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8개
-
삼국의 시조: 박혁거세, 주몽, 온조2025.11.121.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박혁거세는 경주 6촌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신라의 왕위에 올랐습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기록된 경주 6촌은 알천 양산촌, 돌산 고허촌, 무산 대수촌, 자산 진지촌, 금산 가리촌, 명활산 고야촌으로 각각의 촌장이 있었습니다. 경주 오릉(사적 제172호)에는 박혁거세거서간과 왕비 알영을 포함한 신라 초대 왕들의 무덤 5기가 있습니다. 2. 고구려의 시조 주몽 주몽은 성이 고씨이며 동명성제로 불렸습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하백의 딸 유화와 천제의 아들 해모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햇빛으로 인해 신비로운 탄생...2025.11.12
-
궁예의 부하 왕건과 고려 건국2025.11.131. 왕건의 정복활동 왕건은 궁예의 부하로 있을 당시 활발한 정복활동을 벌였습니다. 상주의 사화진을 공격하여 견훤과 여러 번 싸워 이겼으며, 수군을 거느리고 금성(현재의 전라남도 나주시)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10여 군현을 빼앗았습니다. 이러한 정복활동으로 궁예의 세력이 점점 강해졌고, 왕건의 활약은 고려사에 잘 기록되어 있습니다. 2. 왕건의 신분 상승 왕건은 궁예의 부하에서 시작하여 정기장군, 알찬을 거쳐 최고의 벼슬인 파진찬 겸 시중의 자리에 올랐습니다. 왕건이 누차 전공을 세우자 궁예는 그를 거듭 승진시켰으며, 수군 지휘를 ...2025.11.13
-
고려후기의 문신 이규보와 동명왕편2025.11.131. 이규보의 생애와 관직 이규보는 본관이 황려이고 고려후기의 문신이다. 문장력이 뛰어났으나 학식은 우수하지 않았다. 14세 때 성명재에서 시를 빨리 지어 기이한 인재로 불렸고, 사마시에 네 차례 낙방 후 명종 시기에 수석으로 합격했다. 무신 집권자 최충헌을 찬양하는 시를 쓴 후 전주사록에 임명되어 관직에 진출했으며, 최충헌에 의해 권보직한림으로 발탁되어 여러 관직을 거쳤다. 2. 이규보의 문학 활동과 저작 이규보는 무신 집권기에 국가의 외교 문서와 제례를 위한 기원문 작성을 도맡아 했으며, 자신의 느낌을 시문으로 표현했다. 그의 ...2025.11.13
-
조선의 성립과 발전: 태조부터 세종까지2025.11.161. 조선의 건국과 태조 이성계 조선은 1392년 이성계에 의해 건국되었습니다. 이성계는 초대 임금 태조로 즉위하여 10년간 재위했으며 74세까지 살았습니다. 태조는 왜구 격퇴와 위화도 회군으로 국력을 강화했고,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여 종묘와 사직을 세웠습니다. 정도전과 하륜에게 『경국원전』과 『속전』을 편찬하게 하여 개국의 규모를 정하고 법도를 제작했습니다. 2. 정도전의 난과 태종의 통치 정도전과 남은이 이방석을 지지하며 여러 왕자를 모해하려 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숙번이 이를 진압하여 정도전과 남은을 제거했고, 이방번과 이...2025.11.16
-
여성 신화로서 <바리데기 공주> 작품의 의의와 한계2025.01.061. 여성 신화 <바리데기 공주>는 여성 주인공의 무속 신화로, 여성이 주도적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여성 신화이다. 이 작품에서 바리데기 공주는 부모에게 버림받았지만 바리공덕할멈 내외의 도움을 받아 삼신산에 가서 무장승과 결혼하고 부모를 살려내는 등 고난을 극복하여 무당의 시조가 되어 혼백의 구원자가 된다. 이를 통해 여성의 '계몽'과 '자유의지'를 보여준다. 2. 여성 신화와 건국신화의 차이 일반적인 영웅 이야기인 <단군신화>, <주몽신화>와 달리 <바리데기 공주>는 평범한 7번째 딸로 태어나 부모에게 버림받지만 자신의 희생과 노...2025.01.06
-
한국 신화의 특징2025.01.251. 고구려 주몽신화 고구려 주몽신화는 한국 신화의 여러 특징을 보여준다. 주몽은 해와 강물의 신의 아들로 출생하며, 태어날 때부터 신성한 기운을 품고 있다. 주몽은 비범한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모험을 겪는다. 주몽신화는 신화적인 요소와 역사적 사실이 융합되어 나타난다. 2. 신라의 박혁거세 신화 신라의 박혁거세 신화 또한 한국 신화의 다양한 특징을 보여준다. 박혁거세는 하늘의 신과 땅의 정령의 만남으로 태어나며, 그의 탄생은 신의 축복을 받은 것으로 이야기된다. 박혁거세 신화는 하늘과 땅의 만남, 비범한 출생,...2025.01.25
-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2025.01.081. 박혁거세의 탄생 박혁거세는 신라의 시조로, 그의 탄생설화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조선의 유민들이 산골짜기에 살면서 6촌을 이루고 있었는데, 그 중 고허촌의 촌장 소벌공이 양산의 나정 옆에서 말이 울고 있는 것을 보고 가까이 가보니 말은 사라지고 큰 알이 있었습니다. 그 알에서 태어난 갓난아이가 바로 박혁거세입니다. 그의 성은 박이고 이름은 혁거세였으며, 13세 때 6부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올랐습니다. 2. 신라 건국과 6부 신라 건국과 관련하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조선의 유민들이 6촌을 이루고 있었다고...2025.01.08
-
백제와 신라의 역사2025.01.031. 백제의 건국과 발전 백제는 한강유역에서 시작되었으며, 온조왕이 건국하였습니다. 백제는 3세기 무렵 강력한 왕국으로 발전하였고, 고이왕 시기에 관직 제도를 마련하였습니다. 백제는 고구려와 여러 차례 충돌하였지만 승리를 거두며 세력을 확대하였습니다. 하지만 고구려의 남진 정책으로 인해 수도 위례성이 함락되는 등 시련을 겪었습니다. 2. 백제의 정치 백제의 개루왕 시기에는 음란한 음악을 좋아하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나라가 위태로워졌습니다. 고이왕 시기에는 뇌물 수수를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하는 등 정치 개혁을 단행하였습니다. 이후 백...2025.01.03
-
수나라와 당나라의 통일과 정치체제2025.11.131. 수나라의 건국과 정치개혁 양견이 남북조의 분열을 통일하여 수나라를 건국했습니다. 수 문제는 황제권을 강화하고 3성 6부 제도를 채택했으며, 호족의 관직독점 제도인 구품관인법을 폐지하고 새로운 관리등용제도인 과거제도를 실시했습니다. 과거제도의 실시로 문벌귀족제의 모순이 많이 극복되었습니다. 2. 수 양제의 대운하 건설 수 문제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2대 황제 양제는 수도를 동쪽의 뤄양으로 옮겼습니다. 뤄양은 수륙 운수의 중심지이면서 물자 운송의 요충지였습니다. 양제는 기존 수로와 하천을 연결하여 뤄양을 중심으로 전국을 관통하...2025.11.13
-
고구려와 신라의 성립과 발전2025.11.121. 고구려의 건국과 초기 발전 고구려는 동부여에서 파생되어 주몽에 의해 건국되었습니다. 주몽은 동부여를 탈출한 후 졸본천에 도착하여 고구려를 개국했습니다. 유리왕 시기에 도읍을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옮겼고, 태조왕 시기에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미천왕 시기에는 낙랑군을 몰아내고 대동강 유역을 확보했으며, 장수왕 시기에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남진정책을 펼쳐 충청도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했습니다. 2. 신라의 건국과 초기 발전 신라는 기원전 57년 박혁거세에 의해 경주 지방의 사로국으로부터 건국되었습니다. 4세기경 내물왕 때부터 ...202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