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NCLEX 요약정리 (+NGN 포함) - 약리학 pharmacology2025.01.101. Cardiovascular Beta-adrenergic antagonists (beta blockers) 심장의 beta-adrenergic receptors에 대한 catecholamines 작용을 억제하여 심장 부하를 감소시키고 전기 전도를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심박수와 혈압이 감소하여 고혈압, 심부전, 불안 등을 치료한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중단은 반동성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심근경색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ACE 억제제와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스타틴)도 갑작스러운 중단 시 유사한 위험이 있다. 2...2025.01.10
-
소아병동 주요 약물(PO/INJ)2025.05.021. 맥시부펜 시럽 맥시부펜 시럽은 급성 상기도 감염으로 인한 발열 시 해열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생후 6개월 이상의 소아에게 1회 5~7mg/kg의 용량을 4~6시간 간격으로 필요시 복용하며, 1일 최대 4회(28mg/kg)를 넘지 않도록 합니다. 체중이 30kg 이하인 소아에게는 1일 최대 25ml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부작용으로는 때때로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통, 소화불량, 설사, 위부 불쾌감, 발진, 가려움증, 안와 주위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코벤 시럽 코벤 시럽은 감기 또는 알레르기성 및 혈관운동성 비염...2025.05.02
-
저널리뷰 - 섬망2025.05.041. 외상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발생 위험요인 외상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발생률이 높고, 섬망이 간호의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국내 외상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발생률을 확인하고, 섬망 발생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섬망군은 34.8%, 비섬망군은 65.2%로 나타났으며, Hemoglobin 수치, 손상중증도, 중환자실 재원기간, 진정제 투여와 신체보호대 적용 여부가 유의한 섬망 발생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외상중환자실 간호사는 섬망 고위험군 환자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과 예방적 중...2025.05.04
-
물질관련장애 요약2025.05.061. 물질관련장애 물질관련장애는 병리적인 물질 사용으로 구분되며, 물질남용과 물질의존으로 나뉩니다. 물질의존은 내성, 금단증상, 과다사용 등의 기준을 충족할 때 진단됩니다. 물질남용은 직분 수행 실패, 신체적 위험, 법적 문제, 대인관계 문제 등의 기준을 충족할 때 진단됩니다. 물질관련장애에는 알코올, 암페타민, 카페인, 대마, 코카인, 환각제, 흡입제, 니코틴, 아편류, 펜사이클리딘, 진정제, 수면제, 항불안제, 복합물질 등이 포함됩니다. 2. 알코올 남용과 의존 알코올 남용과 의존은 내성, 금단증상, 통제력 상실 등의 특징이 있...2025.05.06
-
수술실 마취과 약물(진정제 및 마약 포함) 종류 및 특성, 주의사항 레포트 A+2025.05.061. 수술실 마취 카트 수술실 마취 카트에는 다양한 약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cupan, salon, Metoclopramide, Chlorpheniramine, Dexamethasone, Ropivacaine, Nicardipine, Lidocaine HCL, Labetalol HCL, Phenylephrine, Furosemide, Ondansetron, nasea, Esmolol, Epinephrine, Ketorolac, Ephedrine, Glycopyrrolate, Pyridostigmine, Atropine 등이 있...2025.05.06