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9개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예비 보고서 (실험 15 다단 증폭기)2025.01.291. 다단 증폭기 다단 증폭기는 여러 증폭 단을 직렬로 연결하여 신호를 순차적으로 증폭하는 방식으로, 각 증폭 단이 가진 장점을 결합해 더 높은 전압 이득과 신호 증폭을 달성할 수 있다. 다단 증폭기의 주요 이론적 해석에는 전압 이득, 입출력 임피던스, 주파수 응답, 바이어스 설정, 잡음 및 왜곡 등이 포함된다. 다단 증폭기는 높은 전압 이득을 얻을 수 있지만, 주파수 응답 저하, 잡음 증폭, 왜곡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2. 공통 소스 증폭기 실험에서는 MOSFET을 이용한 공통 ...2025.01.29
-
OP Amp의 기초 회로 실험2025.11.141. 반전 증폭기(Inverting Amplifier) 반전 증폭기는 OP Amp의 기본 회로로, 피드백 저항 Rf와 입력 저항 Rs로 구성된다. 이상적인 OP Amp에서 출력 전압은 vo = -(Rf/Rs)vs로 표현되며, 출력 전압이 반전되고 입력에 비례한 복제라는 특징이 있다. 비례 인수인 이득은 Rf/Rs의 비율로 결정된다. 2. 비반전 증폭기(Non-inverting Amplifier) 비반전 증폭기는 신호가 비반전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회로로, 출력 전압은 vo = (1 + Rf/Rs)vg로 표현된다. 실험 결과 계산값과...2025.11.14
-
A급 및 B급 전력 증폭기 실험2025.11.171. A급 전력 증폭기 A급 바이어스 증폭기는 컬렉터 전류의 선형영역 중앙 근처에 동작점이 설정되어 입력전류의 전체 주기가 왜곡 없이 증폭된다. 선형성이 잘 유지되지만 입력전류에 무관하게 바이어스 전류가 항상 흐르므로 DC전력소비가 커서 전력 효율이 낮다. 최대 효율이 25%를 넘지 못하며 주로 아주 작은 부하 전력이 요구되는 응용 분야에만 사용된다. 2. B급 전력 증폭기 B급 바이어스 증폭기는 트랜지스터의 차단점에 동작점이 설정되어 입력전류의 양의 반 주기만 증폭된다. 상보형 푸시풀 구조를 이용하여 전체 주기의 신호를 얻을 수 ...2025.11.17
-
Push-Pull Amplifier 설계 예비보고서2025.04.271. Push-Pull 증폭기 동작 이해 이 실험의 목적은 Ω Ω인 경우, Push-pull 증폭기의 동작을 이해하고 Deadzone과 Crossover distortion 현상을 파악하며 이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실험하는 것입니다. 실험에 사용되는 장비와 부품은 Function Generator, Oscilloscope, DC Power Supply, DMM, NPN Transistor 2N3904, PNP Transistor 2N3906, 1kΩ 저항, 100Ω 저항, UA741cp op-amp 등입니다. 2. Classic...2025.04.27
-
전자회로(개정4판) - 생능출판, 김동식 지음 / 12장 연습문제 풀이2025.01.021. 능동 고역통과 필터 주어진 필터 회로는 2차 필터와 1차 필터를 직렬로 연결한 3차 Butterworth 저역통과 필터입니다. 필터 차수 당 -20dB/decade의 감쇠 특성을 가지므로 전체적으로 -60dB/decade의 기울기를 가집니다. 차단 주파수는 약 1.57kHz입니다. 2. 능동 저역통과 필터 주어진 저역통과 필터의 차단 주파수는 약 1.57kHz입니다.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관계는 식(12.5)를 통해 구할 수 있으며, 출력 전압은 약 0.707배가 됩니다. 3. 능동 고역통과 필터 주어진 고역통과 필터의 차...2025.01.02
-
다단 증폭기 실험 보고서2025.01.021. 2단 증폭기 실험회로 1에서 R1, R2, R3, R4, R5, R6을 고정하고 회로를 구성한 후, 공통 소스 증폭기 2 출력의 DC 값이 6V가 되도록 하는 값을 결정했습니다. 이 경우 M1의 각 단자들의 전압(VDS, VGS, VBS) 및 전류(ID, IG, IS)를 구하고, MOSFET이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는지 확인했습니다. 포화 영역에서 회로가 동작하는 경우 M1의 트랜스 컨덕턴스 값, 출력 저항 Rout을 구하여 소신호 등가회로를 그리고, 실험회로 1의 이론적인 전압 이득을 계산했습니다. 입력에 10kHz의 0.01...2025.01.02
-
OP-AMP를 이용한 복합 증폭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051. 가산 증폭 회로 가산 증폭 회로는 반전 증폭 회로의 한 종류로, 입력단자를 하나 더 추가한 회로입니다. 이 회로에서 출력전압 Vo는 입력전압 V1, V2, V3의 합에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실험을 통해 가산 증폭 회로의 동작을 확인하고, 이론값과 측정값의 오차율을 계산하였습니다. 2. OP-AMP 특성 및 활용 이번 실험에서는 OP-AMP의 다양한 증폭 기능을 확인하였습니다. 741 모델과 158 모델의 차이점을 비교하였고, 반전 증폭과 비반전 증폭 파형을 측정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OP-AMP의 특성을 잘 이해할 수 있었고,...2025.01.05
-
전기전자공학실험-A급 및 B급 전력 증폭기 (2)2025.04.301. pnp형 트랜지스터 pnp형 트랜지스터는 npn형 트랜지스터와 방향이 반대이므로 회로를 구성할 때 주의해야 한다. 2. B급 증폭기 설계 B급 증폭기를 설계할 때 피크전압이 앞의 것과 똑같이 나타나 회로의 효율이 완벽하게 실험이 가능했다. 3. 출력 전력 계산 책에 나온 출력 전력을 사용할 때는 rms값인지, peak값인지, p-p값인지 주의하여 값을 계산해야 한다. 4. A급 증폭기 효율 A급 증폭기의 최대 효율 25%는 초과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5. B급 증폭기 다이오드 B급 증폭기의 다이오드 2개는 파형이 0.7...2025.04.30
-
전자회로설계 및 실습11_설계 실습11. Puch-Pull Amplifier 설계_예비보고서2025.01.221. Classic Push-Pull Amplifier 특성 Push-Pull 증폭기의 Dead Zone과 Crossover distortion 현상을 파악하고 이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실험한다.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와 입출력 파형을 확인하여 Dead Zone과 Crossover distortion 현상을 이해한다. 2. Feedback loop와 OP-amp를 이용한 Push-Pull Amplifier 특성 Push-Pull 증폭기 출력을 OP Amp의 (-)...2025.01.22
-
(22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Op Amp를 이용한 다양한 Amplifier 설계2025.04.301. Inverting Amplifier 설계 Inverting Amplifier의 설계에서 5의 gain을 얻는 것을 목표로 회로를 설계하였다. Inverting Amplifier의 R2은 경험적 최댓값인 1MΩ으로 설계하였고 R1에 200kΩ을 사용했다. 출력전압은 1Vpp로 gain 5를 만족하였다. Inverting Amplifier의 3dB bandwidth는 149.5kHz, unit gain frequency는 706.83kHz로 측정하였다. 2. Non-Inverting Amplifier 설계 Non-Inverting...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