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5개
-
문형 ∼といったら와 ∼としたら의 의미와 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두 문형 간의 차이점에 대해 서술하시오2025.01.251. 「∼といったら」의 의미와 용법 「∼와」는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의 특징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의 미모를 보면서 놀랄 수밖에 없었다. 그가 왕자님 다운 외모를 가졌기 때문이다.'와 같이 사용된다. 이 문형은 주로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강조하거나 감탄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이를 평서체로 바꾸면, '그가 왕자님 다운 외모를 가졌다'로 표현할 수 있다. 이 문장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단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2. 「∼としたら」의 의미와 용법 「∼와」는 가정이나 추정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내일 ...2025.01.25
-
한국어 문법 표현 교육론: 의미·형태통사·화용 분석2025.11.151. -을 것 같다 문법 표현 추측을 나타내는 문법 표현으로, 동사나 형용사에 붙어 말하는 사람이 어떤 일에 대해 추측함을 나타낸다. 형태통사적으로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따라 '-을 것 같다', '-ㄹ 것 같다'로 구분되며, 미래·현재·과거 추측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 화용적으로는 추측의 의미뿐만 아니라 공손성과 예의를 나타내는 표현으로도 사용되며, '-을걸'과 달리 격식적 상황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2. -읍시다 문법 표현 어떤 행동을 함께 하자고 제안하거나 요청함을 나타내는 종결어미이다. 동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에 ...2025.11.15
-
한국어 문법 '-같다'의 의미, 형태, 담화 관련 표현2025.11.161. -같다의 의미와 기능 한국어 문법에서 '-같다'는 뒤에 오는 대상과 비교하여 그 대상과 유사한 성질, 특징, 모습 등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예를 들어 '이 사과는 사과 같다'에서 '사과 같다'는 '이 사과'와 '사과'를 비교하여 '이 사과가 사과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이는 영어의 'like'나 'similar to'와 같은 의미를 지니며, 비교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2. -같다의 형태적 특징 형태적으로 '-같다'는 용언어미로 쓰여 직설법 현재형, 높임법 현재형, 능동형, 수동형 ...2025.11.16
-
읽기 교육에서 어휘교육 실시 방안2025.01.191. 의미결정 전략 읽기 전·후 내용을 추측하고 적절한 어휘를 찾아 문장을 완성하는 것을 배워 의미발견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고급 수준에서는 한자 어휘의 공통적인 의미를 추측하는 전략이 활용된다. 또한 사전에서 어휘의 의미를 찾는 전략이 중급 이상 단계에서 사용된다. 2. 기억 전략 동의어, 반의어, 상·하위 언어를 함께 학습하고 단어로 문장을 만드는 전략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중급 수준에서는 본문에서 배운 어휘를 활용해 요약하는 전략이 제시되고, 고급 수준에서는 연어 표현을 함께 제시하는 전략이 활용된다. 또한 단어 분류표를...2025.01.19
-
글쓰기 )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2025.01.251. 좋은 글의 요건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글의 목적과 독자의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내용의 충실함과 정확성, 적절한 표현, 그리고 글의 짜임새가 중요하다. 특히 표현력이 가장 중요한데, 문장을 간결하게 작성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2. 느라고와 노라고 '느라고'는 앞 절의 사태가 뒤 절의 사태에 목적이나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이고, '노라고'는 나름대로 꽤 열심히 했음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이다. 예를 들어 '내가 공부를 하노라고 했는데, 점수가 잘 나올지 모르겠어요'와 '내가 늦잠을 자느라고 지각을 했습니...2025.01.25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파생어 어휘교육론2025.11.171. 파생어의 개념 파생어는 파생접사가 어근에 붙어서 새로운 단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어근은 굴절 어미가 합쳐질 수 없는 단일한 형태의 의존형식이며, 어간은 굴절 어미가 합쳐질 수 있거나 단독으로 단어가 될 수 있는 단어의 핵심부입니다. 파생법은 한국어의 조어법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단어 형성원리를 인지시키고 효과적인 어휘 습득을 도모할 수 있는 수단이 됩니다. 2. 파생어의 유형 파생어는 접두파생어와 접미파생어로 크게 분류됩니다. 접두사는 특정한 뜻을 추가하거나 강조하면서 ...2025.11.17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와 교수 방법2025.01.231. -(으)ㄹ 수밖에 없다 -(으)ㄹ 수밖에 없다는 특정 상황에서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음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불가피한 상황에서 특정 행동이나 상태가 필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학습자들은 이 표현을 활용하여 자신의 상황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문장 작성, 역할극, 듣기, 쓰기 등의 활동을 통해 이 표현을 효과적으로 연습할 수 있습니다. 2. -(으)ㄹ 테니까 -(으)ㄹ 테니까는 말하는 사람의 추측이나 계획을 바탕으로 상대방에게 특정 행동을 권유하거나 조언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2025.01.23
-
말하기 과제의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초·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를 각 하나씩 제시하되2025.05.151. 초급 학습자를 위한 '그림 설명하기' 말하기 과제 목표: 사람의 외모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입력: 가족 그림, 선생님 그림을 제시한다. 활동: 말하기 전 단계에서 가족 그림을 통해 외모 표현 어휘를 익히고, 말하기 단계에서 선생님 그림으로 외모와 복장을 설명하는 연습을 한다. 말하기 후 단계에서는 짝 활동으로 서로의 외모와 복장을 설명한다. 교사의 역할은 인물 외모와 복장 표현 교수, 활동 안내 및 피드백 제공이며, 학습자는 표현 학습과 활동 참여를 한다. 2. 중급 학습자를 위한 '그림 설명하기' 말하기 과제 목표: 인...2025.05.15
-
한국어 중급 문법 A/V-(으)ㄹ 텐데 교수 자료2025.11.171. A/V-(으)ㄹ 텐데 문법 구조 A/V-(으)ㄹ 텐데는 현재와 미래에 대한 추측과 걱정을 나타내는 한국어 중급 문법이다. 받침이 있는 동사나 형용사는 '-(으)ㄹ 텐데' 형태로, 받침이 없으면 '-ㄹ 텐데' 형태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높다'는 '높을 텐데', '오다'는 '올 텐데'로 표현된다. 이 문법은 화자가 어떤 상황에 대해 확실하지 않지만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할 때 사용되며, 동시에 그 상황에 대한 걱정이나 배려의 마음을 담아낸다. 2. 문법 교수 방법론 이 교안은 PPT를 활용한 시각적 문법 노출과 실제 상황 ...2025.11.17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2025.01.061. -고 싶다 -고 싶다는 동사에 붙어 말하는 사람의 희망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계획이나 취향 등 원하는 것을 말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받침의 유무와 상관없이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부정문은 '안-고 싶다', '-지 않고 싶다', '-고 싶지 않다'로 쓸 수 있습니다. 과거 시제는 '싶다'에 '-었-'을 붙여 표현하고, 미래나 추측은 '-겠-'과 결합하여 다른 사람의 바람을 나타냅니다. 형용사와는 결합하지 않지만 '-어지다'가 붙으면 가능합니다. 또한 청자가 아닌 화자의 바람을 나타냅니다. 2. -기 위해 -기 위해는...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