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7개
-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과 사이시옷 표기, 띄어쓰기2025.01.231.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은 한글 맞춤법의 전반적인 규칙을 제시하며, 한글 표기의 일관성과 규칙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조항은 한글 맞춤법의 가장 기본적인 세 가지 원칙을 포함하고 있는데, 즉 한글 표기는 표준어를 기준으로 하되, 발음과 어법 모두를 고려하여 표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요소는 표준어 표기, 소리대로 적기, 어법에 맞도록 하는 것이다. 2. 사이시옷 표기의 기본 조건 사이시옷은 주로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표기 현상으로, 두 단어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2025.01.23
-
한국어의 모음 체계에서 단모음의 음소 수에 대한 다양한 견해2025.04.301. 한국어 음소 체계 한국어의 음소는 자음과 모음으로 나뉘며, 모음은 다시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됩니다. 표준발음법에서는 자음 19개, 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로 총 40개의 음소를 인정하고 있지만, 실제 사용에서는 이와 다른 견해들이 존재합니다. 2. 단모음 음소 수에 대한 다양한 견해 한글 맞춤법에서는 모음 10개를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 표준어 사용자들의 발음에서는 'ㅚ'와 'ㅟ'가 이중모음으로 발음되는 등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방언에 따라 모음 체계가 달라져 6개, 9개 등 다양한 단모음 체계가 존재합니다. 3...2025.04.30
-
한국어음운론-없다의 어간 기저형을 설정하는 과정을 참고하여 명사 닭의 기저형을 설정2025.05.081. 기저형 기저형이란 머릿속에 있는 지식으로서 추상적이고 심리적인 음성형이다. 예를 들어 '값'이라는 단어를 본다면 값만 → 감만, 값도 → 갑도, 값이 → 갑시 물리적으로 나는 소리는 다른데, 사람들이 추상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값' 하나이다. 즉 음운 정보의 연쇄를 말한다. 이 음운 정보는 사람의 머릿속에 언어 지식의 일부로 저장되 있다가 추상적이고 가정된 심리적인 음성형인데, 이러한 추상적 음성형으로서의 단어나 구의 연쇄를 기저표시라고 하고, 음운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가정된 추상적 개념을 기저형이라고 볼 수 있다. 2. 기저...2025.05.08
-
[한국어교원] 한국어음운론 과제_표준발음법에서 제시된 내용과 다른, 단모음 음소 수에 관한 각각의 견해의 근거와 타당성2025.01.171. 한국어 단모음 체계 한국어 단모음은 자음보다 조음의 실현 영역이 넓고 경계가 모호하다는 점에서 기준점이 되는 기본모음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표준발음법에서는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의 10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지역이나 세대에 따라 실제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중부방언과 서남방언의 장년층은 'ㅟ'와 'ㅚ'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중부방언의 젊은 층은 'ㅔ'와 'ㅐ'를 구별하지 못한다. 북한의 젊은층에서는 'ㅡ'와 'ㅜ'가 합류하고 'ㅓ'와 'ㅗ'가 합류한 '...2025.01.17
-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의 자모 제시 순서2025.05.101. 한국어 발음 교육 외국인 및 다문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발음 교육은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 교육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합니다. 한글의 자모 교육에서 문자 교육과 발음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기존 이론과 교재에서의 자모 제시 순서를 정리하고 외국어 학습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새로운 자모 제시 순서를 제안하였습니다. 2.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모의 수와 순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 교재들의 자모 제시 순서가 통일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2025.05.10
-
언어와 매체 수업지도안-국어 자료의 탐구 8차시2025.05.091.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국어 자료에서 맞춤법에 어긋난 표현을 찾아 바르게 고치는 활동을 한다. 또한 맞춤법을 지키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토의한다. 2. 표준어의 개념과 표준어 규정의 필요성 표준어의 개념과 표준어 규정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문학 작품이나 일상생활에서 의도적으로 표준어 규정을 어기는 경우와 그 효과에 대해 탐구한다. 1.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는 발음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한글은 표음문자이기 때문에 단어의 발...2025.05.09
-
한글 맞춤법 총칙의 이해와 적용2025.01.211. 한글 맞춤법 총칙의 첫 번째 원칙: 표준어를 소리 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 한글 맞춤법의 첫 번째 원칙은 표준어를 소리 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표준어의 발음을 최대한 반영하면서도 문법적인 규칙을 준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다'는 '가아'로 발음되지만 '가'로 적고, '학교'는 '학꾜'로 발음되지만 '학교'로 적는다. 이처럼 표준어를 소리 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는 것은 한국어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발음을 고려한 합리적인 규칙이다. 2. 한글 맞춤법 총칙의 두 번째 원칙: 문장의 각...2025.01.21
-
국어의 규범이 필요한 이유와 규범의 종류2025.05.051. 국어 규범의 필요성 실제로 우리나라 언어 사용에서 정규성이 없는 비규범적인 어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규범적 어휘는 국어교육에서 제외되어 외국인 학습자들이 수업에서 배운 규범적 어휘와 현실에서 사용되는 비규범적 어휘 사이에서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현실에서 널리 사용되는 비규범적 어휘도 명확히 정의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이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어교육에서 공통된 국어규범의 기준을 마련하여 명확한 내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국어 규범의 종류 국어 규범은 국가 차원에서 체...2025.05.05
-
한글 맞춤법 총칙 이해하기2025.05.121. 한글 맞춤법 제 1항: 표준어 소리대로 적기와 어법에 맞게 적기 한글 맞춤법 제 1항은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입니다. 이는 표음주의적 표기와 표의주의적 표기를 모두 포함합니다. 표음주의적 표기는 '나비', '구름', '하늘', '날다', '바라다'와 같이 소리나는 대로 적는 것을 말합니다. 표의주의적 표기는 '꽃이', '꽃을', '꽃에', '꽃나무', '꽃놀이', '꽃망울'과 같이 형태소를 밝혀서 적는 것을 말합니다. 2. 한글 맞춤법 제 2항: 문장의 각 단어 띄어쓰기 한...2025.05.12
-
한국어 단모음의 IPA 표기와 발음 교육2025.01.231. 한국어 단모음의 IPA 표기 한국어의 단모음을 혀의 높낮이, 전후 위치, 입술 모양에 따라 분류하고 각 단모음의 IPA 기호를 제시하였습니다. 전설모음 3개, 후설모음 5개, 고모음 3개, 중모음 3개, 저모음 2개, 원순모음 2개, 평순모음 6개로 구성된 한국어 단모음 체계를 설명하였습니다. 2. 이중모음화 현상 표준발음법에서 단모음으로 지정된 /ㅟ/, /ㅚ/, /ㅔ/, /ㅐ/ 등의 모음이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거나 그 소릿값을 변별하지 못하는 현상을 설명하였습니다. 3. 단모음 발음 교육 이중모음화 현상이 ...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