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6개
-
정상성의 개념과 현대사회의 정신건강2025.11.131. 정상성의 정의 및 기준 정상성(normality)은 권력관계를 정당화하는 기능을 해온 개념으로, 1759년 처음 출현되었으며 1840~1860년 사이 일반화되었다. 정상성의 기준은 통계적 접근(빈번하게 반복되는 행동), 생물학적 접근(건강한 상태), 사회적 접근(사회가 수용하는 상태), 주관적 접근(개인의 판단) 등 네 가지로 구분된다. 정상이란 객관적이고 평균적인 것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앞으로도 계속 일어나야 하는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2. 정상성의 관점 정신건강의 기준에서 정상에 대한 관점은 다섯...2025.11.13
-
사회복지 실천에서 가치갈등의 유형과 가치갈등의 해결책2025.01.201. 사회복지사와 가치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삶의 일부를 신탁 받은 것이나 다름이 없으며 사회복지사의 숙고 끝에 선택한 정책과 전문적 판단 등은 복지서비스의 이용자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모든 결정의 배후에는 결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가치 등이 각축을 벌이기에 철학적이며 도덕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당연하다. 2. 가치갈등의 유형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원칙인 자기결정권은 절대적 가치라고 하기는 어렵다. 상황에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의 원칙 등을 제한해야 하는 입장에 처하는...2025.01.20
-
사회심리학의 문화적 특성과 세대 차이 극복 방법2025.05.111. 사회심리학의 개념과 역사 사회심리학은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인지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개인의 사고, 태도, 행동이 사회적 맥락에서 형성되고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사회심리학은 개인 수준에서의 인지, 감정, 태도, 동기와 함께 집단과 조직의 상호작용, 사회적 규범, 문화적 영향 등을 다루며, 이를 통해 사회적 현상과 문제를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사회심리학의 문화적 관점 사회심리학의 문화적 관점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인지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문화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2025.05.11
-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 해결을 위한 ABCDE 전략2025.11.161. ABCDE 전략의 개념 및 구성 ABCDE 전략은 Assessment(평가), Belief(신념), Choice(선택), Delivery(실행), Evaluation(평가)의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 문제 해결 방법론입니다. 또한 Awareness(인식), Belief(이해), Commitment(약속), Doing(실행), Evaluation(평가)로도 설명됩니다. 이 전략은 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진정한 요구를 파악하고, 신념과 가치관을 존중하며, 상호적인 선택을 존중하고, 공정하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2025.11.16
-
[사회복지]실천윤리학, 세계 빈곤으로 보는 진정한 이타적인 삶2025.01.171. 세계 빈곤 문제 1987년 프랑스 파리 트로카데로의 '인권과 자유의 과장'에서 새로운 운동의 출발점이 탄생했다. 이곳에서 조셉 레신스키 신부 주도하에 빈곤으로 인한 희생자 10만 명이 모여 절대빈곤 퇴치 운동 기념비 개막행사가 열렸으며, 그 영향으로 1992년 10월 17일 세계 빈곤 퇴치의 날이 UN에 의해 제정되었다. 세계 빈곤 퇴치의 날이 제정된 이후로 전 세계가 빈곤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WFP(유엔세계식량계획)에 따르면 정치적 불안정, 전쟁, 기후 문제와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아직도 전 세계 7억 9...2025.01.17
-
헌법논증이론: 외국 입법례의 국내 합헌성 논거 비판2025.04.261. 규범과 사실의 격위 차이 규범은 수범자들 간의 관계를 확정하고 권리와 의무를 할당하는 것이며, 사실은 실증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인 현상을 의미한다. 규범은 가치 판단이 포함되어 있지만 사실은 가치 판단이 배제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 해외 입법례의 국내 수범자 관점 해외 입법례는 국내에 유사한 입법을 시도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지만, 그것이 국내에서 해당 법률을 제정해야 할 당위성을 부여하거나 총체적이고 독자적인 논거가 되지는 못한다. 해외 입법례는 규범이 아닌 사실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3. 자연주...2025.04.26
-
인간의 합리성과 이상성에 대한 철학적 논의2025.11.131. 인간의 합리성 인간은 고도로 발달된 지능과 인지 능력을 통해 주어진 상황에서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정보의 불완전성, 인지적 제약, 정서적 영향으로 인해 완전히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없다. 인간의 판단은 주관적 인식, 편견, 오류 등으로 인해 왜곡될 수 있으며, 이는 인간의 합리성이 제한적임을 보여준다. 2. 인간의 이상성과 창의성 인간은 윤리적 행동과 협력 능력, 창의력과 예술적 감각을 통해 문화와 예술을 발전시킨다. 인간은 감정과 경험을 공유하고 문화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형성할 수 있는 독특한 능력을 가...2025.11.13
-
신경윤리학(뇌인지과학) ) social response reversal model의 적절한 번역에 대하여2025.01.191. 신경윤리학 신경윤리학에서는 도덕적 판단과 감정의 상호작용을 연구한다. Greene의 연구는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감정이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탐구하며, 여기서 "reversal"은 특정 도덕적 또는 사회적 반응이 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는 도덕적 판단이 단순한 논리적 과정이 아닌 감정적 요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reversal"을 "역전"으로 번역함으로써 "사회적 반응 역전 모델"은 이러한 연구의 핵심 개념을 잘 반영할 수 있다. 2. 신경 과학 "Social respo...2025.01.19
-
공동체윤리 및 사례2025.11.161. 관습과 윤리의 개념 관습(ethos)은 특정 사회나 사회적 집단에서 전통적으로 구성원들이 상습적으로 수행하고 승인해온 행동양식을 의미합니다. 윤리(ethics)는 가치 있고 행복한 삶을 목적으로 하며, 관습이나 도덕에 관련된 물음을 탐구하는 이론입니다. 윤리적 딜레마는 둘 이상의 도덕적 원리가 적용될 때 그 원리들이 서로 모순되는 상황을 말하며, 이는 윤리학적 사고의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2. 공동체윤리의 정의와 실천 공동체윤리는 인간 존중을 바탕으로 봉사하고 책임감 있게 규칙을 준수하며 예의를 갖춘 태도로 업무에 임하는 자세...2025.11.16
-
삼법인의 관점에서 본 정의와 경찰의 역할2025.11.161. 삼법인(三法印)과 정의의 무상성 불교의 삼법인은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일체개고(一切皆苦)를 의미하며, 세상의 모든 것이 영원하지 않다는 진리를 담고 있다. 이 관점에서 정의 역시 불변하는 진리가 아니라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하는 일시적 관념이다. 예를 들어 1960년대 미니스커트는 풍기문란으로 낙인찍혔으나 현대에는 일반적인 패션이 되었다. 동성동본 금혼제도도 관습법에서 민법으로 명문화되었다가 2005년 폐지되었다. 정의의 변화를 받아들이고 집착에서 벗어나는 것이 삼법인의 핵심 가르침이다. 2. 정의의 상대...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