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6개
-
세포의 구성분자: 생물 고분자의 검정2025.05.031. 단백질 단백질은 C, H, O, N, S를 주로 구성된 화합물이며 20여 종의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으로 연결된 고분자 화합물이다. 뷰렛반응을 통해 두 개 이상의 펩티드 결합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들을 검출할 수 있다. 2. 탄수화물 탄수화물은 C, H, O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로 주로 식물체의 광합성에 의해 생산된다. 단당류와 이당류, 다당류로 분류되며, 베네딕트 반응을 통해 환원당을 검출할 수 있다. 3. 지질 지질은 생물체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중성지방, 인지질, 스테롤 등이 있다. 지질은 비극성 유기 용매에 잘 용해되며, ...2025.05.03
-
Protein Electro-transfer and Western blot2025.01.231. Western blotting Western blotting은 단백질에 대한 blotting 기술을 뜻하며,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다. 단백질 혼합물을 polyacrylamide gel에서 SDS-PAGE를 이용하여 크기에 따라 분리하고 membrane으로 electro-transfer하여 흡착시킨 후 membrane 표면에서 항체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백질의 존재를 확인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2. SDS의 역할 및 원리 SDS-PAGE는 SDS가 단백질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하여 charge density를 일정하게 ...2025.01.23
-
생화학실험 단백질의 정성분석2025.05.061. Western blot Western blot은 단백질을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에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membrane에 옮긴 후 찾고자 하는 단백질의 항체(1차 항체)와 결합시킨 후 이 항체와 반응하는 2차 항체를 이용하여 밴드를 형상화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크기별 분리, 단백질을 고체 지지체로 이동, 1차 및 2차 항체를 사용하여 표적 단백질을 표시하여 시각화하는 3가지 요소를 사용한다. 2. SDS-PAGE SDS-PAGE는 질량에 의한 단백질 분리가 가능한 전기 영동법이다. 폴리아크릴아마이드...2025.05.06
-
Western Blotting 레포트2025.01.211. Western Blotting Western Blotting은 단백질을 감지하고 양을 확인하여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단백질을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nitrocellulose membrane에 옮긴 후, 찾고자 하는 단백질의 primary antibody와 secondary antibody를 이용하여 band를 형상화하는 과정입니다. 이 방법에는 Sample preparation, Electrophoresis를 위한 Gel preparation, Transfer, Antib...2025.01.21
-
단백질의 검출 과제 레포트2025.05.111. 단백질의 구조 단백질은 C, H, O, N, S를 주성분으로 구성된 화합물이며,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사슬로 이루어져 있다. 단백질은 1차, 2차, 3차, 4차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단백질의 기능이 결정된다. 2. 단백질의 기능 단백질은 효소, 구조, 수송, 저장, 신호, 수용체, 조절단백질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백질은 세포 내외의 지지, 운동 조절, 신호 전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3. 단백질의 변성 단백질의 기능은 단백질의 구조에 의존하므로, 높은 온도, 과도한 염분...2025.05.11
-
Clostridium perfringens와 Western blotting2025.05.131. Clostridium perfringens Clostridium perfringens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으로, 4개의 exotoxin을 만들어 내며 그 중 enterotoxin이 가장 중요하다. 이 enterotoxin은 열에 약해 60°C에서 10분이면 불활성화 되지만, 영양세포가 아닌 sporulation 과정에서 발현된다. 오염된 음식이나 변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제대로 조리되지 않은 음식을 섭취할 경우 식중독이 발생한다. 2. Western blotting Western blotting은 단백질을 크기별로 분리하여...2025.05.13
-
단백질의 분석(질량, 서열, ELISA) 요약정리2025.04.301. 단백질 질량 측정 단백질의 질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을 기체 상태의 이온으로 바꾼 후 전기장 하에서 질량 대 전하비(m/z)를 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MALDI와 ESI 기법을 통해 단백질을 이온화할 수 있으며, 이후 TOF 분석기를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 2. 항체를 이용한 단백질 검출 및 정량 항체는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여 면역 반응을 일으키므로, 이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검출하고 정량할 수 있다. ELISA 기법은 항체와 연결된 효소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존재 유무와 양을 측정할 수 있다. Western b...2025.04.30
-
[아주대] 생물학 실험1 - 당질의 검정2025.05.011. 당질의 특성과 분석 이번 실험을 통해 당질의 물성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당질을 분석하는 원리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Molisch Test, Benedict Test, Barfoed Test, Seliwanoff Test 등 다양한 실험 방법을 통해 당질과 비당질, 환원당과 비환원당, 단당류와 이당류, 알도스와 케토스를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당질의 화학적 특성과 반응 원리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2. 탄수화물의 구조와 기능 탄수화물은 일반적으로 탄소, 수소,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생물체의 구성...2025.05.01
-
Western blot 보고서2025.05.071. Western blot Western blot은 특정 단백질을 검출하는 기법으로, 단백질 혼합물을 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membrane에 옮긴 후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목표 단백질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는 샘플 준비, 전기영동, blotting, 검출 등의 단계가 포함된다. 2. 단백질 분리 단백질 혼합물은 SDS-PAGE를 통해 크기에 따라 분리된다. SDS는 단백질의 이차, 삼차 구조를 풀어 단백질이 분자량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전기영동 후 단백질은 membrane으로 옮겨진다. 3. 항원-항체 반응...2025.05.07
-
IP (Immunoprecipitation)2025.01.231. IP (Immunoprecipitation) 실험주제는 IP (Immunoprecipitation)입니다. IP 기법은 항체를 이용하여 목적 단백질을 침강시켜 분리하는 실험 기법입니다. 실험에서는 FLAG 태그가 붙은 A 단백질을 발현시키고 IP 기법을 통해 분리하였습니다. Western blotting 결과에서 110kDa 부근에서 FLAG-A 단백질이 검출되었고, 50kDa와 26kDa 부근에서는 heavy chain과 light chain이 검출되었습니다. 또한 70kDa 부근에서 non-specific하게 반응된 단백질...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