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1개
-
콘크리트2025.05.051. 콘크리트 역사 콘크리트는 무기질(시멘트류, 석회, 석고 등) 또는 유기질(아스팔트, 폴리머, 레진, 플라스틱 등)의 결합재인 페이스트에 의하여 골재를 결합하고 성형하는 혼합물 및 그 경화체이다. 콘크리트의 시작은 1820년경 영국에서 발명된 포틀랜드 시멘트와 이후 철망에 보강된 콘크리트의 사용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로마시대 화산회와 석회석으로 만들어진 수경성 시멘트도 콘크리트의 시초로 볼 수 있다. 고대에는 석회와 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가 사용되었고, 로마시대에는 포졸란이라는 화산재를 첨가한 모르타르가 사용되었다. 중세에는 ...2025.05.05
-
건축재료 분석 _ 나무와 돌2025.05.051. 시멘트 블록과 블록 UV 하우스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 마감재로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였다. 기본 블록은 주로 구조체로 사용되며 방화적이고 공사비가 저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U형 블록은 창문, 문 위에 쌓고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부어 인방으로 사용한다. 콘크리트 블록은 시멘트와 골재를 형틀에 채우고 진동 및 가압하여 성형한 시멘트 제품이다. 구조형식에 따라 조적블록, 장막블록, 거푸집블록, 보강블록 등으로 구분된다. 2. 시멘트 방수 UV 하우스에서는 시멘트 방수제를 사용하였다. 시멘트 방수제는...2025.05.05
-
[건축재료학개론] 시멘트에 관한 고찰2025.01.231. 시멘트의 역사 인류가 석회를 사용하기 시작한 기원은 정확지는 않으나 결합재로서 석회 사용은 신석기 시대 유적지 Jeriko 발굴중 기원전 7000년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석회콘크리트가 발견되고, Yiftahel에서의 석회콘크리트의 발견 등을 고려하면 1000년 이전까지도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18C 과학의 발달과 함께 발전하게 되어 1756년 영국의 에디스톤 등대를 건설하면서 존 스미톤은 점토분을 다소 함유한 석회를 소성하면 수경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수경성석회를 만들게 되었고, 이어 1796년 파커가 같은 방법으로 로...2025.01.23
-
최신 RC 시공기술과 안전2025.05.151. RC 공사방법 현대 건축물의 주재료인 철근콘크리트의 공사방법이 발전해왔다. 아파트 RC 구조 시공방법은 사이트 준비, 기초 시공, 구조 설계 및 분석, 프레임 구성, 거푸집 시공, 철근 배근, 콘크리트 주입, 거푸집 박리, 외부 마감, MEP 설치, 내부 마감 등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2. 최신 RC 시공기술 최신 RC 시공기술로는 리프트빌드(Liftbuild) 공법, SCC(자기치유콘크리트) 공법, 3D 프린팅 기술, 슈퍼플라스틱라이저, 전자 기술을 활용한 철근 감시, 친환경 콘크리트 등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생산성, 정...2025.05.15
-
국토개발기술대전 최우수상작2025.05.101. 3D 프린팅 건축 기술 2 in 1 3D 프린팅 공법은 3D 프린터가 두 종류의 콘크리트를 자동으로 타설하는 기술로, 거푸집 역할을 하는 Printed Concrete(PC)와 구조재 역할을 하는 Reinforced Concrete(RC)로 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기존 3D 프린팅 건축에서 불가능했던 철근 시공이 가능해져 벽체의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또한 이중 노즐을 사용해 서로 다른 종류의 콘크리트를 토출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노즐의 스크류 기능으로 높은 점성의 콘크리트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습니다. 이...2025.05.10
-
이중노즐을 적용한 3D 프린팅 주택공사 로보홈2025.01.021. 3D 프린팅 건설기술 3D 프린팅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3D 프린팅 건설 업체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중노즐을 적용한 2 in 1 3D 프린팅 건축 공법이 제안되었습니다. 이 공법은 구조체 역할을 하는 Reinforced Concrete(RC)와 거푸집 역할을 하는 Printed Concrete(PC)를 자동으로 타설할 수 있어 기존 3D 프린팅 건축에서 불가능했던 철근 시공이 가능하여 벽체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2. 2 in 1 3D 프린팅 건축 공법 특징 2 in 1 3D 프린팅 ...2025.01.02
-
재활용 건축자재 (건축폐기물 재활용 및 콘크리트 순환골재) ppt2025.04.251.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 부진 이유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이 부진한 이유는 법적 해석, 건설 폐기물 재활용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문제 등이다. 법적으로 재활용 건축자재를 중간처리 건설폐기물로 해석하여 재활용 건축자재에 대한 불신이 높았으나, 최근 환경부에서 재활용 건축자재를 폐기물이 아닌 제품으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또한 순환골재 사용에 대한 민원 사례와 건설폐기물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인해 재활용 건축자재 사용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건축자재 건설폐기물은 건물 철거 → 중간처리업체(...2025.04.25
-
세라믹 물질 소개글2025.01.111. 에어로젤 에어로젤은 물의 97%가 공기인 유리로, 온도가 1300도인데도 불구하고 수십 억 개의 공기구멍으로 가득한 기포 유리 때문에 단열이 잘되고 충격을 흡수합니다. 미래에는 내폭용 자체나 우주 복 단열재로 쓰일 것입니다. 2. 점토 점토는 29000년 전 인류가 불을 이용하여 단단하고 변하지 않은 세라믹으로 만드는 법을 시작했습니다. 현재로서는 콘크리트를 질이 떨어지지만 놀라운 인공재료라고 생각합니다. 3. 콘크리트 콘크리트가 물에 녹아서 진흙처럼 되지 않고 내일이면 단단해지고 로마인들이 이것으로 항구를 건설하여 지중해를 ...2025.01.11
-
3D 프린팅을 활용한 거푸집 실현방안 및 시각적 모델링2025.01.131. 3D 프린팅 거푸집 기존 거푸집의 설치비용, 시간, 안전사고를 줄이며 비정형 건물 표현의 제약이 없는 3D 프린팅 거푸집에 대해 생각해봤다. 우리의 거푸집은 일체형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에 해체작업이 필요가 없다. 거푸집 설치 전에 미리 철근 배근이 모두 완료된 상태라 가정 후, 거푸집이 3D 프린팅으로 출력되면 정해진 위치에 맞춰 거푸집을 끼워 넣는 단순한 방법으로 철근 배근 문제를 해결했다. 2. 슬래브 거푸집 출력 벽체 거푸집뿐만 아니라 슬래브 거푸집까지 한 번에 출력하길 원했기 때문에 슬래브 거푸집이 바닥면이 되는 거꾸로...2025.01.13
-
건축재료가 건축환경에 미치는 영향성2025.01.061. 건축재료의 특성과 건축환경 영향 건축 재료는 건축물의 시공에 필수적인 구성재이며,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특성이 건축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우수한 특징을 지닌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재료 선택이 중요하다. 건축 재료 선택 시 기술적, 기능적, 재정적 요건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2. 건축 재료의 환경 영향 건축 과정에서 많은 천연자원이 사용되고 폐기물이 발생하며, 건축물 운영 시 온실가스와 유해 배출물이 생성되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환경 친화적인 재료 사용이 필요하...202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