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8개
-
A+받은 다이오드 클램퍼 결과레포트2025.05.101. 다이오드 클램퍼 실험을 통해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를 이용한 클램퍼 회로를 구성하고, 출력 파형을 관찰하였다. 양의 클램퍼 회로에서 저항값을 변화시키며 출력 파형을 관찰하였고, 시정수가 작은 경우 커패시터가 일정한 직류 전압값에 수렴하지 않고 정현파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항값이 증가하면서 시정수가 커짐에 따라 출력 파형이 입력 전압을 기준으로 양의 반주기에서 약 1V의 DC 성분이 더해진 형태로 나타나며, 음의 반주기에서 다이오드의 도통 전압에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음의 클램퍼 회로에서는 저항값이 큰 경우에...2025.05.10
-
[A+] RC, RL 미분회로 레포트2025.05.131. RC 미분 회로 및 적분 회로 RC 회로에서 커패시터 C 에 충전 시간에 관계되는 시정수 tau는 tau =RC[s] 이다. RC 회로의 커패시터 C에 충전되는 전압을 v_c(t)라 하면 시간 t=0에서 스위치 K를 닫을 때 회로 방정식은 Ri(t)+ {1} over {C} int_{} ^{} {i(t)dt=E}이므로, 충전 전압 v_c(t)는 v_c(t)=E(1-e^{- {1} over {RC} t})이며, 회로에 흐르는 전류 i(t)는 i(t)= {E} over {R} e^{- {1} over {RC} t}이다. 2. RL...2025.05.13
-
울산대학교 전기전자실험 11. LC 회로의 리액턴스 측정 및 RLC 직병렬 회로의 임피던스 측정2025.01.121. RC 회로의 리액턴스 측정 및 전압 위상 변화 RC 회로에 5Vpp 1kHZ의 정현파를 인가했을 때 리액턴스 측정과 전압의 위상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리액턴스는 Xc = 1/(2πfC)를 통해 구했을 때 1591.55Ω의 값을 구할 수 있었고 1434의 측정값을 얻을 수 있었다. 전압의 위상을 관찰하기 위해 θ = tan^-1((Xc)/R)를 통해 구했을 때 -35.88의 값을 구할 수 있었고, 측정값을 통해 구했을 때는 -33.10의 값을 구했다. 리액턴스값이 약 10% 차이가 나는 것은 커패시터 용량 측정값 또한...2025.01.12
-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 예비보곳서2025.05.161. DMM 내부저항 측정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회로에 전압원에 V(V)가 측정될 때, 전압원과 22MΩ, DMM을 직렬로 연결하면 DMM 내부저항 Rin을 구할 수 있다. DMM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V_0라고 두면 KVL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V_0 = {Rin} over {22M OMEGA +Rin} V (V) 식을 통해 Rin을 구할 수 있다. 2. RC time constant 측정 DMM의 내부저항과 2.2μF의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RC time constant를 측정하는 방법은 회로에 전압원에 연결된...2025.05.16
-
A+ 정보통신실험 1주차 예비보고서 - 다이오드 브리지 정류회로2025.01.041. RC 회로의 과도응답 RC 회로의 과도응답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RC 회로의 회로방정식과 커패시터 전압의 과도응답 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RC 시정수가 과도상태 출력 값의 응답 속도를 결정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정류기와 필터, 레귤레이터 정류기는 양/음 양방향 정현파 전압을 양의 단방향 전압으로 변환하고, 필터는 반파 또는 전파 전압을 평탄한 DC 전압으로 변환하며 리플을 제거합니다. 레귤레이터는 출력전류 변화에도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합니다. 3. 반파 정류 회로와 브릿지 전파 정류 회로 반파 정류 회로...2025.01.04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12차 예비보고서2025.04.271.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의 고주파 특성 측정 설계실습 12. 수동소자의 고주파특성측정방법의 설계 예비보고서에서는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의 고주파 특성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항의 경우 Function generator와 연결하여 주파수 변화에 따른 저항 값의 변화를 DMM으로 측정하고,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경우 RL 회로와 RC 회로를 구성하여 입력전압과 저항전압의 비와 위상차를 Oscilloscope로 측정하여 고주파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 기생 인덕터의 영향 R=10...2025.04.27
-
RC 회로의 과도 상태 특성2025.05.151. RC 회로 RC 회로는 저항(R)과 커패시터(C)로 구성된 전기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과도 상태에서 전압과 전류의 변화 특성을 보입니다. 실험을 통해 오실로스코프로 확인한 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면, 실제 회로에서는 인덕터의 저항 때문에 오실레이션이 더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회로 설계 시에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1. RC 회로 RC 회로는 전자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RC 회로는 저항(Resistor)과 축전기(Capacitor)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전...2025.05.15
-
서울시립대_물리학및실험2_RC회로측정실험_예비레포트&결과레포트_A+2025.04.271. RC 회로 이 실험에서는 저항과 축전기로 구성된 RC 회로에서 축전기에 인가되는 전압의 시간적 변화를 오실로스코프로 관측하고 회로의 시간상수를 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축전기의 충전과 방전 과정, 시간상수 계산 방법, 실험 장치 및 절차, 실험 데이터 및 결과 분석, 오차 분석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2. 축전기 충전 및 방전 축전기가 초기에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위치를 닫으면 전하가 이동하며 회로에 전류가 흐르고 축전기가 충전되기 시작합니다.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축전기 양단의 전위차가 증가하다가 최대 전하량에 ...2025.04.27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10주차 Oscillator 설계2025.01.121. Oscillator 설계 Oscillator는 Positive feedback 회로이다. 회로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OPAmp의 출력전압이 L+에 있었다고 가정한다. 출력단자는 R과 C를 통해 접지되어 있으므로 출력전압은 Capacitor C를 charge 시키게 된다. Capacitor에 걸리는 전압 v-(= )는 점점 증가하게 된다. 0 ==L+일 때, v+=β0 =βL+이므로 v-(= )가 증가하다가 v-=βL+)가 되면 0 ==L로 상태가 바뀌게 되며 Capacitor에 쌓여 있던 전하가 R을 통해 Discha...2025.01.12
-
물리학및실험 콘덴서충방전 예비+결과레포트2025.05.041. 콘덴서 충방전 실험 목적은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진 회로에서의 전류의 시간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실험 원리는 RC 회로에서 콘덴서가 충전되는 동안 회로에 흐르는 전류와 콘덴서의 전하량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설명하는 미분 방정식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콘덴서의 전압과 저항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는 식을 얻는 것이다. 실험 방법은 전원장치, 저항, 콘덴서, 전류계 및 전압계 등을 이용하여 충전 및 방전 과정을 측정하고, 이론값과 비교하는 것이다. 1. 콘덴서 충방전 콘덴서 충방전은 전자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