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53개
-
Partial Molar Volume_예비보고서2025.05.111. 비중 비중은 어떤 물질의 밀도와 표준 물질의 밀도 사이의 비이다. 기체의 경우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지며, 고체 및 액체의 경우 비중 값이 밀도와 소수점 이하 5자리까지 일치하기 때문에 비중과 밀도가 같다고 볼 수 있다. 2. 비중계 비중계는 주로 액체의 비중을 측정하는 기구로, 아르키메데스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의 질량과 그것이 액체 속에 있을 때 받는 부력으로부터 액체의 비중을 측정한다. 3. 농도 농도에는 몰농도, 몰랄농도, 질량 백분율, 몰분율 등이 있다. 몰농도는 온도에 따라 부피가 변하므로 온도의 영향을 받지만, 몰...2025.05.11
-
화학실험 결과 보고서 - 용액의 밀도와 음료수의 당도2025.01.091. 용액의 밀도 실험을 통해 표준용액의 농도와 밀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곡선을 구했다. 이를 활용하여 음료수의 당도를 결정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콜라, 다이어트 콜라, 환타의 당도가 각각 10.65%, 6.34%, 4.57%로 나타났다. 오차 발생 원인으로는 측정 시 주변 환경 요인의 영향을 생각해 볼 수 있다. 2. 용액의 밀도 측정 용액의 밀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질량과 부피를 알아야 한다. 삼각 플라스크에 들어 있는 용액의 질량을 측정할 때는 증발이나 기화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마개를 한다. 또한 탄산음료의 경...2025.01.09
-
일반화학실험(2) 실험 17 식용색소의 농도 결정 결과2025.05.091. 식용색소의 흡수 스펙트럼 실험을 통해 식용색소들의 흡수 스펙트럼을 확인하였다. 각 색소 용액의 λmax와 λmax에서의 흡광도(A)를 측정하였다. 청색 1호는 λmax=629nm, A=0.510, 황색 4호는 λmax=426nm, A=0.396, 적색 2호는 λmax=522nm, A=0.448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색소 용액의 색과 흡수 스펙트럼 사이의 보색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표준곡선 작성 청색 1호 용액의 저장용액 농도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계열희석을 통해 다양한 농도의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 용액들의 ...2025.05.09
-
일반화학실험(2) 실험 22 화학평형 예비2025.05.091. 화학평형 이번 실험에서는 평형상수가 반응물의 초기 농도와 무관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서로 다른 농도의 Fe3+와 SCN 용액을 혼합하여 반응을 진행하고, 이때의 평형상수를 비교할 것이다. 화학반응이 진행되면 반응물의 농도는 감소하고 생성물의 농도는 증가하는데, 어느 순간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평형 상태가 된다. 평형 상태라면 반응물의 속도와 생성물의 속도는 같다. 따라서 평형상수는 화학반응식의 계수와 연관되고, 반응물의 초기 농도와는 무관하다. 2. 몰흡광계수 몰흡광계수란 액체를 통과하는 빛의 세기를...2025.05.09
-
[A+ 만점 레포트] 산-염기 적정 (일반화학실험)2025.01.171. 산-염기 적정 산과 염기가 만나면 산-염기 반응을 일으키며, 수용액에서 이온화한 산과 염기가 만나 물(H2O)을 생성하는 반응을 중화 반응이라고 한다. 중화 반응은 빠르게 일어나고 정량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면 수용액 속 산과 염기의 농도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실험을 산-염기 적정이라고 한다. 적정은 농도를 알고 있는 용액(적정 용액 또는 표준 용액)을 이용하여 농도를 모르는 용액(분석 용액)의 농도를 결정하는 실험이다. 강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면 당량점에서의 pH는 7이 되고,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면 당량점에서의...2025.01.17
-
[화학공학실험(2)] 화공열역학 부분몰부피 (Partical Molar Volume) A+2025.04.251. 몰부피(Molar Volume) 몰부피(Molar Volume)는 1몰의 분자가 차지하는 부피로서, 물질의 몰 질량을 밀도로 나눈 것과 같다. SI 단위는 m^{3}mol^{-1}이다. 0℃, 1기압에서 이상기체의 몰부피는 22.4L/mol이다. 2. 부분몰부피(Partical Molar Volume) 부분몰부피(Partical Molar Volume)는 혼합용액에서 특정 용액이 차지하는 몰부피를 말한다. 부분몰부피란 용액의 부피를 그 물질의 부분몰부피로 일정 온도, 일정 압력과 다른 물질의 몰 수를 고정시킨 가운데 편미분한 ...2025.04.25
-
분석화학실험 5. Determination of sodium carbonate and sodium hydrogen carbonate in a sample (Determination of alkalinity)2025.01.181. NaHCO3와 Na2CO3의 반응 메커니즘 NaHCO3와 Na2CO3의 해리, 가수분해, 이온화 반응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총 알칼리도(TA)의 예상 당량점 계산 과정도 제시하였다. 2. HCl 표준용액과 NaOH 표준용액의 실제 몰농도 계산 Na2CO3와 NaHCO3를 이용하여 HCl 표준용액의 실제 몰농도를 계산하였고, phenolphthalein 적정을 통해 NaOH 표준용액의 실제 몰농도를 구하였다. 3. 총 알칼리도(TA) 측정 bromocresol green 지시약을 사용하여 HCl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총 알칼리...2025.01.18
-
일반화학실험(2) 실험 16 어는점 내림에 의한 분자량 결정 예비2025.05.091. 몰농도와 몰랄농도 몰농도(molarity)는 용질의 몰수(mol)/용액의 부피(1L)이며, 단위는 mol/L 또는 M를 사용한다. 온도와 압력 변화에 의해 용액의 부피가 변화하기 때문에 몰농도는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몰랄농도(molality)는 용질의 몰수(mol)/용매의 질량(1kg)이며, 단위는 mol/kg 또는 m을 사용한다. 몰수와 질량은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아 몰농도와는 달리 온도가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2. 분자량 결정 분자량, 몰수, 질량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몰수=분자량/...2025.05.09
-
산 염기의 적정 예비레포트2025.05.161. 산, 염기의 적정 이 실험의 목적은 농도를 정확히 아는 염기 또는 산의 표준용액을 만들어 산 또는 염기의 시료용액과 반응시킬 때 사용된 표준용액의 부피를 측정하여 시료용액의 농도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적정은 화학 시료 용액에 농도를 아는 표준 용액을 떨어뜨리고, 당량점에서 그 소비량을 확인하여 시료의 농도를 정하는 방법입니다. 중화 적정, 산화 환원 적정, 침전 적정 등이 있으며, 이 실험에서는 중화 적정을 사용합니다. 실험에 사용된 기구와 시약, 실험 방법 및 주의사항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2. 산과 염기의 정의 ...2025.05.16
-
용량기 검정과 정해진 농도의 용액 만들기2025.01.211. 밀도 밀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하는 값이며, 아주 높은 압력이 아니면 압력의 영향은 별로 받지 않지만 온도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부피 측정 시 온도에 따른 부피 팽창률 차이로 인해 보정이 필요하며, 정확한 질량을 알면 부피를 알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부피를 보정할 수 있다. 2. 농도 단위 농도의 여러 단위인 몰농도, 질량백분율, 몰분율, 몰랄농도, 노르말농도 등을 익히고, 이를 활용하여 묽은 염산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3. 용량기 검정 눈금실린더를 사용하여 보정인자를 구하고, 이를 활용하여 에탄올의 밀도를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