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7개
-
천도교의 창건과 의암 손병희2025.01.151. 의암 손병희의 청년기 손병희는 1861년 충청북도 청원군에서 태어났다. 아전(衙前)으로 일하는 아버지의 신분은 양반이었으나, 재가녀의 자식이었기 때문에 그는 서얼(庶孼)층에 속했다. 이에 따라 문중(門中)과 사회의 차별을 직접적으로 경험했을 뿐 아니라, 조선후기까지도 재가녀자손금고법(再嫁女子孫禁錮法)의 시행으로 재가녀의 자손은 과거에 응시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는 일찍이 공부를 그만두었다. 하지만 옥에 갇힌 친구 아버지의 석방을 위해 자기 집의 돈 있는 곳을 알려주거나, 심부름으로 관청에 공금을 내러 가는 중 눈길에 쓰러진 사...2025.01.15
-
갑신정변 직후 1885년 조선의 국제정세 대응 방안2025.11.161. 갑신정변 1884년 12월 4일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등 급진개화파가 청나라로부터의 독립과 조선의 개화를 목표로 일으킨 정변. 우정국 낙성식 축하연을 계기로 발생했으며, 개화 세력이 신정부를 수립하고 혁신 정강을 발표했으나 청나라의 군사 개입과 민중의 지지 부족으로 3일 만에 실패했다. 2. 1885년 동아시아 국제정세 갑신정변 이후 동아시아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일본은 대한제국 침공을 강화하여 1895년 식민지화를 추진했고, 중국은 제국주의 열강의 압력으로 영토와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러시아는 만주와 시베리아 확장을...2025.11.16
-
한국문학의 흐름: 고대에서 현대까지2025.11.121. 고대·중세 한국문학의 장르 변화 한국 고대문학은 고대가요에서 시작하여 삼국시대 향가로 변화했습니다. 고대가요는 구지가, 황조가, 공무도하가 등 4언 4구체가 원칙이었고, 백제의 정읍사는 님의 안위를 걱정하는 아내의 노래입니다. 삼국시대에는 한시와 향가가 공존했으며, 향가는 4·8·10구체로 구분되고 제망매가가 가장 유명합니다. 고려시대는 향가와 고려가요를 잇는 교량적 역할을 하며 한림별곡, 청산별곡 등이 있습니다. 조선시대는 시조와 가사가 대표 장르로 자연친화, 연군지정, 우국지정을 주제로 합니다. 2. 개화기와 1920년대 ...2025.11.12
-
1885년 갑신정변 직후 조선의 국제정세와 외교 입장2025.11.151. 갑신정변과 그 결과 1884년 12월 4일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가 일으킨 갑신정변은 3일 만에 실패로 끝났다. 정변 과정에서 온건 개화파 인사들이 살해되었고, 고종은 개화를 반역으로 규정하여 개화 정책을 중단했다. 개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심화되었으며, 개화 세력이 위축되고 수구 세력이 반동했다. 정변 참여자들에게는 적몰가산과 연좌법이 적용되었고, 사망자 44명, 일본 망명자 9명이 발생했다. 2. 1885년 동아시아 국제조약과 협약 한성조약(1885)은 갑신정변 후 일본이 피해 보상과 세력 회복을 위해 체결했다. 톈진조약...2025.11.15
-
한국 기독교의 전래와 성장2025.11.121. 관서 지방의 기독교 수용 한국 기독교는 19세기 말 서세동점의 역사와 함께 전파되었으며, 특히 관서 지방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1885년부터 1910년까지 평북 98개, 평남 162개, 황해도 102개 등 관서 지방에 362개의 교회가 설립되어 전체의 과반수를 차지했다. 이는 관서 지방의 자립적 중산층, 발달된 상업, 높은 문해율 등의 사회적 요인과 독서 계급의 교육 활동이 기여했다. 2. 기독교의 사회 개화 기여 기독교는 의료 사업, 신식 학교 설립, 신문 발간 등을 통해 한국 사회의 개화를 주도했다. 배재, 이화...2025.11.12
-
메이로쿠잡지와 문명개화: 번역과 동아시아의 근대2025.11.161. 메이로쿠잡지와 문명개화 메이지시대 초기 일본의 '문명개화'는 단순한 서양화가 아니라 메이로쿠샤 회원들이 추구한 복합적 개념이었다. 이들은 서양 학문뿐만 아니라 한학을 공부한 지식인들로, 유학의 '도(道)' 개념과 서양의 방법론을 결합하여 인류 보편의 문명에 도달하고자 했다. 메이로쿠잡지는 이러한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문자, 여성, 종교, 자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특히 국어 및 문자개혁을 통해 인민의 개명을 추구했다. 2. 문자개혁과 인민 계몽 메이로쿠샤 회원들은 문자를 문명개화의 핵심 수단으로 인식했다...2025.11.16
-
한국 교육제도의 변화: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2025.11.151. 조선시대 교육제도 조선은 성리학을 정치적 이념으로 받아들여 유교에 기반한 교육정책을 시행했습니다. 교육의 주목적은 관리 양성과 선발이었으며, 지배계급 남성을 대상으로 사서삼경 등 유학과 중국 고전을 교육했습니다. 피지배층은 신분의 제약으로 배움의 기회가 철저히 차단되었고, 성균관에서 과거제도를 담당하여 국가 이념의 재생산에 충실했습니다. 2. 개화기 근대 교육기관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로 개화기를 맞이하면서 근대 교육기관이 설립되었습니다. 1883년 원산학사는 주민 자발적 자금으로 설립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교육기관이며, ...2025.11.15
-
'서유견문 문체'에 대한 판결2025.11.171. 서유견문의 저술 배경 및 내용 유길준이 1883년 보빙사 일원으로 미국을 방문한 후 서구의 진상을 알리기 위해 저술한 서유견문은 2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세계 지리를, 본론에서는 국제관계, 정치체제, 법률, 교육, 상업 등 근대적 개혁 내용을, 결론에서는 개화의 개념과 방법론을, 보론에서는 서양의 풍물을 소개하고 있다. 1889년 원고 완성 후 1895년 일본에서 출판되었으며, 유길준은 1000부를 지식인과 정부고관에게 기증하여 갑오개혁의 필요성을 홍보했다. 2. 국한문혼용체 문체에 대한 비판 서유견문의 국한문혼용...2025.11.17
-
한국 교육제도의 미국 학제 도입 배경2025.01.221. 한국 교육제도의 역사 한국의 교육제도는 개화기 이전의 전통적 교육과 근대적 학교제도가 도입된 개화기 이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개화기 이전에는 지배계급에게만 허용되었던 교육이 19세기 말 교육 근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최초의 근대식 학교인 원산학사가 1883년 개교되었고, 일제 식민지 시기를 거쳐 분단 하에서 학교 중심의 국민교육제도가 확립되었습니다. 2. 미군정기 교육 정책 해방 이후 3년간의 미군정기는 한국 교육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미군정은 교육 조사단 파견, 교사 양성, 미국식 교육 이론 및 방법 도입 ...2025.01.22
-
식물분자생물학실험Arabidopsis seed sterilization and germination 결과보고서2025.01.181. Arabidopsis seed sterilization and germination 본 실험에서는 형질전환된 Arabidopsis seed 를 70% ethanol과 10% NaClO 희석액을 이용해 소독하여 종자 표면의 미생물 오염원을 제거하고, 항생제가 투입된 media에서 발아시켜 형질전환체를 선별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다수의 종자가 정상적으로 발아되었고, 배지에서 오염원에 의한 contamination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70% ethanol과 10% NaClO 희석액이 식물 종자 표면의 오염원을 정...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