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6개
-
Loop connection(루프이음)2025.01.101. Materials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는 20 MPa이며, 설계압축강도 fcd는 0.65 × 20 = 13.0 MPa입니다. 철근의 설계항복강도 fyd는 0.9 × 500 = 450.0 MPa입니다. 2. Geometry 슬래브의 높이 h는 200 mm입니다. 1. Materials Materials are the fundamental building blocks of our physical world, and their study is crucial for advancing technology and improvin...2025.01.10
-
일반 구조 - RC (재료)2025.05.051. 콘크리트 재료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주요 재료인 시멘트, 골재, 물, 공기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시멘트의 종류와 제조 과정, 골재의 분류와 특성, 물과 공기의 역할 등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콘크리트 배합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2. 콘크리트의 성질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인 워커빌리티, 반죽길기, 플라스티시티, 피니셔빌리티, 펌퍼빌리티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양생 방법, 체적 변화 등 경화된 콘크리트의 특성도 자세히 다루고 있습...2025.05.05
-
건설시공학 7-8장2025.01.241. 숏크리트(Shotcrete) 숏크리트의 특징으로는 광범위한 토질에 적용할 수 있고, 거푸집이 필요 없어 급속 시공이 가능하며, 소규모 기계로 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시공 중 분진 발생이 많고 용수가 많은 곳의 시공이 곤란하다. 숏크리트의 내공 변위 측정은 천단 침하 측정기(Crown Levelmeter)를 사용하여 수준 측량으로 실시한다. 건식 및 습식 숏크리트의 특성으로는 작은 기계 시공 및 이동이 용이하고, 밀도가 낮으며, 작은 W/C 비로 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수밀성이 낮고, 숙련된 Nozzleman이 필요하며, 분...2025.01.24
-
인하대학교 건설재료실험 A+ 콘크리트 슬럼프 실험 보고서 (건설재료학)2025.05.021. 굳지 않은 콘크리트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콘크리트가 혼합된 직후로부터 점차 시간이 지나고, 수화반응에 의해 어느 정도의 강도를 나타내기까지의 콘크리트를 말한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워커빌리티, 유동성, 성형성, 연행공기 등 여러 성질을 가진다. 2. 물-시멘트 비 (W/C비) 물과 시멘트의 비(W/C비)가 커질수록 즉, 시멘트 대비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압축강도는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최대 압축응력이다. 3. 굵은 골재 조건 일반적으로 최대 치수가 큰 굵은 골재를 사용하는 것...2025.05.02
-
토목재료1_시멘트의 제조방법에 대한 분류2025.01.111. 시멘트 제조 공정 시멘트는 채광, 조쇄, 원료 혼합 및 분쇄, 소성, 시멘트 분쇄 등의 다양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채광 및 조쇄 과정에서 석회석 원석이 점차 작은 크기로 부서지고, 원료 혼합 및 분쇄 과정에서 균일한 품질의 분말 원료가 만들어진다. 소성 과정에서는 고온의 킬른에서 클링커가 생성되며, 마지막으로 클링커에 석고를 첨가하여 시멘트가 완성된다. 2. 시멘트 제조 방법 분류 시멘트 제조 방법은 혼합 과정의 물 사용량에 따라 건식법, 습식법, 반습식법으로 분류된다. 건식법은 물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원료를 건조한 상태...2025.01.11
-
배합설계과제2025.05.101. 콘크리트 배합설계 콘크리트 배합설계는 임의의 배합으로 만든 콘크리트의 강도를 알고, 요구되는 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를 가장 경제적으로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 설계기준강도, 슬럼프, 공기량 등의 조건을 고려하고, 시멘트, 골재 등의 재료 성질을 파악하여 배합을 산정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압축강도를 알고 다른 성질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1. 콘크리트 배합설계 콘크리트 배합설계는 건설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적절한 배합설계를 통해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작업성 등의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배합설계...2025.05.10
-
콘크리트 측압(KDS 21 50 00, KCS 14 2012)2025.01.031. 콘크리트 측압 콘크리트 측압은 사용 재료, 배합, 타설 속도, 타설 높이, 다짐 방법, 콘크리트 온도, 혼화제 종류, 부재 단면 치수, 철근량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측압은 식 (1.6-1)을 사용하여 산정할 수 있으며, 슬럼프가 175mm 이하이고 1.2m 깊이 이하의 기둥 및 벽체는 식 (1.6-2)와 (1.6-3), (1.6-4)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재진동, 거푸집 진동기 사용, 묽은 반죽 콘크리트 타설, 응결 지연 콘크리트 사용 시 측압을 증가시켜야 하며, 슬립폼의 경우 낮은...2025.01.03
-
세라믹 물질 소개글2025.01.111. 에어로젤 에어로젤은 물의 97%가 공기인 유리로, 온도가 1300도인데도 불구하고 수십 억 개의 공기구멍으로 가득한 기포 유리 때문에 단열이 잘되고 충격을 흡수합니다. 미래에는 내폭용 자체나 우주 복 단열재로 쓰일 것입니다. 2. 점토 점토는 29000년 전 인류가 불을 이용하여 단단하고 변하지 않은 세라믹으로 만드는 법을 시작했습니다. 현재로서는 콘크리트를 질이 떨어지지만 놀라운 인공재료라고 생각합니다. 3. 콘크리트 콘크리트가 물에 녹아서 진흙처럼 되지 않고 내일이면 단단해지고 로마인들이 이것으로 항구를 건설하여 지중해를 ...2025.01.11
-
기둥상관도2025.05.101. 기둥상관도 이 자료는 기둥상관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기둥상관도는 기둥의 단면 크기, 철근 배근, 콘크리트 강도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둥의 축력과 모멘트 관계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기둥의 강도와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자료에서는 기둥의 단면 크기, 철근 배근, 콘크리트 강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둥의 축력과 모멘트 관계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1. 기둥상관도 기둥상관도는 건축 설계 및 구조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건물의 기둥들 간의 상호 관계와 배치를 나...2025.05.10
-
콘크리트 등가응력분포 사용 이유와 조건2025.05.121. 콘크리트 등가응력분포 사용 이유 콘크리트의 압축응력과 압축 변형률의 관계가 비선형을 이루어 압축력 C를 구하는 식 C=b int_{0}^{c} {(f_{c})dx}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적분을 사용해야 하지만, 이는 계산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든다. 따라서 실무 설계에서는 압축력 C와 모멘트 M을 구하는데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비선형 압축응력 분포를 포물선 - 직선형 곡선이나 직사각형으로 단순화한다. 2. 콘크리트 등가응력분포를 만들기 위한 두 가지 조건 ① 동일한 면적: 콘크리트의 실제 압축응력의 면적과 등가응력분포의 면적이...202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