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어문 규정에 제시된 10개의 단모음을 모음의 분류 기준에 따라 IPA를 밝혀 제시2025.01.211. 한국어 단모음 체계 한국어에서 단모음의 수에 대해 학자들은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 표준발음법에 따르면 10개의 단모음이 존재하지만,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8개 또는 7개의 단모음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ㅚ/와 /ㅟ/가 이중모음으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모음 분류 기준은 혀의 높낮이, 전후 위치, 입술 모양에 따라 구분된다. 2. 표준어 화자의 실제 발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서울 방언 화자의 경우 /ㅚ/와 /ㅟ/를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으며, /ㅔ/와 /ㅐ/를 하나의 음소로 통합해 발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2025.01.21
-
한국어의 모음 체계에서 단모음의 음소 수에 대한 다양한 견해2025.04.301. 한국어 음소 체계 한국어의 음소는 자음과 모음으로 나뉘며, 모음은 다시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됩니다. 표준발음법에서는 자음 19개, 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로 총 40개의 음소를 인정하고 있지만, 실제 사용에서는 이와 다른 견해들이 존재합니다. 2. 단모음 음소 수에 대한 다양한 견해 한글 맞춤법에서는 모음 10개를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 표준어 사용자들의 발음에서는 'ㅚ'와 'ㅟ'가 이중모음으로 발음되는 등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방언에 따라 모음 체계가 달라져 6개, 9개 등 다양한 단모음 체계가 존재합니다. 3...2025.04.30
-
어문 규정에 제시된 10개의 단모음 발음 및 교육2025.05.081. 단모음의 분류와 IPA 표기 어문 규정에 제시된 10개의 단모음을 모음의 분류 기준(혀의 높낮이, 혀의 전후 위치, 입술 모양)에 따라 IPA로 표기하였다.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단모음 IPA 표기를 제시하였다. 2. 모국어 화자의 이중모음 발음 모국어 화자들이 실제 언어생활에서 이중모음으로 발음하거나 그 소릿값을 변별하지 못하는 모음으로 'ㅚ'와 'ㅟ'를 확인하였다. 표준어 규정에서도 이들 모음은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