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82개
-
[결과레포트] 중화열의 측정 (화학)2025.01.111. 엔탈피 엔탈피는 주어진 계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열역학적 양으로 쉽게 말하여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 즉, 계의 에너지의 양을 의미한다. 엔탈피는 상태함수이기 때문에 출발 물질과 최종 물질이 같은 경우에, 어떤 경로를 통해서 만들더라도 그 경로에 관여한 엔탈피 변화의 합은 같을 것이다. 이것을 헤스 법칙이라고 한다. 2. 반응열 화학 반응에서 반응열은 그 반응의 시작과 끝의 상태만으로 결정되며, 도중의 경로에는 관계하지 않는다는 법칙이다. 화학적, 물리적 변화가 일어날 때, 어떤 경로를 거쳐서 변화가 일어나든지...2025.01.11
-
일반화학실험(1) 실험 11 화학반응과 에너지_ 용해열의 측정 예비2025.05.091. 화학반응과 에너지 이번 실험에서는 다양한 고체 화합물을 물이나 식초와 반응시켜 발열 반응(exothermic reaction)인지, 흡열 반응(endothermic reaction)인지 관찰해보도록 한다. 또한 더 정량적으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열량계를 통해 고체의 CaCl2 또는 NH4NO3가 물에 용해될 때 발생되거나 흡수되는 열량, 즉 용해열(heat of solution)을 측정하도록 한다. 2. 내부 에너지 변화 내부 에너지 변화 ΔU=q+w로 나타낼 수 있고, 에너지는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계와 주위의 에너지의 ...2025.05.09
-
엔탈피 변화 측정 (A+)2025.04.301. 열량계의 열용량 측정 실험 A에서는 열에너지 보존을 이용하여 열량계의 열용량을 측정하였다. 뜨거운 물이 잃은 열이 차가운 물이 얻은 열과 열량계가 얻은 열의 합과 같음을 이용하여 열량계의 열용량을 구할 수 있었다. 2. 반응열 측정 실험 B에서는 KCl과 HCl을 반응시켜 용액에서 발생한 열과 열량계가 흡수한 열의 합을 몰수로 나누어 반응열을 구하였다. 3. 용해열 측정 실험 C에서는 KCl을 증류수와 반응시켜 발생하는 용해열을 측정하였다. 용액에서 발생한 열과 열량계의 흡수한 열의 합을 몰수로 나누어 용해열을 구할 수 있었다...2025.04.30
-
[일반화학실험 A+레포트(고찰)] 반응열과 헤스법칙2025.01.221. 반응열 화학 반응 시 에너지의 변화를 열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의 개념을 이해한다. 반응의 총 엔탈피 변화는 반응 과정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헤스의 법칙을 학습한다. 2. 헤스의 법칙 화학 반응의 총 엔탈피 변화는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헤스의 법칙을 이해한다. 이는 엔탈피가 상태함수이기 때문이다. 3. 열량계법 반응의 열량 변화를 측정하여 엔탈피 변화(ΔH)를 실험적으로 계산하는 열량계법을 학습한다. 열량, 열용량, 비열 등의 개념을 이해한다. 1. 반응열 반응열은 화학 반응에서 발생...2025.01.22
-
23-2 인천대 기계공학실험 냉동사이클 레포트2025.01.181. 열역학 법칙 열역학 법칙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로 법칙, 제1법칙, 제2법칙, 제3법칙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열역학 법칙은 냉동 사이클의 이해에 필수적인 기초 지식입니다. 2. 냉동 사이클 냉동 사이클의 각 구성 요소(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냉동 사이클의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3. 성능 계수(COP) 냉동 사이클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성능 계수(COP)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COP는 냉동 사이클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2025.01.18
-
열펌프 예비보고서2025.05.021. 열펌프 열펌프는 특정 장소의 열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데 사용하는 기계로, 냉동기관이라고도 한다. 열은 열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자연적으로 고온에서 저온으로 흐르지만, 열펌프는 이를 거슬러 저온에서 고온으로 열을 이동시킨다. 열펌프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 중 하나이다. 2. Carnot cycle Carnot cycle은 완전 가역적인 방법으로 운전되는 매우 특별한 열기관의 사이클로, 2개의 등온과정과 2개의 단열과정으로 이루어진다. Carnot cycle은 열기관 사이클 중 가장 이상적인 ...2025.05.02
-
열역학 ch.9 기체의 유동 ppt2025.05.121. 열역학 제 1법칙 열역학 제 1법칙에 따르면 에너지는 전환될 수 있지만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는다. 이 법칙은 노즐에서 열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2. 정체 상태 정체 상태는 유체의 속도가 0인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서는 정체온도, 정체밀도, 정체압력 등의 개념이 적용된다. 3. 임계 상태 임계 상태는 노즐의 유량이 최대가 되는 노즐목에서의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서는 임계온도, 임계밀도, 임계압력 등의 개념이 적용된다. 4. 노즐의 종류 노즐에는 단면 축소노즐과 단면 확대노즐(라발노즐...2025.05.12
-
예비 용해열 측정2025.01.231. 열량계 열량계는 화학반응이나 물리적 공정에서 계의 안팎으로 전달되는 열을 측정하는 기구이다. 열량계는 변화가 일어나는 계를 담는 그릇과 젓개, 온도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릇은 단열되어 있어 주위 공기와 열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반응계의 열 흐름은 열량계의 열 흐름과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이다. 열량계 측정에 사용되는 기본식은 q=cm△T이다. 2. 흡열반응 흡열반응은 반응 물질의 에너지가 작고 생성 물질의 에너지가 커서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는 반응이다. 반응이 진행될수록 계의 온도는 점점 높아지고, 주변의 온도는 ...2025.01.23
-
엔탈피의 측정 결과보고서2025.05.121. 엔탈피 엔탈피는 일정한 압력에서 물리·화학적 변화가 일어날 때 계가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을 통해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중화 반응에서 방출된 열의 양은 실험 A, B, C에서 측정된 열량의 합과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실험 과정에서 완전한 단열이 이루어지지 않아 열이 밖으로 나가 온도 측정에 오차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또한 부피 측정의 오차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1. 엔탈피 엔탈피는 열역학에서 매우 중요한...2025.05.12
-
중화열의 측정 실험 보고서2025.11.151. 엔탈피(Enthalpy) 엔탈피는 열역학계의 성질로 계의 내부 에너지와 부피-압력의 곱의 합으로 정의되는 상태함수이다. 기호는 H이며 단위는 줄(J) 또는 칼로리(cal)이다. 등압과정에서 측정된 엔탈피 변화량(ΔH)이 주로 사용되며, 흡열 과정에서는 양의 값, 발열 과정에서는 음의 값을 가진다. 엔탈피 변화량은 생성물과 반응물의 엔탈피 차이로 계산되며, 물질의 이동이 없으면 엔탈피 변화량은 주변 환경의 열에너지 변화량과 동일하다. 2. 중화열(Heat of Neutralization) 중화열은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1몰의 물...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