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학교 사회복지 개입 방법2025.04.251.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학교 밖 청소년은 초, 중, 고등학교에서 3개월 이상 결석하거나, 재적, 퇴학, 자퇴 또는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청소년을 지칭한다. 이들은 학업형, 직업형, 무업형, 비행형, 은둔형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비행친구, 유해환경, 가족갈등, 공격성 등의 특성을 보인다. 2. 학교 사회복지의 정의와 역할 학교 사회복지는 학교 내외의 학생 문제를 심리, 사회적으로 예방 및 해결하여 학생의 교육 기회와 복지 실현을 돕는 분야이다.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해서는 지...2025.04.25
-
문해교육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실제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내용별, 수준별로 비교 분석하시오2025.05.031. 초등문해 과정 초등학력 수준을 인정받기 위한 문해 교육과정은 세 단계로 구성이 되어 있다. 1단계는 초등학교 1학년, 2학년 수준으로 일주일에 2회, 4시간의 수업을 하고 총 이수 시간은 40주로 총 160시간이다. 2단계는 초등학교 3학년, 4학년 수준으로 주 3회, 6시간 수업을 하고 총 이수 시간은 40주로 240시간이다. 3단계는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수준의 수업으로 주 3회 6시간씩 진행이 되고 총 이수 시간은 40주로 240시간이다. 2. 중등 문해 과정 중등 학력 인정 문해 교육과정은 전체 3단계로 이루어진다....2025.05.03
-
성인 문해교육 지원 사업 현황 조사2025.01.241. 성인 문해교육 지원 사업 우리나라 제3차 성인문해능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만 18세 이상 성인 중 초등·중등 수준의 문해교육이 필요한 성인은 20.2%(약 890만 명)로 나타났습니다. 여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월 가구소득과 학력이 낮을수록, 농산어촌에 거주할수록 문해능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각 지역에서는 지역 상황에 맞는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문해능력 수준이 높은 서울 지역에서는 스마트폰이나 키오스크 등 전자기기와 관련된 문해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저학력 노년층 인구가 많...2025.01.24
-
문해교육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실제 프로그램을 내용별-수준별로 비교 분석2025.01.171. 강릉시청 - 찾아가는 한글교실 강릉시는 약 27%의 문해학습 수요가 있으며, 평균 연령이 75세 이상의 고령 어르신들이 대부분이다. 강릉시청은 명주교육도서관을 중심으로 10곳에서 '찾아가는 한글교실'과 '치매예방한글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글 익히기가 아니라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지역 기관들과 연계하여 건강검진, 안전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 마들여성학교 - 치유인문학 프로그램 마들여성학교는 2013년부터 '치유인문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