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8개
-
건국대 물및실2 12주차 코일의 자기장 측정 결과레포트2025.01.181. 헬름홀츠 코일 헬름홀츠 코일 배치에서의 자기장의 공간적 분포상태를 디지털 가우스 메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맥스웰 방정식과 비오-사바르 법칙을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자기장 밀도를 계산하고,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솔레노이드와 헬름홀츠 코일에서는 실험 값과 이론 값의 오차율이 각각 1.2%, 1.9%로 신뢰할 수 있는 실험이 진행되었지만, 단일 코일에서는 오차율이 278%로 신뢰할 수 없는 실험이었다. 오차 발생 원인으로는 도선 저항, 일정하지 않은 전류, 유효 숫자 사용 등이 지적되었다. 2. 자기장 측정 실험에서는 디지털 ...2025.01.18
-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실험2025.11.131. EDTA 표준용액 제조 Na2H2Y·2H2O를 이용하여 EDTA 표준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입니다. 0.50g의 Na2H2Y·2H2O를 정량하여 250mL 용량플라스크에 용해시킨 후 증류수로 표선까지 채워 표준용액을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정확한 칭량과 용해가 중요하며, 최종 농도는 약 0.02M의 EDTA 표준용액이 됩니다. 2. EDTA 표준화 제조된 EDTA 표준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표준화 과정을 수행합니다. 칼슘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적정을 진행하며, 에리오크롬 블랙 T(EBT)를 지시약으로 사용합니다. 여러 ...2025.11.13
-
일반물리실험: 측정 오차 및 중력가속도 측정2025.11.131. 측정 및 오차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한 길이 측정에서 인적 오차, 사진 촬영으로 인한 오차, 측정 기기의 최소 단위(0.05mm) 제한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했다. 계통오차는 유효숫자 통일 과정에서, 우연오차는 실험 준비물 상태에서 발생했으며, 반복 실험을 통해 평균값으로 오차를 최소화하려 노력했다. 구면계 측정 시 사진 관찰의 한계와 렌즈 중심 위치 정확성이 측정 정확도에 영향을 미쳤다. 2. 중력가속도 측정 피켓펜스를 0cm, 5cm, 10cm 높이에서 각각 3번씩 반복 실험하여 로거프로 프로그램으로 시간, 속도, 가속도, ...2025.11.13
-
비중 및 밀도 측정 실험 결과 보고서2025.11.141. 밀도(Density) 측정 밀도는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실험에서는 비중병을 이용하여 50ml 부피의 혼합 용액의 질량을 측정한 후 밀도를 계산했다. 증류수와 에탄올의 혼합 비율에 따라 밀도가 변하며, 같은 온도에서 증류수의 비율이 높을수록 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온도 변화에 따른 밀도 변화도 측정되었으며, 이론적으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밀도는 감소해야 한다. 2. 비중(Specific Gravity) 계산 비중은 구하고자 하는 물질의 밀도를 표준물질(1atm, 4℃의 물)의 밀도로 나눈 값이다. 실험에서는...2025.11.14
-
산염기 적정 실험 결과보고서2025.11.111. 산염기 적정 산염기 적정은 미지의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알려진 농도의 염기 또는 산을 첨가하여 중화점에 도달할 때까지 반응시키는 정량분석 방법입니다. 지시약의 색 변화를 통해 당량점을 판단하며, 소비된 시약의 부피를 이용하여 미지 시료의 농도를 계산합니다. 2. 당량점과 중화점 당량점은 산과 염기가 화학량론적으로 완전히 반응하는 지점이며, 중화점은 지시약의 색이 변하는 지점입니다. 이상적인 적정에서는 두 지점이 일치하지만, 실제로는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지시약 선택이 중요합니다. 3. 지시...2025.11.11
-
원운동과 구심력 실험 보고서2025.11.121. 원운동 물체가 일정한 반지름의 원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운동으로, 속도의 크기는 일정하지만 방향이 계속 변한다. 원운동을 하는 물체는 항상 원의 중심을 향하는 가속도를 가지며, 이를 구심가속도라고 한다. 원운동의 주기, 각속도, 선속도 등의 물리량으로 표현되며, 일반물리학에서 기본적인 운동 형태 중 하나이다. 2. 구심력 원운동을 하는 물체가 원의 중심을 향해 받는 힘으로, 물체의 질량과 구심가속도의 곱으로 정의된다. 구심력은 F=mv²/r 또는 F=mω²r의 식으로 표현되며, 항상 원의 중심을 향한다. 실험에서는 회전하는 물...2025.11.12
-
액체의 몰질량 측정 실험 보고서2025.11.121. 몰질량 측정 액체 시료의 몰질량을 측정하는 실험으로, 이상기체 법칙과 증기압 원리를 이용하여 미지의 액체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액체를 가열하여 증발시킨 후 생성된 기체의 부피, 압력, 온도를 측정하고 이상기체 방정식 PV=nRT를 적용하여 몰수를 구한 후 시료의 질량으로 나누어 몰질량을 계산합니다. 2. 이상기체 법칙 PV=nRT 방정식으로 표현되는 이상기체의 상태 방정식입니다. 기체의 압력(P), 부피(V), 몰수(n), 기체상수(R), 절대온도(T)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액체의 몰질량 측정 실험에서 증발...2025.11.12
-
[최신]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1 A+ 실험5 일과 에너지2025.01.221. 마찰력 측정 실험 1에서는 충돌수레의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레일의 기울기, 충돌수레의 무게 측정 등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었지만, 수평 조정 작업과 유효숫자 사용 등을 통해 오차를 최소화하려 노력하였다. 마찰력과 마찰계수를 계산한 결과, 실험 결과가 이론값과 잘 부합하였다. 2. 일-에너지 정리 검증 실험 2에서는 일과 에너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LEFT | {W _{f}} over {DELTA E````} RIGHT |와 {| DELTA K``|`+`|W _{f} `|} over {| DELTA U``|}의 값...2025.01.22
-
탄동진자를 이용한 발사체 속도 측정 실험2025.11.141. 운동량 보존 법칙 충돌에서 운동량은 보존된다. 운동량은 물체의 질량 m과 속도의 곱으로 정의되는 벡터량이며 단위는 kg·m/s이다. 충돌 전후 운동량의 변화량을 충격량이라 하며, 뉴턴의 제2법칙에서 충격량은 충돌 중 받는 충격력의 적분과 같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빠르게 운동하는 발사체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2. 역학적 에너지 보존 탄동진자 실험에서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된다. 진자와 공의 질량의 합을 M, 중력가속도를 g, 진자의 높이 변화를 Δh_cm이라 할 때, 위치에너지의 변화는 ΔPE = Mg·R_cm(1-cosθ...2025.11.14
-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1 A+ 실험6 충격량과 뉴턴 제3법칙2025.01.221. 운동량 변화량과 충격량 실험 1에서 운동량 변화량과 충격량(힘의 적분)을 측정하였다. 운동량 변화량은 0.488849 kg·m/s이고 충격량은 0.48308 kg·m/s로 거의 일치하였으며, 상대오차는 1.18%로 작은 편이었다. 이를 통해 운동량 변화량과 충격량이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작용 반작용의 법칙 실험 2에서 작용 반작용의 법칙을 확인하였다. 그래프 상에서 F1과 -F2가 거의 일치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수레가 스프링에 충돌할 때 반작용 힘을 완전히 반대 방향으로 받지...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