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개
-
사이시옷의 규정은 발음을 잘 나타내 준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크다2025.05.111. 사이시옷의 규정 사이시옷의 규정은 발음을 잘 나타내 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를 '냇가'로 적음으로써 [낻까/내까]의 된소리 발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의미의 차이를 나타내 주는 장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무집(나무로 만든 집)'과 '나뭇집(나무를 파는 집)'을 사이시옷 표기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2. 사이시옷 삽입 조건 사이시옷은 한글 맞춤법 제30항에 따라 삽입됩니다.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나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에 사이시...2025.05.11
-
한글 맞춤법 총칙 이해하기2025.05.121. 한글 맞춤법 제 1항: 표준어 소리대로 적기와 어법에 맞게 적기 한글 맞춤법 제 1항은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입니다. 이는 표음주의적 표기와 표의주의적 표기를 모두 포함합니다. 표음주의적 표기는 '나비', '구름', '하늘', '날다', '바라다'와 같이 소리나는 대로 적는 것을 말합니다. 표의주의적 표기는 '꽃이', '꽃을', '꽃에', '꽃나무', '꽃놀이', '꽃망울'과 같이 형태소를 밝혀서 적는 것을 말합니다. 2. 한글 맞춤법 제 2항: 문장의 각 단어 띄어쓰기 한...2025.05.12
-
언어와 매체 수업지도안-국어 자료의 탐구 8차시2025.05.091.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국어 자료에서 맞춤법에 어긋난 표현을 찾아 바르게 고치는 활동을 한다. 또한 맞춤법을 지키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토의한다. 2. 표준어의 개념과 표준어 규정의 필요성 표준어의 개념과 표준어 규정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문학 작품이나 일상생활에서 의도적으로 표준어 규정을 어기는 경우와 그 효과에 대해 탐구한다. 1.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는 발음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한글은 표음문자이기 때문에 단어의 발...2025.05.09
-
우리나라의 글인 한글2025.01.281. 한글의 창제 한글은 세종 대왕이 백성들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세종대왕이 1443년에 창제하였고 2년 9개월의 검증 기간을 거쳐 1446년에 백성에게 반포하였습니다. 한글은 소리글자로 모음 10자, 자음 14자만 배우면 비교적 쉽게 조합해서 쓸 수 있습니다. 2. 한글의 특징 한글은 자음과 모음으로 되어 있고, 자음은 사람의 발음 기관을 본떠서 만들었습니다. 24개의 자음과 모음을 조합해 무한에 가까운 글자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글자를 세로로 적을 수도 있고 가로로 적을 수도 있습니다. 한글은 '음양오...2025.01.28
-
한국어 교육에서 어문 규범의 중요성과 쟁점2025.05.021. 한국어 어문 규범 한국어 어문 규범은 국가 차원에서 공표된 4대 규범으로,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을 일컫는다. 한국어 어문 규범은 복잡하며, 일부 규정은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도 올바르게 사용하려고 노력하지만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한 쟁점이 학계에서 제기되어 왔다. 2. 한국어 교사의 어문 규범 지식 중요성 한국어 교사가 한국어 어문 규범을 정확히 숙지하고 있지 않다면, 한국어 학습자의 질문에 적절한 답변을 해주기 어렵다. 따라서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 어문 규범을 정확히 이해하고...2025.05.02
-
한글 맞춤법 총칙의 이해와 적용2025.05.031. 표준 발음법 한글에는 표준 발음법이라는 규칙이 존재합니다. 이는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루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즉,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지만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도 고려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표기와 발음이 다른 경우가 있는데, '국물'을 [궁물]로 발음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또한 'ㅐ'와 'ㅔ'의 발음이 구분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2. 띄어쓰기 띄어쓰기는 문장의 각 단어를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이는 문장의 의미 파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조사...2025.05.03
-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과 사이시옷 표기, 띄어쓰기2025.01.231.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은 한글 맞춤법의 전반적인 규칙을 제시하며, 한글 표기의 일관성과 규칙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조항은 한글 맞춤법의 가장 기본적인 세 가지 원칙을 포함하고 있는데, 즉 한글 표기는 표준어를 기준으로 하되, 발음과 어법 모두를 고려하여 표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요소는 표준어 표기, 소리대로 적기, 어법에 맞도록 하는 것이다. 2. 사이시옷 표기의 기본 조건 사이시옷은 주로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표기 현상으로, 두 단어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2025.01.23
-
띄어쓰기 오용례 사례2025.05.011. 시간이나 날짜와 관련된 표기에서 띄어쓰기 오용례 사례 인터넷 기사나 서적, 논문 자료들을 보면 시간이나 날짜 등 숫자와 관련된 표기에서 띄어쓰기의 형태가 일관되지 않아 어느 것이 맞는 것인지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연월일이나 시간, 값을 적을 때 '2022년2월2일', '2022.2.2.', '오전10시30분', '3백3십3'과 같이 모두 붙여 쓰는 경우가 있는데, 어느 경우에 띄어 써야 하는지 좀 더 세부적으로 띄어쓰기의 규정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2. 띄어쓰기 오용례 사례 100만대 → 100만 대 10여년에 걸쳐 → 10...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