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미생물 배양, 배지 만들기 예비보고서2025.01.121. 배지 배지는 미생물부터 동물, 식물에 이르는 배양체의 생장을 위해 필요한 영양물질을 용액 이나 고형분 형태로 조제한 것을 말한다. 어떠한 균을 배양하느냐에 따라 요구되는 물질 이 다르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배지를 만들어야 한다. 2. 미생물 미생물(微生物, microorganism) 이란 너무 작기 때문에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생물 을 통칭한다. 원생생물, 진균, 고균, 세균, 바이러스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미생물은 매 우 다양한 생물체들의 집합이다. 3. 배지의 종류 배지는 목적에 따라 증식배지, 증균배지, ...2025.01.12
-
식품미생물학 미생물의 검출 및 균수측정법2025.05.071. 균수측정법 총균계수법, 생균계수법, 표준평판계수법, 최확수법 등 다양한 균수측정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 방법의 원리, 장단점, 실험방법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2. 선택배지와 분별배지 선택배지는 특정 미생물의 성장을 돕거나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특정 미생물만 자랄 수 있는 배지입니다. 분별배지는 특정 미생물과 다른 미생물의 콜로니를 구별할 수 있는 배지입니다. 3. 종균배양기술 미생물의 존재 확인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차 증균배양과 2차 선택적 증균배양을 통해 선택배지...2025.05.07
-
식품미생물실험 균접종 실험보고서 A+2025.01.291. 미생물 접종 미생물 접종은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선행 과정으로 시료를 미생물들이 증식할 수 있는 배지에 운반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접종 방법으로는 streaking, slant이식, spreading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전 실험에서 제작한 고체배지, 사면배지, 평판배지에 적합한 이식방법을 적용하여 균 접종을 수행하였다. 2. 70% 에탄올 사용 알코올은 미생물 세포막에 존재하는 지질을 용해시켜 세포막 내로 침투하여 세포질의 단백질을 변성시킴으로써 증식하는 세균을 사멸시킨다. 이 알코올의 농도가 70%일 때 가장 소...2025.01.29
-
식품공학실험9-11주차(유통기한 설정)2025.01.131. 일반 세균 수 실험 일반 세균 수 실험은 일반 세균 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표준평판법과 건조필름법, 자동화된 최확수법이 있다. 표준평판법은 표준 한천배지에 검체를 혼합 응고시켜 배양 후 발생한 세균 집락수를 계수하여 검체 중의 생균수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건조필름법은 제조법에 따른 시험용액 1 mL와 각 10배 단계 희석액 1 mL를 세균수 건조필름배지에 각 2매 이상씩 접종한 후 35±1℃에서 48±2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붉은 집락수를 계수하여 일반세균수를 구한다. 2. VBN 실험 VBN은 암모니아를 주로 하여 TMA, ...2025.01.13
-
[식품미생물공학실험] 미생물의 관찰 및 미생물의 증식2025.01.291. 현미경 관찰 기술 다양한 현미경 기술이 발전하면서 표본의 가시성이 향상되었고, 이는 식품·생명과학 분야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광학 현미경, 형광 현미경, 위상차 현미경, 전자 현미경 등 관찰 대상과 실험 목적에 따라 적절한 현미경을 선택해야 한다. 형광 현미경은 UV 조사를 통해 발현되는 형광 물질을 관찰하지만, UV가 세포에 독성을 가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위상차 현미경은 시료의 특이적인 입사 및 산란 성분 차이를 이용해 염색 없이 세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전자 현미경은 전자 빔과 시료의 상호작용을 통해 표면...2025.01.29
-
미생물 고체 배지 만들기 실험 예비, 결과 보고서2025.01.041. 미생물 고체 배지 만들기 이 실험은 미생물 고체 배지를 만드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Luria Bertani (LB) 고체 배지를 만드는 방법으로, 증류수에 NaCl, Yeast extract, Tryptone, Agar를 넣고 멸균하여 petri dish에 부어 굳히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생물 배양에 필요한 고체 배지를 직접 제작할 수 있게 됩니다. 2. 도말법 이 실험에서는 미생물 배양을 위한 도말법도 다루고 있습니다. 도말법은 미생물 시료를 고체 배지 표면에 균일하게 펴 바르는 기술로,...2025.01.04
-
일반세균 측정 예비레포트2025.05.061. 일반세균 일반 세균이라는 명확한 미생물학적 종류나 정의는 없지만 통상적으로 영양분이 풍부한 한천배지에서 쉽게 자랄 수 있는 호기성 및 통성혐기성 종속영양세균을 의미하거나 또는 비병원성 세균을 뜻한다. 일반세균은 일반적으로 물과 음식물 등의 오염에 따라 증가하므로 이의 안전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다. 2. 건조필름법 건조필름법은 건조필름배지를 이용하여 세균 및 진균류를 검사하는 미생물시험법이다. 건조필름배지는 Biological film에서 세균 및 진균류가 증식할 수 있도록 영양성분을 필름에 코팅한 것으로, 시료를 건조필름배지...2025.05.06
-
흡광광도법을 이용한 미생물 증식 측정2025.01.121. 미생물의 생장 이론 미생물의 생장은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생장상태는 유도기, 가속기, 로그기, 감속기, 정상기, 그리고 사멸기로 구분된다. 배지로 도말된 세균들은 배지 속의 영양분을 흡수하고 분열을 시작하며, 영양분이 고갈되면 죽은 세균이 방출하는 영양분을 흡수하며 유지하다가 일정한 비율로 사멸하게 된다. 2. 흡광광도법의 원리 흡광은 물질의 광학적 성질 중 하나로, 물질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특정 파장의 빛을 받은 전자는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낮은 전자궤도에서 높은 전자궤도로 이동하...2025.01.12
-
A+[일반생물학및실험] spreading, streaking 레포트2025.05.041. Spreading LB plate에 실험한 날짜, 조 이름, 접종 균주의 이름, 희석 정도를 labelling한다. pipette을 이용하여 미생물 배양액 80ul을 따서 plate에 접종한다. 멸균된 삼각봉을 이용하여 배양액을 골고루 펴서 도말한다. 퍽퍽해지는 게 느껴질 때까지 골고루 펴준다. 도말이 끝난 배지는 뒤집어서 37℃ incubator에 24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colony를 관찰한다. 2. Streaking single colony를 loop으로 살짝 떠서 배지의 한쪽을 지그재그로 도말한 후 120° 돌린다....2025.05.04
-
철근콘크리트구조2025.01.121. 철근콘크리트조의 역사 철근콘크리트조는 시멘트의 발명과 구조이론의 발달로 인해 출현했다.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에서 시멘트와 유사한 재료를 사용했으며, 1824년 조셉 아스프틴이 포틀랜드시멘트를 개발하면서 시멘트의 공업적 생산이 시작되었다. 1890년 프랑수아 헤네비크가 자택을 철근콘크리트로 건설하면서 철근콘크리트의 획기적 발전이 있었다. 1900년 프랑수아 헤네비크가 기둥과 보를 일체식으로 구성한 라멘구조의 기초를 만들고 배근법을 고안했다. 르 코르뷔지에의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축물 조형성 표현에 결정적 원동력이 되었...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