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6개
-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 병적비만 위소매절제술2025.05.131. 위의 구조와 기능 위는 소화관의 일부분으로 왼쪽 위편의 복강에 위치하며 위쪽 끝은 식도와 연결되고 아래쪽 끝은 소장과 연결된다. 정상적으로 위의 길이는 약 25cm로 용적은 1,500mL이며 약 4L의 음식과 수분을 보유할 수 있을 만큼 확장 가능한 팽창성 기관이다. 위는 해부학적으로 본문부(cardiac region), 위저부(fundus), 몸체(body), 유문부(pylorus)로 나눌 수 있다. 유문괄약근(pyloric sphincter)은 소장의 십이지장으로 위가 비워지는 것을 조절하며 음식물이 위쪽으로 역류하는 것을...2025.05.13
-
성인 A+받은 Appendectomy case study2025.01.151. 충수염(appendicitis) 충수염은 충수의 염증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충수는 소장 말단부에서 대장으로 이어지는 맹장의 한쪽 끝에 달려있는 벌레 모양의 기관이다. 충수염은 진행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된다. 주요 증상으로는 식욕부진, 오심, 구토, 배꼽 주위 통증, 우하복부 통증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병력, 신체검사, 진단영상 검사 등이 활용된다. 충수염 치료는 수술적 절제가 필수적이며, 증상 발현 후 3일 이내에 수술을 받지 않으면 충수가 터져 복막염이 ...2025.01.15
-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급성 담낭염을 동반한 담낭 결석(Calculus of gallbladder with acute cholecystitis, without mention of obstruction)2025.05.021. 담낭(쓸개)의 해부생리 담낭(쓸개)은 길이 약 7~10cm 정도 되는, 간 아래쪽에 붙어 있는 주머니이다. 간에서 분비된 쓸개즙을 농축하고 저장하는 일을 한다. 담낭은 간의 우엽과 좌엽 사이 아랫면 오목 부위에 붙어 있으며, 쓸개즙은 보통 간에서 생성되고 분비되어 쓸개관(담관)을 통해 샘창자(십이지장)로 배출된다. 쓸개즙은 주로 지방의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한다. 2. 담낭 담석(GB stone) & 총담관 담석(CBD stone) 담낭 담석은 담즙에 콜레스테롤이 과다하게 포함되어 점차 결정화되고, 담낭이 잘 수축하지 않게 됨으...2025.05.02
-
A+ 성인간호학 Acute appendicitis(급성 충수염) OR(수술실) CASE STUDY2025.01.211. 위장관 구조와 기능 위장관은 식도, 위, 소장, 대장 등으로 구성되며, 각 부위별로 고유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식도는 음식물을 위로 이동시키는 통로이며, 위는 음식물을 저장하고 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소장에서는 대부분의 영양분 흡수가 이루어지며, 대장에서는 수분 및 전해질 흡수와 배설 기능을 담당한다. 충수는 소장과 대장이 연결되는 부위에 위치한 주머니 모양의 기관으로, 이 부위에 발생하는 염증이 충수염이다. 2. Acute appendicitis(급성 충수염) 정의 Acute appendicitis(급성 충수염)은 ...2025.01.21
-
A+ 결석성 담낭염 케이스2025.01.121. 결석성 담낭염 결석성 담낭염은 대부분 담석에 의해 발생하며, 담낭관이 막히면 담낭벽에 염증이 시작되고 담즙이 정체되어 세균 감염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급성 담낭염의 약 5~10%에서는 담석이 발견되지 않는데, 이들 중 약 50%는 염증의 원인이 분명하지 않습니다. 급성 담낭염의 임상 양상이 나타나지만 담석이 증명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다른 중증 질환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담석증에 비해 진단과 치료가 어렵습니다. 2. 급성 담낭염 급성 담낭염은 대부분 담석에 의한 담관 폐쇄로 인해 발생하...2025.01.12
-
유문 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 케이스 보고서2025.01.061. 췌장암 췌장암은 외분비 췌장의 악성질환이고 90% 이상이 췌관선암종이다. 원인으로 흡연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약 10%의 췌장암이 유전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 췌장염의 과거력, 특히 만성췌장염은 췌장암 발병의 위험성을 높인다. 췌장종양 진단 시 크기가 다양하고 조직의 경계가 대개 명확하지 않으며 췌장은 종양의 확대와 성장을 제한할 수 있는 피막이 없어 진단 전에 대부분 전이가 있다. 통증과 황달은 췌장암의 가장 흔한 증상이며 진단은 환자의 증상과 임상 양상을 기초로 처음에 이루어진 뒤 방사선검사를 통해 확진한다. 외과적 절제는 ...2025.01.06
-
위절제술 후 식이요법과 덤핑증후군2025.01.241. 덤핑증후군 덤핑증후군은 위절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식사 후 20분 내에 나타나는 조기 덤핑증후군과 2-3시간 후에 나타나는 후기 덤핑증후군으로 구분됩니다. 조기 덤핑증후군은 음식물이 빠르게 소장으로 유입되어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고 이에 따른 인슐린 과다분비로 저혈당이 발생하는 것이 원인입니다. 후기 덤핑증후군은 탄수화물 섭취 후 지연된 인슐린 분비로 인한 저혈당이 특징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량 다회 식사, 천천히 섭취, 탄수화물 섭취 제한 등의 식이요법이 중요합니다. 1. 덤핑증후군 덤핑증후군은 위장관...2025.01.24
-
괴사소장대장염(NEC) 정리 및 간호과정2025.05.021. 괴사소장대장염(NEC) 괴사소장대장염은 미숙한 장관에 생긴 혈류장애에 세균 등의 감염병이 추가되어 괴사가 일어나는 질병이다.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감염성 질환으로, 소장과 대장의 점막층 또는 전층의 괴사가 특징이다. 미숙아나 저체중아에게서 빈번하며, 드물지만 위분리 및 출생 시 낮은 산소 수치와 같은 선천적 결함을 가진 만삭아에게서도 나타난다.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장의 허혈, 장관 영양, 장내 세균 증식의 세 가지 요인이 상호작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2. 원인 장의 허혈, 장관 영양, 장내 세...2025.05.02
-
성인간호 외과병동 실습 케이스스터디 위암 Cancer2025.01.181. 위암 위암은 위 점막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암세포가 위벽을 파고 들어 퍼지게 됩니다. 위암의 원인으로는 만성 위축성 위염, 장 이형성, 위소장 문합술, 식이 요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유전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위암의 증상으로는 상복부 불쾌감, 상복부 통증, 소화불량, 팽만감, 구역질, 식욕 부진, 체중 감소 등이 있지만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암은 위내시경검사, 상부위장조영술, 전산화단층촬영 등으로 진단하며, 치료는 주로 수술로 이루어집니다. 조기 ...2025.01.18
-
수술실 대장암 OP case study2025.05.041. 대장암 대장암은 결장에 생기는 암과 직장에 생기는 암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주요 원인 및 위험요인으로는 동물성 지방의 과도한 섭취, 섬유질 섭취 부족, 칼슘 및 비타민 D 부족, 굽거나 튀기는 조리방법, 운동 부족, 염증성 장 질환, 대장용종, 유전적 요인 등이 있다. 임상증상은 비특이적이며 질병이 진행될 때까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요 증상으로는 직장출혈, 배변습관 변화, 장폐색, 복통, 체중감소, 식욕부진, 빈혈 등이 있다. 치료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시행된다. 2. 우측 결장 반절제술 우측 결장...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