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8개
-
한국어 연결어미 '-아서/-어서/-여서'의 의미와 용법2025.01.051. 한국어 연결어미 '-아서/-어서/-여서' '-아서/-어서/-여서'는 한국어 연결어미로, 두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연결어미는 앞의 말과 뒤의 말이 시간적으로 순차적으로 일어남을 나타내거나, 이유와 근거 또는 수단과 방법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 세 가지 연결어미는 앞에 오는 동사나 형용사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하다'를 제외하고 모음 끝이 'ㅏ,ㅗ'인 경우는 '-아서', 모음 끝이 'ㅏ,ㅗ'가 아니거나 '이다/아니다'에 경우는 '-어서', '-하다'에 경우 '-여서'를 사용합니다. 초급 학습자들에...2025.01.05
-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니까'의 단계적 교육2025.05.10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와 교육 순서 한국어 교육에서는 선정된 문법항목에 대해 등급을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교육에 적용합니다.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의미입니다. 둘째,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에 사실이 그러함을 나타내는 의미입니다. 셋째,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곧 뒤의 행동이 일어나거나 어떠한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의미입니다. 넷째,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를 나타내는 관용적 표현의 의미입니다. 이러한 '-니까'의 의미를 고려하여 초급에서는 이유나 ...2025.05.10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론 - 문법 항목 가운데 한 가지를 골라 교안 작성2025.05.011. 문법 연결어미 -(아/어)서 교육 이 교안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문법 연결어미 -(아/어)서의 교육 방안을 다루고 있습니다. 학습 목표는 어떤 일 또는 상황이 발생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것입니다. 교수-학습 활동으로는 동기 유발, 학습 목표 제시, 문법 항목 설명, 연습 활동, 실제 상황 적용 연습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학습자들이 -(아/어)서 문법을 이해하고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예시와 연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문법 연결어미 -(아/어)서 교육 문법 연결어미 -(아/어)서는 한국어...2025.05.01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와 의미·형태통사·화용 정보2025.05.031. A/V-아서/어서 A/V-아서/어서는 선행절이 후행절의 이유 또는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입니다. 형태적으로는 동사, 형용사와 결합하며, 주어 제약이 없고 선어말어미 '-었-', '-겠-'과는 결합하지 않습니다. 청유문과 명령문으로는 쓸 수 없으며, 감정 표현에 주로 사용됩니다. 교수 방법으로는 접속부사 '그래서'를 활용한 문장 연결, '왜'에 대한 대답하기, 자유 활용 연습 등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2. -기 때문에 -기 때문에는 선행절이 후행절의 원인이나 이유임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입니다. 동사, 형용사와 결합하며 주...2025.05.03
-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 '-니까'의 단계적 교육2025.01.18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연결어미 '-니까'는 크게 네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용법, 2)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이 그러함을 나타내는 용법, 3)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곧 뒤의 행동이 일어나거나 어떠한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용법, 4)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를 나타내는 용법입니다. 2. 한국어교육에서 연결어미 '-니까'의 배열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법 항목을 단계적으로 교육하는데, 연결어미 '-니까'의 경우 이유/근거의 의미와 발견(상황설명)의 의미로 나누어 교육하는 것이 ...2025.01.18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네 가지 정리, 배열 순서 결정,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와 해당 예문 5가지 제시하기2025.01.201.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와 용법 연결어미 '-니까'는 크게 네 가지 의미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이유와 근거를 나타내는 용법으로 [동사/형용사 + '-니까'] 형태와 [명사 + 이다 '-니까'] 형태가 있습니다. 둘째, 발견의 의미로서의 용법으로 동사와만 결합하는 제약이 있습니다. 셋째, 경험을 통해 발견을 나타내는 의미의 용법으로 '-아/어 보다'와 같이 결합하여 경험, 시도를 나타냅니다. 넷째, 이유의 용법과 발견의 용법을 결합한 형태로 '-아/어 보다', '-고 보다', '-다가 보다'와 결합하여 사용됩니다. 이러...2025.01.20
-
다음 문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강의 교안(초급)을 작성(최종지도안)2025.01.222025.01.22
-
중급 문법 V-느라고 최종지도안 만들기2025.01.212025.01.21
-
한국어 중급 연결어미 '는데' 문법수업 지도안2025.11.131. 연결어미 '는데'의 의미론적 분석 연결어미 '는데'는 뒤 절의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문법형식입니다. 사전적 의미에서 '는데'는 원인을 나타내고 '-(았)는데'는 이유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이유를 말할 때와 부드럽게 표현할 때 '는데'를 많이 사용하며, 질문에 대한 대답이나 이유를 강조할 때는 '-(았)는데'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이 좋아서 한국에 왔어요'는 일반적 이유 표현이고, '한국이 좋으니까 한국에 왔어요'는 질문에 대한 대답 형태입니다. 2. 연결어미 '는데'와 '-(았)는데'의 통사적 특징...2025.11.13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 연결어미 '~는데' 수업지도안2025.04.251. 연결어미 '~는데' 연결어미 '~는데'는 배경상황이 되는 문장과 현재 말하는 사람의 상황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어입니다. 이 연결어미를 사용하여 두 문장을 연결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는데'를 활용하는 연습을 합니다. 학습자들은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사건이나 행동을 연결하여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1. 연결어미 '~는데' 연결어미 '~는데'는 한국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어미는 두 개의 절을 연결하여 앞의 절이 뒤의 절에 대한 배경이나 이유, 조건 등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날씨가...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