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24개
-
내분비계의 구조, 기능 및 질환 관리2025.11.111. 내분비선의 종류 및 위치 인체의 내분비선은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췌장, 성선, 흉선 등으로 구성된다. 뇌하수체는 뇌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엽과 후엽으로 나뉜다. 갑상선은 목의 전면에 위치하여 타이록신을 분비한다. 부갑상선은 갑상선 아래 양쪽에 4개가 위치하며 칼슘과 인의 균형을 조절한다. 부신은 피질과 수질로 나뉘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생산한다. 췌장은 외분비선과 내분비선의 기능을 모두 수행한다. 성선은 난소와 정소로 나뉘어 생식세포와 호르몬을 생산한다. 흉선은 면역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호르몬의 기...2025.11.11
-
조현병 환자의 시나리오 기반 정신간호 실습2025.11.151. 조현병의 임상증상 및 진단 조현병은 환청, 망상, 무기력, 불안 등의 정신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본 사례의 대상자는 환청과 과대망상, 피해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신어조작증, 지리멸렬, 무언증 등의 증상을 보인다. GAF 검사 결과 25점으로 행동이 망상과 환각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고 있다. 개인위생 불량, 사회적 위축, 비협조적 태도 등 음성증상도 함께 나타난다. 조현병은 초발 시 급격한 성격 변화와 기능 저하를 보이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높다. 2. 조현병의 약물치료 및 재발방지 조현병 치료의 핵심은 재발...2025.11.15
-
[빈혈 및 조혈계통 약리학 정리]2025.05.141. 빈혈 빈혈은 혈액성분 중 적혈구수의 감소에 따라 헤모글로빈(철 단백질)의 농도가 정상 이하로 낮아진 상태를 말한다. 철결핍성 빈혈이 가장 흔하며, 특히 유아기, 청소년기, 가임기여성 및 노인에서 유병율이 높다. 빈혈의 원인은 실혈, 적아구분화의 장애(erythropoietin 분비저하, 철, folic acid, vitamin B12 등의 결핍) 등이 있다. 거대 적아구성 빈혈은 비타민 B₁₂결핍과 엽산 결핍으로 인한 세포 내 DNA합성장애로 발생한다. 2. 조혈 vitamin 보충 철분체제와 ascorbic acid(vita...2025.05.14
-
여성건강간호학 자간전증 및 전치태반 간호과정2025.11.141. 자간전증(Pre-eclampsia) 자간전증은 임신 중 발생하는 고혈압 질환으로, 두통, 부종, 단백뇨 등의 증상을 보인다. 환자는 혈압 160/110mmHg, 단백뇨(3+), 양수량 감소(AFI 7cm), 태아심박동 110회 등의 증상을 나타냈다. 황산마그네슘 투여로 경련 예방 및 혈압 관리를 하며, 좌측위 침상안정, 지속적인 태아감시, 신장기능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심각한 합병증 위험으로 응급 분만 준비가 필요하다. 2. 전치태반(Placenta Previa)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경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상태로, 질출혈(...2025.11.14
-
조현병 환자의 정신간호학 케이스 스터디2025.11.171. 조현병(Schizophrenia)의 임상증상 및 진단 조현병은 다양한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을 나타내는 정신질환이다. 본 케이스의 50세 여성 환자는 2018년 환청 발병 이후 종교망상, 신체망상, 정동둔마, 사회적 위축, 식사량 저하 등의 증상을 보였다. 입원 초기에는 환청이 있었으나 현재는 소실되었고, 정동둔마와 사회적 위축이 주요 음성증상으로 지속되고 있다. 신경인지장애를 동반하며 K-WAIS-Ⅳ 검사에서 경도지적장애 수준의 인지기능 저하가 확인되었다. 2. 정신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본 케이스에서 도출된 주요 간호진단은 5가...2025.11.17
-
수액 종류와 부작용 (N/S, 하트만, 포도당), 중심정맥관 및 말초정맥관 레포트2025.05.081.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은 팔, 다리, 목에서 몸통으로 연결되어 심장으로 들어가는 굵은 정맥을 뜻한다. 한 번 삽입하면 제거하기 전까지 피부를 찌르는 고통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중심정맥관은 손이나 발등의 말초정맥으로 투여되어서는 안되는 약물(항암제, 고농도 영양제 등)을 장기간 사용해야할 때, 퇴원 후 집에서 계속 수액치료나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중심정맥관에는 비터널 카테터, 말초삽입 중심정맥 카테터, 터널카테터, 피하 이식형 포트 등의 종류가 있다. 중심정맥관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세균 감염 ...2025.05.08
-
성인간호학케 케이스 스터디 COPD_비효과적 호흡양상, 비효과적 건강관리2025.05.061.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기도가 폐쇄되거나 좁아져서 기도의 공기 유통이 계속해서 폐쇄되는 폐질환이다. 주요 원인은 흡연이며, 그 외에도 대기오염, 유전적 요인, 직업적 노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흔한 증상으로는 만성적인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과 신체 사정, 폐기능 검사 등이 필요하다. 치료로는 금연, 약물 요법, 산소 요법, 호흡 재활 등이 있다. 질병이 진행하면 호흡곤란, 운동 능력 저하, 체중 감소, 정서적 변화 등이 나...2025.05.06
-
각종 카테터의 이해와 간호2025.11.141.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관은 비터널형과 터널형으로 나뉜다. 비터널형은 C-line(약 2주간)과 PICC(약 6개월~1년)가 있으며, 터널형은 chemoport, Hickman, Permcath가 있다. 항암제 사용, 혈관작용 약제 투약, 혈액제제 빠른 주입 등에 사용된다. 간호는 환자 활력징후 확인, X-ray 시행, 삽입 부위 통증·부종·삼출액 여부 확인, 2% 클로르핵시딘으로 소독한다. 제거는 치료 완료 또는 합병증·감염 위험 시 시행한다. 2. 비위관(Nasogastric Tube...2025.11.14
-
기본간호학: 주사, 수혈, 체온조절 요법2025.11.181. 피내주사 피내주사는 진피층에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으로, 0.1mL 미만의 소량 약물이 사용됩니다. 투베르쿨린 반응, 알레르기 반응, 약물 과민성 검사에 사용되며, 심한 과민성 반응을 대비하여 혈류 분포가 적고 흡수가 천천히 되는 진피에 주입합니다. 주사부위는 병변이 없고 착색되지 않아야 하며, 전완의 내측면, 상완의 측후면, 상흉부, 견갑골 부위에 시행됩니다. 투베르쿨린 피부검사는 48~72시간 후 판독하며, 경결을 mm 단위로 측정합니다. 2. 정맥주사 정맥주사는 혈관의 정맥을 천자하여 혈액 내로 직접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입...2025.11.18
-
정신건강간호학 약물요법 및 간호사의 약물관리2025.11.151. 항정신병 약물 항정신병 약물은 정형과 비정형으로 분류된다. 정형항정신병약물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으로 양성증상 치료에 효과적이나 음성증상 악화 위험이 있고 추체외로증상 등 부작용을 유발한다. 비정형항정신병약물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하여 양성증상 치료와 음성증상 개선을 동시에 달성하며 부작용을 감소시켰다. 클로르프로마진, 할로페리돌, 클로자핀, 아리피프라졸 등이 대표 약물이다. 2. 항우울제 항우울제는 우울증 치료에 주로 사용되며 강박장애, 공포증 등에도 적용된다. 삼환계 항우울제, 모노아민 산화효소 저해제, 선택적 세...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