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4개
-
감염관리 (감염관리활동,손위생,무균술)2025.01.181. 감염관리 활동 감염관리 활동에는 감염감시, 보고, 모니터링, 실적 분석 및 보고, 질관리 자문, 감염관리위원회 활동, 정책과 규정 마련, 정부 등 외부기관의 규제 순응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의료기관 내 감염의 발생과 분포, 발생 위험이 증감 요인이 되는 조건이나 상황을 체계적으로 관찰하고 이를 보고하여 조정하는 전 과정이 감염관리 활동입니다. 2. 손위생 손위생은 감염 예방에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손씻기, 손소독제 사용, 손위생 시간 등 손위생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1846년 비엔나 종합병원에서 의사...2025.01.18
-
[A+ 레포트] 미생물학 관련 단어 정리 레포2025.05.021. aseptic technique 무균술은 잠재적인 병원균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의 다양한 수술이나 시술 등에 적용되는 개념이다. 무균술은 흔히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로 분류된다. 내과적 무균술은 미생물의 전파예방과 오염 최소화라는 개념이 적용되는 방법이므로 격리의 표준주의의 개념을 상당부분 포함한다. 외과적 무균술은 병원균 및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멸균술(sterile technique)이라고도 하며, 수술이나 수술 시에 적용한다. 2. disin...2025.05.02
-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 감염관리 보고서2025.05.14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 과정에서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은 수술 전, 중, 후 다양한 활동을 포함합니다. 수술 전에는 수술실 준비, 환자 확인 및 처치, 수술 중에는 낙상 예방, 화상 예방, 멸균 영역 유지 등의 역할을 합니다. 수술 후에는 환자 이동, 기구 관리, 오염물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2. 수술실 감염관리 수술실 감염관리를 위해 인적, 환경적 감염관리 지침을 준수해야 합니다. 인적 감염관리로는 외과적 손씻기, 멸균 가운 및 장갑 착용, 마스크 착용 등이 있습니다. 환경적 감염관리로는 수술실 청소, 멸균/소독 ...2025.05.14
-
간헐적 위관영양 성찰일지2025.05.061. 간헐적 위관영양 실습을 통해 간헐적 위관영양의 중요한 술기 내용을 학습하였습니다. 위관영양 액 온도 조절, 대상자 자세 유지, 위관 연결 및 공기 주입 방지, 소화액 확인, 영양액 주입 속도 조절 등의 핵심 절차를 익혔습니다. 또한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멸균술 준수, 상식적인 원리 이해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앞으로 자율실습을 통해 술기 숙련도를 높이고 실수를 방지하는 연습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1. 간헐적 위관영양 간헐적 위관영양은 환자의 영양 상태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기적으로 위관을 통해 영양...2025.05.06
-
임상OR2025.05.091. 외과적 무균술 방법, 멸균과 소독의 차이 외과적 무균술은 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이 전혀 없는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멸균물품이 다른 멸균 물품과 접촉했을 때만 멸균적이며 멸균물품은 멸균영역에만 두어야 합니다. 멸균과 소독의 차이는 멸균이 모든 미생물을 파괴하는 반면, 소독은 표면 증식성 병원균을 제거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생활력을 파괴하는 것입니다. 2. 관찰한 수술실 기구, 물품 및 소독 방법 관찰한 수술은 Thyroidectomy(TT) 갑상선 절제술이었습니다. 사용된 주요 기구로는 Mosquito cur,...2025.05.09
-
[특성보고서,약어,멸균법] 수술실 실습 부서 특징2025.01.231. 수술실(OR) 부서 특성 수술실(OR) 부서는 다양한 진료과(정형외과, 일반외과, 이비인후과, 산부인과, 신경외과 등)의 수술을 담당하며, 각 진료과별로 주요 질환과 치료, 검사, 간호 등의 특징이 있다. 수술실에서는 고압증기 멸균법,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 멸균법, 건열 멸균법, 플라즈마 소독기 등 다양한 멸균 방법이 사용되며, 수술 전후 타임아웃 절차를 통해 환자 안전을 확보한다. 수술실 간호사는 마취, 소독, 순환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수술 전후 환자 관리와 수술 지원을 담당한다. 2. 수술실 주요 약어 수술실에서 사용되는...2025.01.23
-
수술실 간호사(소독, 순환간호사)2025.01.03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는 다른 팀원들과 협력하면서 수술실을 준비하고 전 수술과정 동안 환자를 옹호한다. 환자의 안전, 사생활, 존엄, 비밀 등을 지켜주고, 환자와 대화하며 신체적 간호를 제공한다. 수술실 간호사는 소독간호사나 순환간호사의 역할을 한다. 소독간호사는 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물품과 수술기구를 준비하고, 수술과정 동안 무균술을 지킨다. 순환간호사는 수술실과 수술장비를 준비하고, 수술과정 동안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하며, 수술팀과 연락을 취한다. 2. 수술실 무균술 수술 중 감염 예방을 위해 수술절개부위를 중...2025.01.03
-
수술실 감염관리2025.05.151. 수술실 감염관리 오염원 수술환자에서 나타나는 감염의 빈도와 형태는 이미 진행 중인 감염과정, 전신적 전염성 질환 또는 수술에 의해 획득한 합병증의 결과일 수 있다. 이에는 지역사회에서 획득된 감염, 전염성 감염, 자연발생적 감염, 병원감염 등이 포함된다. 2. 수술실 환경 수술실 디자인, 환기 시스템, 온도와 습도, 섬유의 보풀, 미생물 검사, 수술실 환경 관리 등 수술실 환경에 대한 다양한 요소들이 소개되었다. 이를 통해 수술실 내 감염 관리를 위한 최적의 환경 조성 방안을 확인할 수 있다. 3. 수술팀의 준수사항 수술팀의 ...2025.05.15
-
수술실 사전학습 24년도 작성2025.01.22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수술실 간호사는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과정에 대해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물품과 수술기구를 준비하고, 무균적으로 가운을 입고 장갑을 착용하며, 수술과정에 외과의에게 필요한 기구를 제공하고, 수술 중 무균술이 잘 지켜지는지 감독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2. 외과적 무균술 수술실에서는 멸균 물품을 사용하고, 멸균 영역 내에서만 무균적으로 행동해야 하며, 멸균 물품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멸균 방법에는 고온 멸균과 저온 멸균이 있으며, 멸균 확인을 위해 화학적 지표를 ...2025.01.22
-
간호학과 근육주사 선행지식 기본간호학2025.04.261. 근육주사 부위 근육주사 부위로는 둔부의 배면부위(dorsogluteal site)와 둔부의 복면부위(ventrogluteal)가 있다. 둔부의 배면부위는 중둔근과 일부 대둔근을 포함하며, 후상장골극과 대전자를 연결한 선의 상외측 부위가 주사부위이다. 둔부의 복면부위는 중둔근과 소둔근을 포함하며, 손바닥을 대전자 위에 놓고 둘째 손가락을 전상장골극에 놓고 셋째 손가락을 장골능을 따라 벌려 놓은 삼각부위가 주사부위이다. 2. 내과적 무균술 내과적 무균술은 감염회로를 차단하여 병원체의 수와 전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주요 내용...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