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5개
-
혈액 검체에 따른 bottle의 구분 및 sample 방법2025.01.031. 혈액 구성 혈액은 혈장,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장은 액체성분으로 혈액의 55%를 차지하며, 단백질, 응고인자, 전해질, 탄수화물, 지방, 호르몬, 효소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적혈구는 세포성분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며, 혈색소로 인해 붉은색을 띤다. 백혈구는 면역기능을 담당하며, 혈소판은 지혈기능을 한다. 2. 채혈 시 주의사항 채혈 시 피해야 하는 부위로는 화상으로 인한 흉터가 있는 곳, 유방절제 수술을 받은 쪽 팔, 심한 멍이 있거나 부은 곳, 혈액투석을 위한 동정맥루, 굳어있거나 부종이 있는 곳...2025.01.03
-
중환자감시법(Liver transplantation 시 Thromboelastography의 사용)2025.04.271. Thromboelastography의 사용 Thromboelastography(TEG)는 혈액 응고의 연쇄 반응에 있어서 혈전의 생성부터 용해까지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양상을 전반적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혈전의 생성 및 용해의 균형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간이식 수술, 심장 수술 및 산과 수술에 있어서 TEG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술을 받지 않는 환자에게 있어서 항응고 약물의 적정한 농도 결정에 있어서도 TEG를 활용하는 등, TEG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 간이식 ...2025.04.27
-
수혈 요법의 적응증, 주의사항, 부작용 및 간호2025.05.161. 수혈 요법 수혈은 전혈이나 혈액성분의 일부(혈장, 농축적혈구, 혈소판 등)를 정맥 내로 주입하는 것으로, 질병, 외상, 수술 등으로 인한 출혈로 혈액이 부족할 때 인체의 기능과 생명 보존을 위해 혈액을 보충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혈 제제에는 전혈, 적혈구 농축액, 동결 해동 적혈구, 백혈구가 적은 적혈구, 신선동결혈장, 동결침전제제, 혈소판 풍부혈장, 혈소판 농축액 등이 있으며, 각각의 적응증과 주의사항이 다르다. 수혈 전 준비사항으로는 비예기 항체 선별검사, 혈액형 검사, 교차 적합시험 등이 필요하며, 수혈 중에는 수혈반응 ...2025.05.16
-
성인 대량 출혈 프로토콜2025.01.071. 대량 출혈 프로토콜 대량 출혈 프로토콜(Massive Hemorrhage Protocol, MHP)은 적절한 환자, 팀, 중재를 적절한 시점에 결합하는 임상 경로입니다. 대량 출혈은 24시간 내에 환자의 추정 총 혈액량과 동등한 혈액 성분을 수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성인에서 10단위 이상의 농축 적혈구 수혈에 해당합니다. 대량 출혈의 정의는 환자 관리에 유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초기 트라넥사민산 투여, 적혈구:신선동결혈장 1:1 비율의 기초 비율 투여, 환자 상태와 검사 결과에 따른 추가 수혈 등 3가지 전략을 제안...2025.01.07
-
수혈 간호와 혈액제제 종류에 따른 수혈시간, 수혈 주의사항, 임상에서 알기 좋은 수혈간호 꿀팁2025.01.271. 수혈의 목적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부족한 응고인자 및 결핍성분을 보충하기 위함,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회복하기 위함 2. 수혈의 준비물품 수혈혈액, 수혈 혈액 종류에 따른 수혈세트, 활력징후 측정 준비물, 생리식염수, 주사기, 전처치약, 반창고, 혈관카테터, 알코올 솜, 멸균장갑, 수혈동의서, 수혈기록지 3. 수혈의 종류 전혈(Whole Blood), 농축적혈구(Red bood cells), 세척적혈구(Washed red blood cells), 백혈구여과제거 적혈구, Pre-stora...2025.01.27
-
수혈간호,병동컨퍼런스자료PPT2025.05.101. 수혈의 정의와 목적 수혈이란 환자에게 부족한 혈액의 혈구 성분과 혈장 성분을 타인의 혈액으로 공급받는 것을 말한다. 수혈의 목적은 부족한 순환혈액량을 보충하고, 혈액 응고인자의 결핍을 보충하며,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증강시키고, 혈액의 결핍 구성성분을 보충하는 것이다. 2. 수혈간호의 정의와 목적 수혈간호는 정확한 환자에게 정확한 방법으로 수혈하고, 수혈로 인한 부작용, 합병증 및 수혈오류를 예방하기 위해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관리하며 발생 시 규정과 지침에 따라 신속히 대처하는 간호활동이다. 수혈간호의 목적은 수혈로 인한 부작...2025.05.10
-
알부민 투여 목적, 주의사항, 투여 방법 등2025.05.161. 알부민 알부민은 혈액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혈장단백질이라고도 부른다. 혈관과 조직사이의 삼투압유지에 중요한역할을 하며, 알부민 감소시 혈관밖으로 체액이 빠져나가 부종, 복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알부민 감소 이유로는 간질환, 영양불량, 신질환, 외상/화상/수술 후 염증 등이 있다. 알부민의 역할은 삼투압 유지와 여러 전해질과의 결합 및 운반이다. 2. 알부민 투여 시 주의사항 알부민 투여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약 3시간 이상 천천히 투여해야 한다. 급속 주입 시 혈장량 과다, 폐부종, 심부전 발생 위험이 있다....2025.05.16
-
성인간호학 빈혈 ppt 극찬받았습니다.2025.05.061. 혈액의 구성 및 기능 혈액은 혈장과 혈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소와 영양소 운반, 체액 및 전해질 균형 유지, 감염 방어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은 각각 고유한 특성과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빈혈의 종류와 증상 빈혈은 적혈구 수, 혈색소, 적혈구 용적비가 정상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재생불량성, 철결핍성, 거대적아구성, 엽산결핍성, 용혈성, 겸상적혈구성 등 다양한 종류의 빈혈이 있으며, 각각 특징적인 증상을 보입니다. 3. 빈혈 진단 및 간호 계획 CBC, 골수검사, 말초혈액도말검사...2025.05.06
-
수혈의 목적과 간호 절차2025.11.121. 수혈의 목적 수혈은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고, 부족한 응고인자 및 결핍성분을 보충하며,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회복하기 위해 시행된다. 의사의 처방이 필수적이며, 수혈의 효과 및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정보 제공 후 환자 동의서 작성이 필요하다. 2. 혈액 확인 및 검증 절차 혈액은행에서 수령한 혈액을 의료인 2인이 직접 확인하여 대상자 정보, 혈액형, 교차검사 결과, 유통기한, 혈액 상태 등을 검증한다. 물세균 성장과 적혈구 파괴 예방을 위해 불출 30분 이내에 수혈을 시작해야 하며, 문제 발견 시...2025.11.12
-
수혈의 종류와 전후처치2025.01.131. 수혈의 목적 수혈의 목적은 출혈로 인한 혈액 부족 시 순환 혈액량 보충, 혈액 응고 요소와 혈소판 수의 감소로 인한 기능장애 시 부족한 요소 공급, 산소운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혈구수 증가와 헤모글로빈 수준 유지, 혈액의 결핍 성분 보충 등이다. 2. 수혈의 종류 수혈의 종류에는 Whole Blood(전혈), Pack cell(농축적혈구), Platelet(혈소판), Fresh Frozen Plasma(신선동결혈장) 등이 있다. 각각의 성분을 분리하여 수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수혈 전 검사 수혈 전 ABO&Rh t...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