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82개
-
[이동현상실험] 자연대류를 이용해 얼음 녹이기(Melting of Ice by Natural Convection) 결과레포트/고찰문제 포함2025.04.291. 열량(Quantity of Heat) 열량이란 물체가 받거나 잃은 열의 양을 뜻하며, 에너지의 양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보통 칼로리(cal)의 단위를 사용하며, 비열과 질량, 온도차를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2. Newton's Equation Newton의 열전달 방정식으로, 열전달 계수 h와 온도차를 곱하여 열전달량을 나타낸다. 열전달 계수는 geometry, 물성, 유속, 온도 분포 등에 따라 변한다. 3. 자연대류(Natural Convection) 밀도 차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대류로, 온도차나 압력차에 의...2025.04.29
-
대류와 복사의 복합 열전달 결과보고서2025.01.141. 열전달 열전달은 온도차에 의해 일어나는 열의 이동이다. 열전달은 전도, 대류, 복사 형태로 일어난다. 전도는 물체 내부의 입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에너지가 전달되는 방식이고, 대류는 표면과 인접 유체 사이의 에너지 교환 방식이며, 복사는 전자기파 형태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2. 열전달 계수 열전달 계수식은 대류 열전달 계수와 복사 열전달 계수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 대류에 의한 열전달 계수는 레일리 수, 그래샤프 수, 누셀트 수 등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고, 복사에 의한 열전달 계수는 스테판-볼츠만 상수, 표면 방사...2025.01.14
-
[화학공학]기-액 평형실험 결과레포트2025.01.171. 기-액 평형 실험 본 실험 장치는 물질 전달 과정의 하나인 증류 개념을 익히도록 설계 제작하였다. 이 장치는 일정한 압력 하에서 혼합 용액을 일정한 온도로 증발시키면 혼합 증기와의 평형 관계가 장치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실측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평형 관계를 측정하고 관찰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아울러 평형 증류에 대한 기초 지식과 장치의 조작 방법을 이해하고, 실습을 통하여 이론과 실제를 비교하도록 하며 분석 능력을 기르고, 장치의 기능을 익히도록 설계 제작하였다. 2. 기-액 평형 이론 일정한 압력 하에서 혼합 용액을...2025.01.17
-
물리화학실험 용해도와 열역학 실험2025.01.151. 용해도(Solubility) 용해도는 주어진 온도와 압력에서 용질이 용매에 용해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보통 용매 100g당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그램수로 표현된다. 용해도는 용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온도, 압력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2. 용해도곱(Solubility product) 용해도곱은 고체 염이 용액 내에서 용해되어 각각의 이온 성분으로 나누어지는 반응에 대한 평형 상수를 나타낸다. 용해도곱 상수는 주어진 온도에서 고체 염의 용해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3. 평형상수(Equilibrium ...2025.01.15
-
[일반화학실험] 반응열 측정 및 계산 예비보고서 (이론)2025.01.171. 반응열 반응열은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되거나 흡수되는 열량을 의미한다. 반응열은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에 저장된 열량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2. 엔탈피 엔탈피는 일정한 압력에서 물질이 생성되는 동안 저장된 열에너지를 의미한다. 엔탈피는 직접 측정할 수 없지만 반응열의 출입을 측정하여 엔탈피의 변화를 계산할 수 있다. 3. 발열반응 발열반응은 엔탈피가 큰 물질이 화학반응을 하여 엔탈피가 작은 물질로 변할 때 그 차이에 해당하는 열을 방출하는 반응을 의미한다. 4. 흡열반응 흡열반응은 엔탈피가 작은 물질이 엔탈피가 큰 물질로 ...2025.01.17
-
경희대학교 기계공학과 기계공학실험 (기공실 ), 첨단기계공학실험 LabVEIW 실습1 써미스터2025.01.221. 열전달 열전달의 세 가지 주요 현상인 전도, 대류, 복사에 대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온도 센서 중 하나인 열전대의 원리와 특징, 사용법을 이해하고 열전대를 활용한 온도 측정 과정에서 실험 도구, 측정 모듈, LabVIEW 블록 다이어그램과의 호환 및 데이터 처리 과정을 이해한다. 2. 제백 효과 제백 효과는 전도체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도 에너지의 흐름에 의해 전위 구배가 생기고 이에 따라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양끝단의 온도 차로 인해 원자의 흐름과 에너지 흐름이 생기면서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일...2025.01.22
-
증기압과 증발 엔탈피 실험 예비 보고서2025.11.121. 증기압(Vapor Pressure) 증기압은 액체와 그 증기가 동적 평형 상태에 있을 때 증기가 나타내는 압력입니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기압은 증가하며, 액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집니다. 증기압은 물질의 휘발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끓는점은 증기압이 대기압과 같아지는 온도입니다. 2. 증발 엔탈피(Enthalpy of Vaporization) 증발 엔탈피는 일정한 압력에서 액체 1몰이 기체로 변할 때 필요한 열에너지입니다. 이는 분자 간의 인력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나타내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합니...2025.11.12
-
충남대 바이오시스템분석: P-H선도, 그람균, 프랜틀수2025.11.171. P-H 선도 (압력-엔탈피 선도) P-H 선도는 몰리에르 선도라고도 불리며 유체의 열역학적 상태를 나타내는 도표입니다. 등온선은 같은 온도의 상태를 선으로 연결하며, 포화액체, 포화증기, 포화액체증기 혼합물, 임계점 등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포화증기선은 카르노사이클과 관련이 있으며, 건도가 높은 습증기에서 단열 압축으로 과열증기가 되는 과정으로 인해 오른쪽으로 약간 휘어 올라가는 형태를 보입니다. 2.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그람 양성균은 그람 염색법에 의해 푸른색으로 변하는 세균으로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이 있으며,...2025.11.17
-
Exp 4. Phase Diagram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2025.01.241.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는 sample과 reference를 용해로에 넣고 일정한 heat flux를 적용하여 두 물질의 온도 상승 또는 하강을 서로 동일하게 유지하는 기술이다. sample이 상전이를 겪는 경우, 전이가 흡열인지 발열인지에 따라 열이 가해지거나 방출되며, DSC는 이러한 heat flux를 시간 또는 온도의 함수로 기록한다. 급격한 heat flux 변화는 상전이를 의미한다. 2. Indium, Naphthalene, p-DCB의 열적 특성 실험에서 Indi...2025.01.24
-
생화학 9단원 효소 요약정리2025.04.301. 효소 촉매 반응과 열역학 효소는 화학 반응의 속도를 매우 빠르게 촉매하지만 활성화 에너지는 변화시키지 않는다. 즉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가 변하지 않으므로 평형의 위치 또한 변하지 않게 된다. 전이 상태와 기질 간 깁스 자유 에너지의 차이를 활성화 에너지라고 부르며, 이를 넘어야 기질이 생성물로 바뀔 수 있다. 효소는 활성화 에너지의 값을 낮춰 반응이 용이하게 일어나도록 한다. 즉 효소는 전이 상태의 형성을 촉진한다. 효소와 기질 간의 많은 약한 상호작용이 형성될 때 방출되는 에너지를 결합 에너지라고 부른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