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os 기출문제2025.01.201. Process Synchronization 1. 현재 count 변수의 값이 5이고, 두 프로세스 producer와 consumer가 각각 다음과 같이 (interleaved) 실행된다고 할 때, 마지막으로 저장되는 counter 변수의 값은 6입니다. 2. 다른 프로세스(또는 스레드)들과 공유하는 자원(변수, 파일 등)을 다루는 코드 영역을 일컫는 용어는 critical section입니다. 3. non-preemptive scheduling을 설명하는 말이 아닌 것은 2) The scheduler can interrupt ...2025.01.20
-
예약 시스템에서 DBMS와 파일 시스템의 적합성 비교2025.01.271. DBMS의 장점 DBMS는 동시성 제어, 트랜잭션 관리, 데이터 무결성 유지 등의 기능을 통해 예약 시스템과 같이 최신 정보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해야 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합니다. 또한 DBMS는 인덱싱과 쿼리 최적화 기능으로 빠른 데이터 검색과 조회가 가능합니다. 2. 파일 시스템의 장점 파일 시스템은 설치와 초기 설정이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데이터 구조가 단순하고 저장할 데이터의 양이 적은 경우, 파일 시스템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에 직접 접근할 수 있어 읽기/쓰기 속도가 빠릅니...2025.01.27
-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와 운영체제2025.01.281.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조 컴퓨터 시스템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한 뒤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CPU, 메모리, 입출력장치, 버스)와 소프트웨어(응용 소프트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2.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주요 기능으로는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 입출력 관리, 보안 및 사용자 관리 등이 있다. 3. 컴퓨터 ...2025.01.28
-
유닉스에 대한 구조와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81. 유닉스 구조 개요 유닉스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운영체제로 설계되었습니다. 유닉스의 구조는 크게 커널, 쉘,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고 시스템 호출을 처리하며, 다양한 장치와의 상호작용을 중재하는 역할을 합니다. 쉘은 사용자가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이며,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2. 커널과 쉘의 역할 유닉스의 커널은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담당하며,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스케줄...2025.01.28
-
레드 블랙 트리와 B-트리의 작업 시간 비교2025.01.191. 레드 블랙 트리 레드 블랙 트리는 이진 탐색 트리의 일종으로, 노드의 색을 통해 트리의 균형을 유지하는 자료 구조입니다. 각 노드는 빨간색 또는 검은색으로 색칠되며, 특정한 규칙을 따름으로써 트리의 높이를 제한하고 균형을 유지합니다. 레드 블랙 트리의 주요 규칙은 모든 노드가 빨간색 또는 검은색이어야 하며, 루트 노드와 리프 노드는 검은색이어야 하고, 빨간색 노드의 자식 노드는 모두 검은색이어야 하며, 임의의 노드에서 리프 노드까지의 경로에는 동일한 수의 검은색 노드가 존재해야 합니다. 이러한 규칙을 통해 트리는 항상 균형을 ...2025.01.19
-
[만점]디렉토리 계층 구조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컴퓨터시스템2025.01.131. 디렉토리 계층 구조 디렉토리 계층 구조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파일을 구조화하고 조직화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파일 시스템에서 디렉토리와 파일 간의 관계를 정의하며, 파일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합니다. 일반적으로 디렉토리 계층 구조는 트리 구조로 표현되며, 이는 각 디렉토리가 다른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디렉토리는 하나의 상위 디렉토리를 가지게 됩니다. 이런 디렉토리의 계층구조를 통해 파일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리하고 명령어는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디렉토리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