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환자안전법 및 환자안전 관련용어2025.05.101. 환자 안전 환자 안전 관련 용어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999년 미국의학협회에서 발표한 보고서(To Err is Human)에서 환자 안전에 대한 관심이 생겼으며, 2015년 제정된 환자안전법에 따르면 '환자안전사고'와 '환자안전활동'의 정의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환자안전사고는 보건의료인이 환자에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위해 사고를 의미하며, 환자안전활동은 환자 안전사고의 예방 및 재발 방지를 위한 모든 활동을 의미합니다. 2. 의료오류 의료오류는 현재의 의학적 지식수준에서 예방할 수 있는 위해사건 혹...2025.05.10
-
낙상 보고서(간호관리학 실습)2025.05.011. 낙상 보고서 이 보고서는 신경과 병동에서 발생한 낙상 사고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보고서에는 사고 발생 경위, 환자 관련 정보, 간호 활동, 사고 원인 분석, 사고 예방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개선 방안 등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환자의 위험 요인 사정, 환경 점검, 간호사 교육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낙상 위험 요인 이 환자는 78세 남성으로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고, 체위성 저혈압을 유발하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어 낙상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또...2025.05.01
-
간호 약물 투약오류보고서2025.05.051. 투약 오류 사건보고서 정** 군(만 8세)이 백혈병 치료를 위한 12사이클의 항암치료 중 마지막 항암 주사인 시타라빈(cytarabine)과 빈크리스틴(vincristine)을 맞고 퇴원할 예정이었으며, 시타라빈은 척수강에, 빈크리스틴은 정맥주사를 통해 투여될 예정이었다. 5월 19일 22시, 소아청소년과 1년차 전공의가 2개의 항암주사 중 하나는 정맥주사로, 나머지 하나는 척수강에 주사했다. 이후 정** 군은 두통, 대소변 기능 이상, 구토, 하반신 마비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일주일 만에 사망하였다. 병원 측은 공식적으로 약...2025.05.05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환자안전사건관리2025.05.111. 환자안전사건의 정의 환자의 질병이나 치료경과와 무관하게 업무절차 수행과정의 실수나 문제로 인해 환자에게 또는 위해가 발생될 뻔한 사건을 의미하며 근접오류, 위해사건, 적신호사건으로 분류한다. 2. 환자안전사건의 등급별 분류 Level 0: 사건/사고가 일어날 뻔 했으나 환자에게 도달하기 전에 발견함(근접오류) Level 1: 사건/사고가 발생했으나 환자에게 해가 없음 Level 2: 사건/사고의 발생으로 인한 치료 또는 중재를 필요로 함(위해사건) Level 3: 원기간이 연장되거나 퇴원 시 장애를 일으키는 사건/사고 Leve...2025.05.11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간호전문직으로서 법적, 윤리적 실무를 이해하고 실천2025.05.111. 간호전문직의 윤리 간호사들은 단순히 병원이나 의사의 지시를 그대로 따르는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고 현대로 오면서 간호에 대한 사회적 요청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간호사 자신들의 노력으로 역할과 영역이 확대되어 타인들의 생명에 관련되는 중요한 결정에 참여해야 하는 위치에 놓이게 됨. 간호전문직의 윤리는 생명의 길(a way of life)이며, 간호사는 관습적인 도덕에 따르기 보다는 도덕적 성숙이 요구되고 자기 자신의 도덕적 행위의 영역이나 의미를 따져 볼 수 있는 민감성과 신념을 갖고 자신의 주장을 추론할 능력이 필요함. 2.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