A+] Aortic stenosis 대동맥판막 협착 case 간호과정 2개, 간호진단 2개2025.05.031. 대동맥판막 협착증 대동맥판막의 협착증은 심장으로부터 대동맥이 나가는 부위에 있는 역류방지 작용을 가진 판, 즉 대동맥판막이 서로 유착하여 한 덩어리가 된 판이 협착됨으로써 유출이 장애를 받는 상태를 말한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이 생기면 대동맥판막을 통과하는 면적이 좁아져서 혈액의 흐름에 장애가 생기며, 이 때문에 심장은 더욱더 강하게 수축하게 된다. 대동맥 판막 협착증은 출생 시에도 나타날 수 있지만, 대개는 70세 이상 노인들에게 흔하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다. 연구에 따르면 내과적 치료 시에 진단 후 5년 생존률이 40...2025.05.03
-
생물학 실험2 - 동물순환계2025.05.011. 순환계 순환계는 혈액 또는 림프액을 유통시켜 외부에서 섭취한 영양분이나 체내에 생긴 호르몬 등을 몸의 각 부위로 배포하고 가스 교환, 노폐물 배출 등을 담당하는 계이다. 순환계에는 순환계 내부에 채워진 혈액과 혈액의 이동을 일으키는 추진 기관인 심장이 존재하며, 또한 혈액과 물질 교환이나 기체 교환이 일어날 수 있는 체제를 갖고 있어야 한다. 2. 포유류 심장 포유류는 완전히 분리된 두 개의 심방과 두 개의 심실을 가지고 있다. 체순환과 폐순환에서 환류 되어 들어온 혈액이 각각 다른 심방을 거쳐 서로 다른 두 개의 심실로 들어...2025.05.01
-
중환자 간호: 심장 구조, 급성관상동맥질환, VAD2025.11.16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흉부 왼쪽 폐 앞쪽에 위치한 주먹 크기의 기관으로, 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의 4개 방으로 구성됩니다. 심실은 혈액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좌심실의 근육은 우심실보다 2배 두껍습니다. 심장은 4개의 판막(삼첨판막, 이첨판막, 폐동맥판막, 대동맥판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능적으로 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액을 한 방향으로 순환시키며, 좌측은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신선한 혈액을 뿜어내고, 우측은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실은 혈액을 폐로 순환시킵니다. 2. 급성관상동맥질환의 진단검사 심전...2025.11.16
-
심부전의 증상과 징후2025.01.151. 심부전의 임상적 분류 심부전은 심장에서 신체의 대사요구에 따른 혈액량을 박출하지 못하는 경우로, 원인에 따라 급성, 만성 심부전과 심박출량에 따른 고박출성, 저박출성 심부전, 손상 부위에 따른 우심, 좌심부전, 심장주기에 따른 수축기성, 확장기성 심부전, 혈류의 울혈상태에 따른 전향, 후향성 심부전 등으로 분류된다. 2. 급성심부전 급성 심부전은 심근이 갑자기 펌프기능을 상실할 때 일어나며, 쇼크, 심정지, 실신, 돌연사 등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을 야기한다. 주요 원인은 급속한 혈액량 감소로 오는 쇼크나 심한 순환혈액량...2025.01.15
-
간호학과 생리학 순환계 정리노트2025.01.12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심장은 심방과 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방은 혈액을 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심실은 높은 압력으로 혈액을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심방과 심실 사이에는 방실판막이 있으며, 심실과 출구 사이에는 반달판막이 있다. 심장의 수축은 굴심방결절에서 시작되는 탈분극파에 의해 결정된다. 2. 심장의 기능과 박출 심장은 심방에서 심실로 순차적으로 수축하여 최대의 펌프 효과를 내며, 심실 수축 시 혈액이 동맥계로 박출된다. 심실 압력과 용적의 변화에 따라 심장 주기가 결정되며, 심실 효율은 일회박출량과 박출률로 평가할 ...2025.01.12
-
심장 파트(부정맥 제외) 요약2025.01.28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좌측 제 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있는 근육기관으로 신체 중심선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크기는 12cm 정도로 자기 주먹만 하며 무게는 약 300g이다. 심장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 등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장 전체는 심낭 속에 보호되어 있다. 심장 내부는 근육성 막인 심장중격을 중심으로 좌우 심장으로 나뉘고 다시 혈액이 유입되는 좌, 우심방과 혈액을 유출시키는 좌우심실의 4개 방으로 구성된다. 2. 혈액순환 폐순환은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들어온 정맥혈이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내져 산화...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