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개
-
기타질환 리포트2025.01.211. 수술과 영양 수술 전후 환자의 영양상태는 수술의 성공 가능성, 합병증, 재원 일수에 영향을 미칩니다. 수술 전과 후에 금식 등의 사유로 음식 섭취가 충분하지 못하여 영양상태가 나빠질 수 있습니다. 수술 전 영양관리의 목표는 헤모글로빈 농도, 혈청 단백질, 헤마토크리트 수준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수술 후에는 장음과 가스배출로 장기능이 정상화된 후 음식 섭취를 허용하며, 수술 후 체내 대사의 변화에 따라 에너지,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의 공급이 필요합니다. 2. 화상과 영양 화상 후에는 체액과 전해질의 손실, 대...2025.01.21
-
혈액계 진단검사, 정상범위 및 의의2025.05.071. 적혈구 수 (RBC) 적혈구 수(RBC)는 높은 고도, 화상(혈액농축), 원발성다혈구 혈증에서 증가하고 빈혈, 백혈병에서 감소합니다. 24시간 내에 Hb 3g/dl 이상 감소 시 내출혈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2. 혈색소 (Hb) 혈색소(Hb)는 높은 고도, 화상(혈액농축), 원발성다혈구 혈증에서 증가하고 빈혈, 출혈, 영양결핍, 혈액희석에서 감소합니다. 12g/dl 이상이면 적혈구 농축을 의미합니다. 3. 적혈구 용적률 (Hct) 적혈구 용적률(Hct)은 화상(혈액농축), 원발성 다혈구 혈증에서 증가하고 적혈구 생산 감소,...2025.05.07
-
일반혈액검사결과 정상치, 임상적의의2025.05.051. 백혈구(WBC)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백혈병, 세균 감염, 염증,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재생불량성 빈혈, agranulocytosis, 면역계 질병, 악성 빈혈, 비장 기능 항진, AIDS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2. 호중구(Neutrophil) 호중구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임신, 신생아, 세균 감염, 염증성 질환, 조직 괴사(심근경색, 화상), 급성 스트레스 반응, 폐렴, 편도선염, 신우신염, 뇌출혈, 악성 종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에는 독소적 항원, ...2025.05.05
-
2023, 2024 식생활과 건강 A+족보 (2024년 7월 작성)2025.01.191. 비만과 관련된 질환 비만은 심장질환, 직장암, 유방암, 고혈압, 관절염 등 다양한 질환의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장질환의 발병률이 70% 높아지고, 고혈압의 발병률이 33%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비타민 B12 결핍 증상 비타민 B12는 DNA 합성에 필요한 조효소 역할을 하며, 결핍 시 거대아구적 빈혈, 설염, 설사, 성장 지연, 정신이상, 신경관 결손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3. 체중 감량 하루 열량 섭취량을 780kcal(30%) 줄이면 한 달(30일) 동안 약 3.5kg의 체중 감량이 가능한...2025.01.19
-
호중구 감소증 Neutropenia 총정리 A+자료2025.05.071. 호중구 감소증 호중구 감소증은 심한 호중구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혈액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호중구 감소증과 과립백혈구 감소증(granulocytopenia)는 같은 용어로 사용됩니다. 절대 호중구 수(absolute neutrophil count : ANC)는 총 백혈구 수에 호중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곱해 얻어지며, 호중구 수가 2,000/mm3 이하로 감소되어 있으면 호중구 감소증으로 진단됩니다. 2. 원인 호중구 감소증의 원인으로는 약물(항암제, 항생제, 향정신성 및 항우울제), 혈액질환(특발성 및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 ...2025.05.07
-
영양판정및실습 기말고사 정리 // 지용성 비타민, 수용성 비타민, 임상조사, 영양판정의 활용2025.01.141. 지용성 비타민 영양상태판정 비타민A 결핍 -경계수준의 결핍 -적절- 과다- 중독 생화학적 검사 – 혈액, 유즙, 간의 비타민A함량 측정 기능성 검사 – 암적응 검사, 결막상피세포 조사, 투여반응시험혈청 비타민 A 비타민A의 영양상태판정에 가장 많이 사용저장이 잘되며 체내 항상성 조절, 체내에서 완전히 고갈되었거나 초과시 변화 정상범위 45~55ug/dl 결핍: 10이하 과잉: 100이상투여 반응 실험 경구로 비타민A 투여후 차이를 관찰하는 것으로 체내 저장량 많으면 전후차이 적음 20% 작음체내 저장량 부족하면 전후차이 큼 ...2025.01.14
-
A+ 받은 고관절 성형술 PBL 위험인자, 주의사항, 합병증, 감염예방, 사정 결과, 간호 고려 요소, 간호진단 및 중재2025.04.281. 고관절 골절 위험인자 나씨는 75세 여성으로 50년의 흡연력, 류마티스 관절염, 위식도역류질환, 관상동맥질환 등의 병력을 가지고 있어 부동, 피부 통합성 장애, 비효과적 말초 조직 관류, 낙상, 통증 등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다. 2. 고관절 성형술 후 주의사항 나씨의 고관절 성형술 후 주의사항으로는 탈구 예방을 위한 외전 배게 적용, 수술 부위 출혈 및 배액관 분비물 관찰, DVT 예방을 위한 항혈전스타킹 착용, CMS 확인, 통증 관리 등이 있다. 3. 고관절 성형술 후 합병증 나씨의 고관절 성형술 후 잠재적으로 나타날 수...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