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디지털시스템설계 실습 13주차2025.05.091. 8bit -carry lookahead adder 하위모듈 구현 이번 실습에서는 8비트 carry lookahead adder의 하위 모듈을 구현하였습니다. carry lookahead adder는 carry 전파 지연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adder 회로입니다. 이를 통해 더 빠른 연산 속도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2. 32bit -carry select adder 모듈 구현 또한 32비트 carry select adder 모듈을 구현하였습니다. carry select adder는 carry 발생 여부에 따라 두 개의 결과를...2025.05.09
-
고려대학교 디지털시스템실험 A+ 6주차 결과보고서2025.05.101. SR Latch SR Latch 회로를 Gate level modeling을 사용하여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습니다. SR Latch의 동작 원리와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2. D Flip Flop D Flip Flop 회로를 Gate level modeling을 사용하여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습니다. D Flip Flop의 동작 원리와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3. JK Flip Flop JK Flip Flop 회로를 Gate level modeling을 사용하여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습니다....2025.05.10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52025.05.091. 4bit comparator 4비트 comparator 모듈을 구현하고, 이를 연결하여 8비트 cascadable comparator 모듈을 구현하였다. 각 비트를 비교하여 크다, 같다, 작다로 분류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2. Matrix multiplication 행렬 곱셈 모듈을 구현하면서 컴퓨터가 곱셈 연산을 수행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었다. 2차원 배열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어려웠다. 3. Positive-edge triggered D flip-flop 양 에지 트리거 D 플립플롭을 구현하면서 동작 ...2025.05.09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62025.05.091. 4-to-1 MUX 이번 실습에서는 4-to-1 MUX를 Verilog 코드로 구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작을 확인했습니다. if-else 문과 case 문을 사용하여 MUX를 구현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입력 신호 s0, s1에 따라 출력 i0, i1, i2, i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4-bit 시프트 레지스터 4-bit 시프트 레지스터를 Verilog 코드로 구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작을 확인했습니다. non-blocking 할당을 사용하여 클록 신호에 맞춰 입력 sin 값이...2025.05.09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112025.05.091. 7 세그먼트 업다운 카운터 이 프레젠테이션은 7 세그먼트 업다운 카운터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를 위해 Verilog 코드를 사용하여 상태 머신을 설계하고, 각 상태에 따라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출력을 제어합니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동작을 확인하고, 합성 후 critical path delay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FSM 설계의 효율성과 7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의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상태 머신 설계 이 프레젠테이션에서는 7 세그먼트 업다운 카운터를 구현하기 위해 상태 머신을 설계합니다. ...2025.05.09
-
논리회로설계실험 7주차 Flip flop 설계2025.05.151. JK Flip Flop 이번 실험에서는 Behavioral modeling과 Structural modeling 방법으로 JK flip flop을 구현하였습니다. JK flip flop은 SR flip flop과 유사하지만, 입력이 (1, 1)인 경우 출력 Q와 Q_BAR가 서로 토글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코드 구현 시 이 부분을 반영하였고, Modelsim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상 작동을 확인하였습니다. 2. T Flip Flop T flip flop은 입력 T가 1일 때 출력이 토글되고, T가 0일 때 이전 출력을 유지하는 ...2025.05.15
-
논리회로설계실험 10주차 up down counter설계2025.05.151. Moore machine Moore machine의 가장 큰 특징은 output이 current state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3-bit up-down counter를 Moore machine-style diagram으로 그려보았다. 오른쪽의 diagram과 같이 current state에 의해서만 output이 결정되는 Moore machine-style diagram이 그려진다. Input으로 reset, mode가 필요하며, output으로는 next_state가 필요하다. S0부터 S7...2025.05.15
-
BCD code, 세븐 세그먼트에 대한 이론 및 회로2025.05.101. BCD code BCD는 Binary Coded Decimal의 약자로서 이진코드의 십진화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BCD 코드란 8421코드를 의미하며 각 비트의 자리값은 MSB에서부터 8,4,2,1로 되기 때문에 가중코드라고 한다. BCD코드에서는 10진수의 한자리 수인 0~9까지만을 숫자로 표현하고 그 이상의 숫자에서 대해서는 don't care한다. BCD코드의 덧셈을 하려면 ①2진수의 덧셈의 규칙에 따라 두 수를 더하고 ②연산결과 4비트의 값이 9거나 9보다 작으면 그대로 결과값으로 사용하고 ③ 연산결과 4비트의 값이 ...2025.05.10
-
디지털시스템설계실습_HW_WEEK102025.05.091. FSM Detector 이번 과제를 통해 FSM Detector를 구현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Testbench에서 1101 sequency를 포함하는 input x '011011011110111' sequency를 생성하여 그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FSM 모듈은 위의 input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1을 출력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과정을 분석하면서 Detector의 원리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2. Verilog Code 과제에서는 FSM_Detector 모듈을 Verilog로 구현하고, Test Bench...2025.05.09
-
논리회로설계실험 4주차 MUX 설계2025.05.151. 4:1 MUX 4:1 MUX는 4개의 입력 a, b, c, d와 2개의 선택 입력 s1, s0, 그리고 하나의 출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택 입력 s1, s0의 조합에 따라 4개의 입력 중 하나가 출력으로 선택된다. 이를 Karnaugh map과 Boolean 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Verilog를 이용하여 dataflow modeling과 gate-level modeling으로 구현할 수 있다. 2. 1:4 DEMUX 1:4 DEMUX는 1개의 입력과 2개의 선택 입력 s1, s0, 그리고 4개의 출력으로 구성되어 있다....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