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1개
-
브이심 Marilyn Hughes 인계2025.05.081. Marilyn Hughes 환자 인수인계 Marilyn Hughes 환자는 45세 여성으로 2022년 3월 17일 젖은 계단에서 미끄러져 left mid-shaft tibia-fibula fracture로 내원하였습니다. 알러지, 음주, 흡연력은 없으며 지남력과 의식수준은 양호합니다. 현재 IV 수액 주입 중이며 통증 관리를 위해 Tramadol 50mg PO를 투여하였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지속되어 NRS 7점을 보였고, 왼쪽 다리의 맥박이 없고 발가락 움직임이 없어 compartment syndrome이 의심되었습니다. 이...2025.05.08
-
장폐색(ileus) 간호과정 - 영양불균형, 감염의 위험,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2025.05.071. 영양불균형 대상자의 영양 상태가 불량하여 Total protein, Albumin 수치가 저하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TPN 공급을 통해 영양을 보충하고, 체중 변화와 일반화학검사 결과를 모니터링하여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자 합니다. 또한 TPN 중단 후 소량씩 경구 섭취를 교육하여 위장관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계획입니다. 2. 감염의 위험 대상자에게 유치도뇨관, A-line, C-line, L-tube, subclavian catheter 등 다양한 침습적 기구가 삽입되어 있어 감염의 위험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활력징후와 ...2025.05.07
-
뇌 손상과 관련된 두개 내 적응능력 감소 (간호과정 A+)2025.05.151. 뇌 손상과 관련된 두개 내 적응능력 감소 뇌 손상으로 인해 두개 내 수분 역학기전이 손상되어 다양한 자극에 의해 두개내압이 불균형적으로 증가하는 상태를 설명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간호 사정, 진단,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등의 간호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습니다. 1. 뇌 손상과 관련된 두개 내 적응능력 감소 뇌 손상은 두개 내 적응능력 감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뇌 손상이 발생하면 신경세포와 신경회로의 기능이 손상되어 정상적인 정보처리와 적응 능력이 저하됩니다. 이로 인해 인지, 감각, 운동 기능 등 다양한 영역에서 ...2025.05.15
-
뇌경색 간호과정2025.05.151. 낙상 위험성 대상자는 시력 및 청력 장애로 인해 낙상 위험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휠체어, 침상바퀴, 사이드레일 고정, 주변 환경 점검 및 장애물 제거, 보호자 교육 등의 중재를 통해 낙상을 예방하고자 합니다. 2. 뇌 혈류 저하와 관류 장애 뇌경색으로 인한 뇌 혈류 저하와 관류 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활력징후 모니터링, 체위 관리, 약물 투여 등의 중재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3. 출혈 위험성 항응고제 투여로 인한 출혈 위험성을 관리하기 위해 출혈 사정, 혈액검사 모니터링, 침습적 처치 최소화, 구강 위생 관리, 약물 교육 등의 ...2025.05.15
-
침습적 처치 및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과정2025.05.161. 침습적 처치 및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이 사례는 침습적 처치 및 수술을 받는 환자의 감염 위험성에 대한 간호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감염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를 수행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손위생 실시, 활력징후 및 검사 결과 모니터링, 무균술 적용, 환자 및 보호자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1. 침습적 처치 및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침습적 처치 및 수술은 환자에게 감염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의료진의 철저한 위생관리와 감염 예방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2025.05.16
-
성인간호학실습2 case(간호진단 5개)2025.05.161. 부적절한 대처와 관련된 불안정한 혈압 위험성 대상자의 혈압이 불안정하여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고혈압으로 인해 어지러움, 흉통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책자를 이용해 대상자에게 약물의 필요성 및 효능, 부작용(서맥, 기립성 저혈압 등)을 설명하고 이상증상 발생 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대상자에게 조용하고 편안한 자극이 적은 환경을 제공하였다.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생활요법(심호흡, 운동, 스트레스 최소화, 표준체중 유지 등)에 대해 교육하고 격려하였다.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였다. 2....2025.05.16
-
A+ 받은 성인 중환자실 실습 case 뇌내출혈 간호진단 12개, 간호과정 2개2025.05.131. 뇌내출혈 뇌내출혈은 뇌조직 안이나 뇌를 싸고 있는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입니다. 출혈 부위에 따라 기저핵출혈, 시상출혈, 대뇌출혈, 소뇌출혈, 뇌교 및 연수 출혈 등이 있으며, 기저핵출혈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증상은 출혈의 양과 위치, 기간에 따라 다양하며, 두통, 오심, 구토, 의식저하, 혈압상승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뇌전산화단층촬영(Brain-CT), MRI 등의 검사가 필요하며, 치료는 약물요법과 수술요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중재로는 뇌조직 관류 증진, 운동기능...2025.05.13
-
폐색전증 대상자 간호과정(가스교환장애, 급성 혼돈)2025.05.131. 가스교환장애 대상자의 가스교환장애와 관련된 간호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관적 증상으로 '가슴이 답답해요', '숨이 차요', '숨이 잘 안 쉬어져요'가 있으며, 객관적 자료로 활력징후 변화와 동맥혈가스분석 결과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간호진단은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이며, 간호목표는 ABGA 수치 정상화, SpO2 95% 이상 유지, 호흡수 12-20회/분 유지입니다.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호흡양상 사정, ABGA 모니터링, 체위 조절, 기관지 확장제 및 진해거담제 투여, 호흡악화 증상 교육 등이 ...2025.05.13
-
A+++ 흡인성폐렴 케이스_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2025.01.131. 흡인성 폐렴 흡인성 폐렴은 병원성 세균이 식도가 아닌 기관지를 통해 폐로 들어가서 생기는 염증 질환입니다.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연하장애, 의식 저하, 기침 반사 기능 저하, 구토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폐렴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 청진, 영상검사, 혈액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치료는 조기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투여가 중요하며, 반복적인 흡인을 예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간호진단 이 사례에서 제시된 3가지 간호진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 폐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2025.01.13
-
지주막하출혈 SAH CASE, A+2025.01.131. 지주막하출혈 지주막하출혈은 지주막과 연막 사이에서 발생하는 출혈로, 45세 이하에서 발생하는 뇌 질환 환자의 절반이 이 질환을 가지고 있다. 이번 실습을 통해 SAH를 케이스로 잡아 대상자에게 나타나는 증상과 문헌고찰을 통해 찾은 지주막하출혈의 증상을 비교해보고, 임상적인 특징과 적절한 간호중재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하게 되었다. 2. 뇌척수액 증가로 인한 두개내압 상승 뇌척수액이 축적되어 두개내압이 상승하면 뇌조직의 관류가 저하되어 뇌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두개내압 상승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