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2개
-
구약성경의 타나크 구조와 신학적 의의2025.11.141. 타나크 구조 히브리 성경의 타나크는 토라(모세오경), 느비임(선지서), 케투빔(성문서)의 3구분법을 따른다. 이는 기독교의 4구분법(모세오경, 역사서, 시가서, 예언서)과 다르며, 권위와 종교적 중요성에 따라 배열되었다. 토라는 하나님의 신학적 원리를 제시하고, 느비임과 케투빔은 그에 대한 적용을 다룬다. 예수님도 누가복음 24장 44절에서 이 구조를 존중하셨으며, 타나크는 단순한 우연이 아닌 분명한 구조적 패턴을 제공한다. 2. 율법의 신학적 의미 구약성경에서 율법은 하나님의 백성이 마땅히 살아내야 하는 방식을 제시하는 살아...2025.11.14
-
바울 서신에 나타난 언약신학2025.11.121. 두 아담과 두 언약 바울은 고린도전서 15장과 로마서 5장에서 첫 사람 아담과 예수 그리스도를 대표 인물로 비교한다. 아담과 맺은 '행위 언약'은 죄와 사망을 초래했으나, 그리스도와 맺은 '은혜 언약'은 순종과 부활을 통해 종말론적 생명을 제공한다. 모든 인간은 '아담 안에' 있거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두 언약 관계 중 하나에 속하며, 이는 역사 대대로 모든 사람에게 해당된다. 2. 은혜 언약의 시행들 바울은 하나님의 하나의 은혜 언약이 창세기 3장 15절의 약속으로 시작되어 아브라함 언약, 모세 언약, 다윗 언약, 새 언...2025.11.12
-
성경리뷰: 예레미야애가, 에스겔, 다니엘 해석2025.11.131. 예레미야애가 남유다가 바벨론에 의해 멸망하여 겪은 슬픔을 표현한 책으로, 각 장이 22절로 끝나고 중간 3장에 66절을 배치하여 균형을 맞춘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선지자 예레미아가 기록했으며, 바벨론의 포위로 인한 극심한 식량난과 그로 인한 비극적 상황들을 담고 있다. 유다 백성들이 하나님의 법을 저버리고 이방신을 섬긴 결과로 70년간의 포로생활을 겪게 되는 역사적 배경을 제시한다. 2. 에스겔 기원전 593~570년경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며, 유다의 멸망 과정과 회복을 다룬다. 에스겔 선지자는 상징적 행동과 비유를 통...2025.11.13
-
마태복음 1장: 예수는 누구이신가2025.11.151. 예수의 계보와 메시아성 마태복음 1장 1-17절은 단순한 족보가 아닌 예수께서 이스라엘에게 약속된 메시아임을 입증하는 신학적 선언서입니다. 마태는 예수님을 이스라엘 역사 전체와 긴밀하게 연관시키며, 아브라함에서 시작하여 다윗과 바벨론 포로라는 이스라엘 역사의 중대한 전환점을 거쳐 예수님에 이르는 계보를 제시합니다. 계보는 완성의 수 7의 곱을 세 번 반복한 3×14대로 구성되어 준비의 시대가 끝나고 완성의 때가 도래했음을 암시합니다. 2. 예수의 왕적 계보와 다윗의 자손 마태복음의 계보는 누가복음과 달리 왕적 계보로서 다윗의 ...2025.11.15
-
한국 기독교의 예언자적 기능 부재와 사회적 책임2025.11.181. 종교의 예언자적 기능 종교는 사제적 기능과 예언자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제적 기능은 공동체를 통합하고 안정시키는 관리자 역할이며, 예언자적 기능은 사회의 변화와 혁신을 선지자적으로 주도하는 역할이다. 예언자적 기능은 기존의 지배적 상상에서 벗어나 다르게 상상하고 선포하며 실천하는 특징을 가진다. 종교의 예언자적 기능은 사회적 기능의 일부로서 기존 사회질서의 모순과 부조리, 경제적 불평등, 부정부패 등을 고발하고 공동체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2. 코로나 팬데믹 시기 한국 기독교의 문제점 코로나 팬데믹 시기 ...2025.11.18
-
성경의 구조와 신학의 연관성2025.11.171. 성경의 구조 성경은 구약성서 39권과 신약성서 2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약성서는 창세기부터 말라기까지 율법서, 역사서, 시편, 잠언, 대선지 등 다양한 장르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대인의 역사와 종교적 가르침을 담고 있다. 신약성서는 마태복음서부터 요한계시록까지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 십자가와 부활, 새로운 언약과 구원의 은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각 성서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신학과 성경의 상호작용 성경은 신학의 기반이 되며 신학은 성경을 통해 발전한다. 신학자들은 성경의 ...2025.11.17
-
헨델의 메시아에 대해2025.01.151. 헨델의 메시아 헨델의 메시아는 오라토리오 장르에 속한 곡으로, 오페라 작곡가로 유명했던 헨델이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이 닥치면서 오페라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오페라가 공연되지 못하는 기간에도 연주할 수 있는 오라토리오를 작곡하게 되었다. 메시아는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의 독창 아리아와 레치타티보, 이중창, 합창 등 다양한 장르의 혼성 4부 합창곡 및 관현악 편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차르트나 멘델스존 등의 후배 작곡가들이 점점 발전한 근대적인 관현악과 합창을 활용하여 편곡하였다. 곡의 구성 또한 이태리의 전통 오페라...2025.01.15
-
요한복음 1장 29-42절: 하나님의 어린양2025.11.131. 하나님의 어린양 요한복음 1장 29절과 36절에서 세례요한이 예수님을 가리켜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이 표현은 구원을 위한 대속적 죽음, 모든 사람을 향한 구원으로의 초청, 죄의 용서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며, 복음의 핵심을 나타냅니다. 이사야서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 표현으로, 예수님의 우월함을 강조합니다. 2. 세례요한의 증거 세례요한은 예수님을 '하나님의 어린양'으로 증거함으로써 예수님의 우월함을 강조했습니다. 세례요한은 광야에서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기 전까지 자신의 사촌인 ...2025.11.13
-
구약 역사서의 신학적 이해와 해석2025.11.121. 약속의 땅과 언약의 성취 여호수아서에서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을 차지하는 것은 하나님이 족장들에게 맹세한 약속의 성취이다. 이는 단순한 정복이 아니라 노예 상태에서 해방된 백성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선물이며, 받은 땅에서 여호와만을 섬기고 언약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정체성을 담고 있다. 땅을 받은 백성은 그 땅을 지혜롭게 정복하고 다스리며 사회적 약자를 구제해야 한다. 2. 샬롬(평화)의 신학적 의미 샬롬은 단순한 평화가 아니라 하나님의 질서에 순응하며 사는 삶에서 주어지는 하나님의 선물이다. 여호수아 시대의 샬롬은 하나님이 이...2025.11.12
-
구속언약: 성경적·신학적·역사적 관점2025.11.121. 구속언약의 기원과 전개 구속언약은 1638년 데이비드 딕슨이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에서 처음 용어를 사용했으며, 17세기 후반에 일정하게 등장하여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16세기 전체와 17세기 초반에는 창세전 삼위일체 세 위격 사이의 내적 언약의 존재가 논의되었고, 종교개혁 이후 개혁파 정통 사상 안에서 17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공인된 관념으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다. 2. 구속언약의 성경적 원리 성경은 창세전 성부와 성자 사이의 협정 존재를 암시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매매 용어, 화목제물 명칭, 성부와 성자의 대화...202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