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3개
-
자음의 변별적 자질과 모음의 변별적 자질에 대한 설명 및 음소 분류2025.01.221. 자음의 변별적 자질 자음의 변별적 자질에는 공명성, 비음성, 소음성, 지속성 등이 있다. 공명성에 따라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은 [-공명성]이 되고 비음과 유음은 [+공명성]이 된다. 비음성에 따라 유음은 [-비음성], 비음은 [+비음성]이 된다. 소음성에 따라 파열음은 [-소음성], 마찰음과 파찰음은 [+소음성]이 된다. 지속성에 따라 파찰음은 [-지속성], 마찰음은 [+지속성]이 된다. 2. 모음의 변별적 자질 모음의 변별적 자질에는 후설성, 원순성, 고설성, 저설성이 있다. 후설성에 따라 전설모음은 [-후설성], 후설모...2025.01.22
-
의사소통장애학생교육-A+수업참여과제32025.01.151. 말 늦은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진단 준거와 차이점 말 늦은 아동은 18~32개월에 단어 조합을 하지 못하거나 표현어휘능력이 또래 학생들에 비해 10%이하인 경우, 2세에 표현어휘의 수가 50개미만 또는 두 단어의 조합을 하지 못하는 경우, 24~34개월에 사용하는 단어의 수가 50개미만 또는 단어조합을 못하는 경우 중 하나에 해당되면 말 늦은 아동으로 분류된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표준화된 언어검사에서 -1.25 SD이하이며, 비언어성 지능검사결과 정상범주인 85이상이고, 청력검사에서 이상이 없으며, 최근 중이염에 걸린 ...2025.01.15
-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특징 및 분류 기준2025.11.181. 한국어 자음의 특징 및 분류 한국어 자음은 입술, 혀, 목과 같은 발음기관을 사용하여 발음되며, 무성음과 유성음, 폐쇄음과 파열음, 청순음과 비음으로 분류된다. 무성음은 목소리가 나지 않는 소리이고 유성음은 목소리가 나는 소리이다. 자음은 발음 방법과 소리 특징에 따라 비음, 파열음, 쌍자음 등으로 나뉘며, 받침 자음, 초성 자음, 중성 자음으로도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는 한국어의 음운 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한국어 모음의 특징 및 분류 한국어 모음은 발음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중설 모음...2025.11.18
-
한국어 자음체계와 외국어 자음체계의 특징 비교2025.05.011. 한국어 자음체계 한국어 자음체계는 조음위치와 조음방식에 따라 다양한 자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음은 장애음과 공명음으로 나뉘며, 장애음은 폐쇄음, 파찰음, 마찰음으로 구분됩니다. 한국어 자음체계의 특징으로는 마찰음 계열이 적고, 폐쇄음에서 평음, 격음, 경음의 삼지적 대립이 있다는 점 등이 있습니다. 2. 프랑스어 자음체계 프랑스어 자음체계는 폐쇄음과 협착음으로 크게 나뉩니다. 폐쇄음은 구강폐쇄음과 비강폐쇄음(비음)으로, 협착음은 마찰음, 유음, 전동음으로 세분화됩니다. 프랑스어의 특징은 폐쇄음 발음 시 기식음이 거의 섞이...2025.05.01
-
음운론 서술형 문제2025.01.191. 한국어 음소 체계 한국어의 음소는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음은 폐에서부터 올라온 공기가 구강 내의 어떠한 부분이나 성문을 마찰하는 경우, 또는 폐쇄하면서 나는 음을 의미합니다. 자음은 조음하는 위치에 따라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음 방법에 따라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 한국어 자음 분류 한국어 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양순음: ㅂ, ㅃ, ㅍ, ㅁ - 치조음: ㄴ, ㄷ, ㄸ, ㅌ, ㄹ, ㅅ,...2025.01.19
-
한국어 자음 분류와 다른 언어와의 비교2025.01.141. 일본어의 자음 분류 일본어는 총 14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됩니다. 양순음, 치음음, 치경음, 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조음 위치가 구분되며, 파열음, 마찰음, 접근음, 유음으로 조음 방법이 구분됩니다. 일본어는 자음 결합이 제한적이며, 일반적으로 두 개의 자음만 결합할 수 있습니다. 2. 한국어의 자음 분류 한국어는 총 19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조음 위치, 조음 방법, 기류에 따라 분류됩니다. 조음 위치는 양순음, 치음음, 치경음, 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구분되며, ...2025.01.14
-
한국어 자음체계와 외국어(태국어) 자음체계의 특징 및 대조2025.01.181. 한국어 자음체계의 특징 한국어의 자음은 21개로,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등 다섯 가지로 나뉘고, 조음 방법에 따라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활음으로 나뉜다. 또한 기(aspiration)의 세기에 따라 평음, 경음, 격음으로 분류된다. 2. 태국어 자음체계의 특징 태국어에도 21개의 자음이 존재하며,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성대진동의 유무에 따라 나뉜다. 무성음의 경우 기의 유무에 따라 무기음(평음)과 유기음(격음)으로 나뉜다. 한국어와 다르게 순치음이 있으며, 파찰음...2025.01.18
-
외국인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한국어의 어떤 발음이 어려운지 사례별로 제시해 봅시다.2025.05.081.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자음 파열음, 유음, 중모음, w-계 이중모음, 초분절음 발음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한국어의 파열음 삼중대립, 탄설음 발음, 중모음 'ㅔ, ㅚ'와 'ㅓ'의 발음, 'ㅙ' 이중모음 발음, 강세구 억양 실현 규칙 등이 중국어와 차이가 있어 어려움을 느낀다. 2.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어려움 영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자음 삼중대립, 모음 긴장-이완 대립, 강세, 리듬, 억양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영어의 자음 이중대립과 한국어의 삼중대립의 차이, 영어 모음...2025.05.08
-
중국어권 초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자음 교육을 위한 학습 지도안2025.05.091. 한국어 자음 교육 외국어 교육의 최종 목표는 목표어로써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데 있다. 아무리 어휘와 문법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더라도 발음을 못하면 의사소통에 많은 장애를 겪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어색한 발음이 고착화되면 고급과정으로 올라갈수록 교정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그렇기 때문에 발음 교육의 중요성은 초기 단계에서 강조되어야 한다. 교수자는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의 한국어의 효과적인 발음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발음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을 대조함으로써 두 언어의 음운체계의 유사...2025.05.09
-
모음, 자음, 반모음의 음성학적 특징과 분류2025.11.171. 모음의 특징과 분류 모음은 성대를 진동시킨 호기가 조음기관에 의해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음으로, 구강의 모양에 따라 음색이 결정된다. 조음위치(전설, 후설, 중설), 개구도(개모음, 폐모음, 반개모음, 반폐모음), 입술 모양(원순, 평순)에 따라 분류되며, 비강 공명 여부에 따라 비모음과 구강모음으로도 구분된다. 모음은 유성음이며 자음과 대립된다. 2. 자음의 특징과 분류 자음은 날숨이 목이나 입에서 완전 또는 불완전한 장애를 받고 나는 음으로, 닿소리라고도 한다. 조음위치(양순음, 순치음, 치간음, 치경음 등 10가지)와 ...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