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60개
-
국내외 감염병관리: 후천성면역결핍증(AIDS)2025.11.141. AIDS의 임상적 특성 AIDS는 서서히 진행되는 감염병으로 초기 HIV감염은 무증상이거나 발열, 땀, 근육통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2~5년에 걸쳐 느리게 진행되며 herpes zoster, 구강 캔디다증 등의 감염이 발생하고 체중 감소, 피로, 설사를 경험합니다. AIDS 진단의 가장 흔한 임상적 발현은 기회감염이며, kaposi sarcoma, 자궁경부암, 림프조직암 등의 악성종양이 관련됩니다. CD4+ helper T cell의 감소와 CD8+ suppressor T cell의 증가가 특징이며, 특별한 치료가 없으면 8...2025.11.14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감염관리지침 준수 (감염감시 체계)2025.05.111. 감염관리지침 준수 감염관리지침 준수는 병원 내에서 감염원으로 확인되거나, 확인되지 않은 모든 미생물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고안된 것입니다. 이는 환자의 진단명과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며, 혈액, 체액, 배설물, 분비물, 점막과 손상된 피부에 적용됩니다. 또한 혈액 매개 질환, 접촉주의, 공기매개 주의, 비밀주의 등 다양한 감염 관리 지침이 있습니다. 2. 감염감시 체계 감염성 질환 감시 체계에는 감염성 질환자 발생 모니터링, 진단검사결과 양성 문자 알림, 진단 스크리닝 프로그램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감염...2025.05.11
-
ICU 중환자실 성인간호 케이스 스터디 - 패혈증(Septic Shock)2025.01.041. 패혈증(Septic Shock) 76세 남성 환자로, 담석증, 말기신부전(ESRD), 다낭성 신질환(ADPKD) 등의 과거력이 있습니다. 내원 당시 호흡곤란과 의식저하 증상이 있어 119를 통해 응급실로 내원하였고, 중환자실에 입원하였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감염 소견이 있었고, 간 CT 검사에서 간경화와 비장비대가 확인되었습니다. 패혈증성 쇼크가 의심되어 승압제, 항생제 치료와 산소 공급 등의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환자의 의식 수준과 감염 지표가 호전되지 않아 중환자실 입원 치료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1. 패혈증(Septic...2025.01.04
-
[A+자료] 표준주의 지침(정의, 격리 및 역격리, 표준주의 적용사례기반 분석)2025.04.281. 표준주의 지침 표준주의는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처치와 술기, 간호를 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지침이다. 표준주의지침은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며, 병원 내에서 감염원으로 인지하거나 인지하지 못한 모든 미생물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환자와 병원직원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관련감염의 전파 예방을 위해 적용되기도 한다. 표준주의 권고사항에는 일반원칙, 호흡기 예절, 환자의 이동과 배치, 치료장비와 기구관리, 환경관리 등이 포함된다. 2. 공기매개주의 공기매개주의란 비말핵이 수증기화 된 물방울이나 먼지...2025.04.28
-
감염관리 교육: 실습생을 위한 감염 전파 경로 및 격리주의2025.11.151. 감염의 전파 경로 감염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은 다양한 경로로 전파 가능하며, 의료기관 방문 환자, 직원, 내원객뿐만 아니라 오염된 환경도 감염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접촉을 통한 전파뿐만 아니라 공기를 통한 전파도 가능하며, 감염원에 의해 감염된 경우 연령, 기저질환, 면역력에 따라 감염 상태가 다를 수 있습니다. 항체가 없는 경우 예방접종을 통한 면역력 획득이 필요합니다. 2. 손위생의 중요성 및 수행 시점 손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미생물에 오염되기 쉬우며, 환자 간 감염 차단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예방방법입니다. 손위생 ...2025.11.15
-
가을철 진드기매개 감염병관리2025.11.141.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SFTS는 버냐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입니다. 2009년 중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국내에서는 2013년 첫 환자 보고 이후 2022년까지 1,697명이 발생했습니다. 4~15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지속되는 고열, 소화기 증상, 혈소판 감소, 백혈구 감소, 두통, 근육통 등이 나타나며, 중증의 경우 신경계증상, 파종성혈관내응고증,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진행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현재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나 백신이 없어 대증 요법으로 치료하며 입원 치료가 필요...2025.11.14
-
패혈성쇼크(Septic Shock)의 정의, 생리기전(4가지), 간호중재(8가지)2025.04.261. 패혈성 쇼크(Septic Shock) 패혈증(sepsis)은 미생물 감염에 대한 전신적인 반응으로 주요 장기에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을 말한다. 패혈성 쇼크는 패혈증에 저혈압이 동반된 경우를 말하며 수축기 혈압이 90㎜Hg 이하이거나, 적절한 수액 소생을 고려할 때 환자의 기본 수축기 혈압에서 40㎜Hg이 넘게 감소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2. 패혈성 쇼크 시 생리기전 1. 선천면역(innate immunity): Toll-like receptor(TLR)와 같은 수용체들이 세포 내 면역매개물질인 tumor necrosis fac...2025.04.26
-
인수공통전염병의 종류와 분류2025.11.131. 인수공통전염병의 정의 및 분류 인수공통전염병은 사람과 동물 간에 전염될 수 있는 질병으로, 동물이나 음식에 의해 전염되거나 척추동물로부터 전파되는 독성물질에 의해 전염된다. 분류 방식으로는 감염 병원체의 생활사 형태, 감염 병원체의 종류, 전파방식, 병원체 보유 숙주의 특성에 따른 분류가 있다. 동물을 취급하는 사람들은 감염 가능성을 인식하고 감염원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병원체 생활사에 따른 분류 Direct Zoonoses는 병원체의 생활 주기가 한 척추동물에서만 발생하며 동물에서 인간으로 직접 전염된다(광...2025.11.13
-
치과 감염관리 지침2025.11.141. 치과 감염관리 치과 진료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지침입니다. 환자와 의료진 간의 교차감염을 방지하고, 적절한 소독 및 멸균 절차를 수립하여 안전한 진료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치과 위생관리 치과 진료실의 기구, 장비, 환경에 대한 위생관리 방법을 포함합니다. 정기적인 청소, 소독, 멸균 절차와 감염 예방을 위한 표준 주의사항을 규정하여 환자 안전을 보장합니다. 3. 개인보호장비(PPE) 치과 의료진이 진료 중 착용해야 하는 장갑, 마스크, 보안경, 가운 등의 개인보호...2025.11.14
-
성매개감염병의 임상적 특징과 진단 및 치료2025.11.141. 매독(Syphilis) 매독균(Treponema pallidum)에 의한 감염병으로 1기 경성하감, 2기 피부병변, 3기 고무종 병변으로 진행된다. 선천매독은 임산부의 치료 부재 시 태아에게 전파되며 허치슨 3징후(벚꽃모양 앞니, 시력장애, 청각장애)가 특징이다. 암시야현미경, 혈청학적 검사(VDRL, RPR)로 진단하며 Penicillin 계열 항생제로 치료한다. 2. 임질(Gonorrhea) 임균(Neisseria gonorrhoeae)에 의한 감염으로 남성은 급성 요도염, 여성은 자궁경부염으로 나타난다. 신생아 결막염은 ...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